• Title/Summary/Keyword: 수요도

Search Result 12,828,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The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Demand Response Systems Based on SEP 2.0 for the Appliances's Energy Reduction on Smart Grid Environments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가전기기의 에너지 저감을 위한 SEP 2.0 기반의 자동수요반응 시스템 개발)

  • Jung, Jin-uk;Kim, Su-hong;Jin, Kyo-h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9
    • /
    • pp.1799-1807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utomatic demand response systems which reduce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for the period automatically distinct from the existing passive demand response that a subscriber directly controls the energy consumption. The proposed systems are based on SEP 2.0 and consist of the demand response management program, the demand response server, and the demand response client. The demand response program shows the current status of the electric power use to a subscriber and supports the function which the administrator enables to creates or cancels a demand response event. The demand response server transmits the demand response event received from the demand response management program to the demand response client through SEP 2.0 protocol, and it stores the metering data from the demand response client in a database. After extracting the data, such as the demand response the start time, the duration, the reduction level, the demand response client reduces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for the period.

A Study on Peak Reduction by DSM in Long-run Electricity Demand Forecast (장기 전력수요예측시 수요관리 순증분 차감방식의 적정성 연구)

  • Kim, Kwon-Soo;Park, Chae-Soo;Park, Jong-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439-440
    • /
    • 2008
  • 본 논문은, 장기 전력수요예측시 최종 수요예측 결과에 수요관리량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수요관리 순증분 차감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고, 순증분 차감방식이 수요관리량 반영방법으로서 적정한지 검증해보았다. 검증 결과 순증분 차감방식은 현실적으로 수요관리 실적에 대한 정확한 계량이 어려운 상황에서 가장 타당한 방법으로 검증되었다.

  • PDF

A Forecast Model for Information Security Certificate (정보보호평가에 대한 수요예측모형)

  • Kim, Youn-Chong;Kim,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57-59
    • /
    • 2007
  • 정보보호시스템 평가수요의 예측은 예측된 평가수요를 근거로 적극적인 평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평가수요예측을 하기위하여 일반적으로 설문조사를 이용하지만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으로 인하여 설문응답 자료만으로 평가수요를 예측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설문조사의 평가수요를 보정할 수 있는 모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예측 할 수 있는 직접적인 평가수요와 통계적 모형을 이용한 간접적 평가수요를 비교하고 설문조사의 대체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Manufacturer/Buyer Coordinating Model under Analyzing Manufacturing Cost and Adjusting Economic Order Quantity in Competitive Market. (경쟁적 공급사슬 환경에서 생산 원가 분석 및 경제적 주문량의 변화를 통한 생산자/수요자 협상 모델)

  • 최윤락;한주윤;정봉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564-571
    • /
    • 2003
  • 단일 기업의 내부적인 공급 사슬 환경이 아닌 정보의 공유가 없는 일정한 수의 생산자들과 수요자들로 이루어진 경쟁적인 공급 사슬환경에서는 각각의 생산자와 수요자들은 상대방의 가격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공급 사슬 환경에서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시키며, 경쟁적인 상대방과의 협상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수리적인 모델이 필요하다. 수요자의 경우, 시장 판매 가격은 제품의 구매 원가와 관련이 있으며 제품의 구매원가는 제품의 수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제품 수요의 변화는 수요자가 생산자에게 요구하는 경제적인 주문량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또한 생산자의 경우, 생산 공정의 변화가 생산 원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요자가 주문하는 경제적인 주문량의 변화에 따른 정확한 생산 원가의 산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생산자와 수요자의 측면에서 각각의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 수리적인 모델을 제시한다. 수요자 측면에서는 경쟁 시장환경 기반의 수요량과 시장 가격을 바탕으로 한 최적의 주문량 및 가격을 결정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생산자 측면에서는 수요자의 주문량을 만족시켜주기 위해 생산시스템의 성능 요소를 반영산 생산 원가 산출 모델을 이용하여 납기일 내데 수요자의 주문량을 만족시키기 위한 최적 생산 원가를 산출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제시한 두 가지 모델을 이용하여 생산자와 수요자는 제품에 대한 가격 협상을 통해 각각의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의사결절이 가능하다.

  • PDF

전(電)력질주_1 - 아낀 전기, 이제 시장에서 판다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56
    • /
    • pp.47-49
    • /
    • 2014
  • 현재 전력산업의 패러다임은 늘어나는 전력수요를 발전소 등 전력설비를 증설해 대응하는 것에서 벗어나, 전력수요를 적절히 관리해 수요 증가세를 억제함으로써 전력수급의 안정화를 이루겠다는 방향으로 전환됐다. 이에 지난달 25일 개설된 수요자원 거래시장은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발전자원만을 유일한 공급원으로 거래하던 현행 전력시장에서, 발전자원과 수요자원을 통합해 거래하는 시장으로 전환됨을 뜻하기 때문이다. 수요자원 거래시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 PDF

Load forecasting and demand management considering with renewable energy (신재생 에너지원을 고려한 수요예측 및 수요관리 방안)

  • Kim, Jin-Hee;Lee, Je-Gon;Cha, Jun-M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2259_2260
    • /
    • 2009
  • 현재 전력수급 상황은 제4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통하여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도모하고 있다. 미래의 전력수요를 예측하는 수요예측(Load Forecast)과 소비자의 합리적인 전기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수요관리(Demand Management) 및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전기소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요반응(Demand response)이 있다. 이와 더불어 제 3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원을 고려해 수요예측 및 수요관리를 한다면 환경문제와 연료고갈 문제의 개선과 기타 에너지원의 절약이 가능하다. 또한 탄소량 배출 감소 효과와 현재의 수요관리 목표량보다 효과적인 수요관리가 가능하다.

  • PDF

An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power system load profile and weather conditions (전력총수요와 기상과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Jong-Hoon;Park, Jeong-Do;Song, Kyung-B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2213-2214
    • /
    • 2006
  • 전력계통 수요예측은 주로 과거의 부하실적을 바탕으로 미래의 수요를 예측한다. 그러나 전력수요는 사회, 기상,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영향을 받으므로,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력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전력총수요와 기상 상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기상이 전력총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한다. 기상 상태를 태풍, 장마 등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기상 형태가 전력총수요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분석된 상관관계는 전력계통 수요특성에 관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기존 수요예측의 정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power system load profile and weather conditions (전력총수요와 기상과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Jong-Hoon;Park, Jeong-Do;Song, Kyung-B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a
    • /
    • pp.581-582
    • /
    • 2006
  • 전력계통 수요예측은 주로 과거의 부하실적을 바탕으로 미래의 수요를 예측한다. 그러나 전력수요는 사회, 기상,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영향을 받으므로,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력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 것이다. 본 논문은 전력총수요와 기상 상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기상이 전력총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한다. 기상 상대론 태풍, 장마 등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기상 형태가 전력총수요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분석된 상관관계는 전력계통 수요특성에 관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기존 수요예측의 정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power system load profile and weather conditions (전력총수요와 기상과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Jong-Hoon;Park, Jeong-Do;Song, Kyung-B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1247-1248
    • /
    • 2006
  • 전력계통 수요예측은 주로 과거의 부하실적을 바탕으로 미래의 수요를 예측한다. 그러나 전력수요는 사회, 기상,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영향을 받으므로,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력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전력총수요와 기상 상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기상이 전력총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한다. 기상 상태를 태풍, 장마 등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기상 형태가 전력총수요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분석된 상관관계는 전력계통 수요특성에 관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기존 수요예측의 정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power system load profile and weather conditions (전력총수요와 기상과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Jong-Hoon;Park, Jeong-Do;Song, Kyung-B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c
    • /
    • pp.1707-1708
    • /
    • 2006
  • 전력계통 수요예측은 주로 과거의 부하실적을 바탕으로 미래의 수요를 예측한다. 그러나 전력수요는 사회, 기상,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영향을 받으므로,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력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전력총수요와 기상 상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기상이 전력총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한다. 기상 상태를 태풍, 장마 둥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기상 형태가 전력총수요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분석된 상관관계는 전력계통 수요특성에 관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기존 수요예측의 정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