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환경

검색결과 1,276건 처리시간 0.029초

교사의 환경교과 전담 여부가 환경교과 수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생태와 환경 수업을 사례로 - (The Influence of Teacher's Charge on Environmental Education Class -A Case Study on Ecology and Environment Class for High School in Korea-)

  • 강유정;김종욱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7권1호
    • /
    • pp.101-111
    • /
    • 2004
  • The selection rates of Environmental subject have been increasing since the environmental subject was made. Although the quantitative growth, environmental subject is not acknowledged yet in many schools in Korea. Most of environmental teachers teach two subjects; main subject on their own major and environmental subject. In this respect, this qualitative case study aims to show the influence of teachers' charge on environmental class or environmental subject. In the case study, Teacher 'A' takes charge one subject; Environmet, and teacher 'B' takes charge two subjects; Social Study and Environment. Teacher 'A' took some current issues such as SARS(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and Saemangum project, and uses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and instruments. On the other hand, teacher 'B' might not choose the current issues, or usually gives up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and instruments because of lack of time. Although they have those differences on the instruction, the teachers 'A' and 'B' both agreed to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well as they did their best to prepare for class on environmental subject. As a result, all these outcomes show teachers need to be responsible for single subject on environment as teachers' interests seriously affect to environmental subject and class.

  • PDF

초등 온라인 환경에서 교육용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수업 설계 및 효과 (A Design and Effect of Maker Education Using Educ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in Elementary Online Environment)

  • 김근재;한형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61-71
    • /
    • 2021
  •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학습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메이커 교육은 학교 수업 현장에 적용하기에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온라인 환경에서 교육용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수업을 설계하는 목적을 지닌다. 또한, 이에 대한 반응 확인과 함께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와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해 수업을 설계하였다. 면담을 통한 교수자와 학습자 반응 확인, 대응 표본 t검증을 활용한 사전-사후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초등 온라인 환경에서 교육용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수업은 공감하기, 메이킹 문제 정의하기, 재료 및 도구 특성 파악하기, 리믹스를 활용한 알고리즘 설계 및 코딩하기 등을 포함한 총 10단계로 구성된다.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사전-사후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교육 맥락에서 교육용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실제적인 메이커 활동이 온라인 환경에서도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한 의미를 지닌다.

앱 저작도구를 이용한 교육용 앱개발 연구 (A Study on Educational App Development using the App Authoring Tool)

  • 김은수;박준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1-6
    • /
    • 2012
  • 본 연구는 급변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발맞추어 스마트의 발달과 시장의 확대로 수많은 교육용 앱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학교 수업 내용에 대한 앱은 전무한 현실에서 교수자가 직접 앱을 개발하여 학교 수업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스마트폰의 최대 장점인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학교 수업 내용을 학습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학습 환경을 만드는데 있다. 또한 앱을 외주 업체나 프로그래머에게 의뢰하지 않고 컴퓨터 비 전공자도 개발 가능한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앱을 제작한다면 교육 현장에서 수정 및 업데이트가 용이하고 시간과 비용 낭비를 줄임은 물론 학습자의 학습 능률과 학습 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이고자 한다.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평가를 통한 영역별 난이도의 조사 분석 - 초등수학 5-나, 6-나 단계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degree of difficulty of domains through an assesment of 'Review Problem')

  • 안병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27-342
    • /
    • 2006
  • 이제 학교수업도 완전한 주5일제수업 실시의 일환으로 올해부터 월 2회로 확대되었고, 학교의 재량활동 시간이나 방과 후 활동 강화 등으로 학교의 교육환경이 많이 변화하고 있다. 이런 교육환경의 변화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학교의 교과수업시수 변화에 대한 준비를 예고하고 있다. 학교수학도 마찬가지로 지금보다 더 정선된 교과내용의 양과 수준으로 학생들의 수준에 대응하는 학습내용과 그에 따른 지도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 5-나, 6-나 단계의 교과서 내용을 지도한 후 단원마다 실시하는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별 통과율과 이를 영역별로 분류하여 학생들의 학습결과에 대한 학습수준을 파악하고, 지도교사의 분석을 통하여 수학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PDF

초등학생들의 도움요청 행동에 대한 도움제공자의 선호 및 수업환경 지각의 역할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 Helper Preference and the Classroom Environment)

  • 조준수
    • 아동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3-255
    • /
    • 1999
  • We sampled 167 2nd, 4th, and 6th grade students to assess who, why, and in what situations they asked for help when they had problems in math class.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generally perferred(??) classmates to the teacher as helpers but they saw the teacher as more likely to facilitate learning. Second graders perceived a closer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 than sixth graders. At the upper grades, student were more likely to report asking for assistance if they thought that other students also needed assistance.

  • PDF

효과적인 e-NIE 수업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using e-NIE(electronic-Newspaper In Education))

  • 박지연;전석주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7-134
    • /
    • 2010
  • 지식정보사회에서 좋은 수업이란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하는 수업이다. 이런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추상화, 일반화된 내용으로 구성된 교과서에 있는 학습 내용이 아니라 학습자가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 내용이 필요하고, 그 학습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매체를 찾아야 한다. 신문은 매일 다양한 분야의 새로운 정보가 제공되고, 이를 활용하면 유익하고 실용적인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교과서'로 불린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패러다임의 변화는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누구나(anyone)원하는 수준의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e-learning 체제와 인터넷 신문(전자 신문)을 등장하게 했다. 이러한 변화된 환경은 NIE의 방법과 영역을 더욱 넓게 확대시켜 e-NIE로 발전시켰고, e-NIE는 수업목표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매체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수업설계모형에 맞게 e-NIE를 활용한 수업안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수업 설계시 수업목표를 달성하는데 촉진제 역할을 하도록 e-NIE를 투입하였고, e-NIE를 활용하는 활동과정에서 다양한 고등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수업안을 작성하였다.

  • PDF

몽골 대학에서 상업영어와 마케팅 교과간 융합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Class Model about Marketing and Business English in Mongolia University)

  • 바야르마;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610-616
    • /
    • 2018
  • 세계적으로 다양한 창의융합교육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문제중심학습 바탕으로 한 창의융합교육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공학적 인재양성을 위한 STEAM 교육 개발연구에서도 윤리의식 및 배려심, 협동심, 리더십, 소통 능력 등 인성적 요소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케팅과 상업영어 교과간 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융합 수업의 과정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여 수업과정 관련 교과 선정, 주제 선정, 수업설계, 수업 지도안 작성 및 문제 개발, 융합 수업 전 과정에 대한 논의, 수업 실행, 수업 평가의 단계를 설계하여 수업이 진행된 후 평가를 하였다. 마케팅과 상업영어 교과간 융합 수업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여 몽골 대학에서 적합한 교육 환경을 도입하고자 한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지식기방 사회에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시키길 필요성에 따라 과학 기술의 융합을 통해 창의적 융합인재를 양성한다는 전략이 몽골대학에서도 계속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상황에서 무엇보다 "창의력"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