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술 후 환자

Search Result 3,53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Mid-term Result of Operations for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 수술의 중기적 결과)

  • 최종범;고광표;한재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3 no.11
    • /
    • pp.876-880
    • /
    • 2000
  • 배경: Maze수술은 승모판 질환에 동반되는 심방세동의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있다. 이 연구는 승모판 수술과 심방세동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에서 심방세동 수술 후 중기적인 결과와 그 재발 여부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방세동 수술과 승모판 수술을 받은 11예의 환자(10예는 류마티스성 승모판 질환)를 대상으로 하였다. Maze II 수술 및 그 변형수술을 6예에서 시행했고, Maze III 수술 및 그 변형수술을 5예에서 시행하였다. 심방세동 수술 후 좌심방의 수축정도를 심방세동 수술 없이 승모판 수술만으로 동율동을 얻은 경우와 비교하였다. 결과: Maze II 수술을 받은 환자 6예 중 5예(83.3%)에서, maze III 수술을 받은 환자 5예 모두에서 동율동을 회복하였다(전체적으로 90.9%). 전자의 1예(20%)와 후자의 2예(40%)에서 수술 후 각각 23, 2, 13개월만에 심방세동이 재발하였다. 그 후 다시 2예는 동율동으로 전환되었으나, 1예는 재발된 심방세동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변형술을 받은 3예에서는 심방세동의 재발이 없었다. Maze 수술 후 4예(40%)에서만 좌심방의 수축기능을 보였으며, maze 수술 후 좌심방 수축 정도(승모판의 A파의 속도)도 maze 수술 없이 승모판 수술과 항부정맥제 투여로 동율동을 회복한 경우보다 낮았다. 결론: 심방세동을 동반한 승모판 수술 환자에서 maze 수술로써 심방세동으로부터 동율동을 회복할 수 있으나 중기적으로 재발할 수 있으며, maze 수술 후 좌심방 수축정도는 상당히 떨어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Long-Term Results of Atrial Fibrillation Surgery with Mitral Valvular Disease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 수술의 장기 결과)

  • 장병철;맹대현;강정한;조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3 no.11
    • /
    • pp.881-885
    • /
    • 2000
  • 배경: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의 경우 그 기간이 길면 승모판막 질환을 수술하여도 동성 율동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적다. 본 연구는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에 대한 변형 Maze 수술후 장기 결과와 심방세도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승모판막 질환과 동반된 심방세동으로 외과적 요법을 시행받은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심방세동의 평균 유병기간은 평균 7.7$\pm$4.5년이었고 수술은 승모판막 대치술 34례(재수술 3례)와 승모판막 성형술 1례를 시행하였고 승모판 질환 수술 외에 동반 수술로는 삼첨판륜 성형술 4례, 삼첨판막 대치술 3례 였다. 심 방세동에 대한 수술은 좌측 폐정맥 부위는 격리하지 않는 변형 Maze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동성 율동으로 회복여부, 심방세동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과 장기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직후 2례를 제외한 33례(93.9%)에서 동성율동으로 돌아왔으나 수술 후 퇴원 전에 12례에서 심방세동이 재발되었다. 수술환자중 1례에서 수술 후 3일에 동성 정지에 따른 심정지가 발생하여 소생되었으나 뇌손상으로 수술 후 15일에 사망하였다. 심방세동이 재발된 경우 수술 후 약 2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항부정맥 약물(mquinidine)과 전기적 제세동으로 치료하여 12례중 10례에서 동성 율동으로 돌아온 환자는 항부정맥 약물을 모두 중단하 였으며, 수술 후 3년에서 9년(평균 71.1$\pm$17.5개월) 추적 관찰 중 9례에서 심방세동이 재발되어 장기간 동성 율동이 유지된 환자는 34명중 25명으로 73.5%이었다. 승모판 질환이 있던 환자에서 수술 후 심방세동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 수술전 심방세동의 기간(동성율동 유지군 : 재발군=6.3년 : 10.3년, P=0.008)과 수술 전 단순 흉부 X선상 심흉비율(0.58 : 0.72, p=0.009)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심초음파 검사상 좌심방의 직경(57.2mm : 77.4mm, p=0.106)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 질환 수술시 병행하여 수술한다면 정상 동성 율동으로 회복될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수술후 재발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술기의 변형에 대한 연구와 약물요법의 병행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증모판막부전증 환자를 중심한 심장 수술 전후의 간호

  • 송재은
    • The Korean Nurse
    • /
    • s.5
    • /
    • pp.52-64
    • /
    • 1963
  • mitral insufficiency환자를 일렬로 하여 open heart surgery에 있어서의 수술 전, 수술 후의 nursing care에 대해 적어보았다. 수술 전 nursing care에 있어서는 이 환자의 심장질환을 정확하게 진단 후 대수술을 받기에 알맞도록 전신상태나 심장질환 그 자체를 호전시키는 데에 의사와 함께 적극적으로 협조 노력하여야 한다. 수술 후에 있어서는 회복기에 들어갈 때까지 한시도 쉴새없이 환자를 감시하고 조금이라도 이상이 있으면 즉시로 그것을 교정하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심장수술은 다른 수술과는 달리 특별히 훈련된 nurse에 의해 care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Web-based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for the Operation Patients (수술환자를 위한 웹 기반 근거중심 실무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평가)

  • Hong, Sung-Jung;Chang, Jae-Sik;Jeon, Young-Hoon;Lee, Eun-Joo;Kim, Hwa-Su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2 no.1
    • /
    • pp.131-13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patient's satisfaction and clinician' knowledge level about pain, nausea, vomiting, and temperature management of patients after operation by develop an web-based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about pain, nausea, vomiting, and temperature control after operation in order to apply the guideline operation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real number,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repeated ANOVA by using SPSS/WIN 17.0 program. The study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pain, nausea/vomiting, and temperature control after operation and patient's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web-based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Congenital Heart Surgery with Fast Track Hospital Discharge (단기 퇴원 지침으로 시행한 선천성 심기형 수술)

  • 이정렬;정동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1
    • /
    • pp.41-44
    • /
    • 2001
  • 배경: 최근 들어 최소 절개술의 도입의 장점으로 입원간의 단축이 거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소 흉골 절개술(mini-sternotomy)하에 시행된 개심술 환자에 대하여 전향적으로 수술 후 문제가 없는 환아에 대하여 5일 이내에 퇴원을 시도하고 그 안전성, 경제성 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1월부터 1999년 7월까지 최소 흉골 절개술하에 개심술을 시행한 환자 중 5일 이내에 퇴원한 환자 29명과 1997년 1월부터 5월까지 전통적인 흉골 절개술로 개심술을 시행한 29명의 환아들을 각각 실험군(제1군)과 대조군(제2군)으로 하였다. 환자는 동일한 수술자로부터 수술을 받았고 질병군은 유사하였다. 결과: 제1군과 제2군의 수술 후 재원일수, 총 병원비, 합병증, 수술 후 소견 등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평균 수술 후 재원일수는 4.5$\pm$0.6일 및 9.1$\pm$2.4일이었다(p<0.05). 두 환자군에서 수술 후 합병증으로 인한 재입원은 없었고 수술 후 시행한 심초음파에서도 심장수술과 관련된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1군의 총 입원비의 평균은 7,333,184$\pm$113원이었고, 환자부담액은 3,464,383$\pm$80원이었다. 반면 제2군에서의 총 입원비의 평균은 7,486,136$\pm$140원, 환자부담액은 3,660,194$\pm$92원이었다(p>0.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단기 퇴원 지침하에 환자를 치료함으로써 수술 후 재원일수를 단축시키는 시도가 합병증이나 잔존 병변을 남기지 않고 안정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경제적 이점은 통계적인 유의성을 찾을 수 없었다. 향후 환자군의 크기와 질병군의 난이도 등을 조절한 비교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Fate of Regurgitation of Left Atrioventricular Valve Following Repair of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완전 방실중격결손증의 수술적 교정 후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에 대한 장기적 임상 경과 관찰)

  • 김시호;박한기;장병철;조범구;방정희;박영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6 no.12
    • /
    • pp.961-96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ate of left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LAVVR) following repair of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s (AVSDs).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uly 1984 and March 2002, repair of complete AV defects were performed in 77 patients. Mean age at surgery was 30.23$\pm$69.11 months (range 1 to 456). Echocardiograms of all survivors after isolated AVSDs correction were reviewed. LAVVR were evaluated with color doppler echocardiography in 64 survival periodically. On each study, LAVVR severity was graded on a 1 to 4 scale, based upon the size of the regurgitated jet. Result: Mild deterioration of LAVV function was fairly common. LAVVR severity increased by >1 grade in 19 patients (30.2%)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However, the deterioration in LAVVR function occurred primarily between 12 and 24 months postoperatively. After the initial 24 postoperative months, LAVVR worsened on only 8 occasions and in each instance worsened by only 1 grade. Deterioration more than 3+ LAVVR occurred in only 3 patients. And deterioration to 4+ LAVVR was not observed after the initial 24 postoperative months but one. Survival curve analysis predicted a 88.2% of ten-year freedom rate from development of 4+ LAVVR after initial operation of complete AVSDs. Conclusion: Postoperative LAVVR remains fairly stable following AVSDs repair, Serious deterioration is rare after 24 postoperative months, especially after the initial 48 postoperative months. But serial follow-up study with echocariogram was need till 24 postoperative months after repair of complete AVSDs.

Analysis of 5-year Survival Rate of Gastric Cancer Patients Using Pseudo Random Variable (회귀보완법을 이용한 위암 환자의 수술 후 5년 생존율에 관한 분석)

  • 송재기;이원기;송명언;유완식;정호영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2 no.2
    • /
    • pp.325-333
    • /
    • 1999
  • 경북대학교병원에서 1985년에서 1994년까지 위암 때문에 위 절제수술을 받은 1,192명의 환자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5년 생존율에 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위암 진단을 받은 환자가 수술을 받으려고 할 때 또는 수술을 직후에, 환자의 임상적 특성들을 이용하여 수술후 생존시간과 수술후 5년 생존 여부는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실제 임상자료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므로 생존시간이 우측 중도절단된 형태로 관측되어 기존의 판별분석과 로짓분석을 적용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Buckley와 James가 제안한 의사확률변수를 이용하여 수술전과 수술직후, 두 시점에서 중도절단된 자료를 보완하고, 판별분석과 로짓분석을 통하여 수술전과 수술직후에 환자들의 각 특성이 5년 생존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을 한다.

  • PDF

ORAL AND OROPHARYNGEAL CANCER: TWENTY-YEAR EXPERIENCE IN KOREA (구강 및 구인두암)

  • Seel David Joh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 no.1
    • /
    • pp.7-13
    • /
    • 1985
  • 구강과 구인두에서 발생되는 유표피암은 전체 예수병원 암환자의 3.9%를 차지한다. 만 20 년 간의 월발성 유표피암 환자 5%명에 대한 고찰결과, 혀 전방 2/3 에서 29%로써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으며 faucial arch, base of tongue 및 tonsil을 포함한 구 인두는 28%의 발생빈도를 나타냈다. 그외는 잇몸, 구강저, 구순, 구개 (palate) 및 구강내 점막의 빈도순이었다. 환자 중 153 명 만이 근치적 치료를 받았다. 1974 년 이전에는 치료 정책에 수술만이 활용되었던 까닭으로 역행성 분석결과 74 명에서는 수술만 시행케 되었으나, 그 이후의 70 명에서는 종합적치료를 시행하였으며 그중 9 명은 확실한 방사선요법을 받았다. COMMANDO 수술과 복합절제술 (Composite resection) 을 시행했던 환자들의 비교검토는 매우 의의가 있었다. 수술만 받은 환자와 비교해 볼때, 수술후 방사선요법을 병행했던 수술환자의 경우에 있어서 재발율은, Stage III 에서는 50%에서 41%로, Stage IV 는 79%에서 68%로 각각 감소를 보였다. 또한, COMMANDO 수술 경우만 국한시켜 비교할 때는 수술만 받은 환자와 비교할 때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와 비교하여 2 년간 무병율 (disease free interval) 이 수술후 방사선요법을 병행함으로써 17.3%에서 29.3%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nemia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위암환자의 위절제술 전후의 빈혈)

  • Sohn, Jun-Ho;Yu, Wan-Sik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5 no.3 s.19
    • /
    • pp.146-151
    • /
    • 2005
  • Purpose: We have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nemia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 order to provide optimal medical care for th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Preoperative hemoglobin, serum iron, serum ferritin, serum vitamin $B_{12}$, and serum folic acid were measured for 321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ese were measured again for 287 patients 6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Ninety-four patients (29.3%) had preoperative anemia. Preoperative hemoglobin, serum iron, and serum vitamin $B_{12}$ levels were higher in the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than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Preoperative hemoglobin, serum iron, and serum ferritin levels were higher in male patients than in female patients. The patients who had preoperative anemia showed a high probability of having postoperative anemia (P<0.001), and the patients who had low serum ferritin levels preoperatively showed a high probability of having low serum ferritin levels and iron deficiency anemia postoperatively (P<0.004). Conclusion: Preoperative ferritin deficiency should be improved by iron supplement, even though the patient may not be anemic at that time. Periodic postoperative measurements of the hemoglobin, serum iron, serum ferritin, serum vitamin $B_{12}$, and serum folic acid levels are highly recommended because postgastrectomy anemia is not rare. Finally, if any low hemoglobin, serum iron, serum ferritin, serum vitamin $B_{12}$, or serum folic acid levels are found, they should be treated in an appropriate way.

  • PDF

A Case Study of the Effects of Vision Therapy on a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Patient Before and After Surgical Correction (간헐성외사시의 수술 전과 수술 후 재발 환자의 비젼세라피 효과 증례)

  • Lee, Chang-Seon;Kim, Ki-Hong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4 no.1
    • /
    • pp.127-131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study effect of the vision therapy on a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patient before and after surgical correction. Methods: The vision therapy observation included both before and after the surgical correction of intermittent exotropia patients who had binocular vision disorder without opthalmic disease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vision therapy method showed improvement, both case before and after the surgical correction of intermittent exotropia patients. Conclusions: Therefore we suggest that vision therapy is an effective and alternative method for intermittent exotropia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