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술 후

Search Result 5,32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Mid-term Result of Operations for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 수술의 중기적 결과)

  • 최종범;고광표;한재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3 no.11
    • /
    • pp.876-880
    • /
    • 2000
  • 배경: Maze수술은 승모판 질환에 동반되는 심방세동의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있다. 이 연구는 승모판 수술과 심방세동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에서 심방세동 수술 후 중기적인 결과와 그 재발 여부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방세동 수술과 승모판 수술을 받은 11예의 환자(10예는 류마티스성 승모판 질환)를 대상으로 하였다. Maze II 수술 및 그 변형수술을 6예에서 시행했고, Maze III 수술 및 그 변형수술을 5예에서 시행하였다. 심방세동 수술 후 좌심방의 수축정도를 심방세동 수술 없이 승모판 수술만으로 동율동을 얻은 경우와 비교하였다. 결과: Maze II 수술을 받은 환자 6예 중 5예(83.3%)에서, maze III 수술을 받은 환자 5예 모두에서 동율동을 회복하였다(전체적으로 90.9%). 전자의 1예(20%)와 후자의 2예(40%)에서 수술 후 각각 23, 2, 13개월만에 심방세동이 재발하였다. 그 후 다시 2예는 동율동으로 전환되었으나, 1예는 재발된 심방세동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변형술을 받은 3예에서는 심방세동의 재발이 없었다. Maze 수술 후 4예(40%)에서만 좌심방의 수축기능을 보였으며, maze 수술 후 좌심방 수축 정도(승모판의 A파의 속도)도 maze 수술 없이 승모판 수술과 항부정맥제 투여로 동율동을 회복한 경우보다 낮았다. 결론: 심방세동을 동반한 승모판 수술 환자에서 maze 수술로써 심방세동으로부터 동율동을 회복할 수 있으나 중기적으로 재발할 수 있으며, maze 수술 후 좌심방 수축정도는 상당히 떨어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Long-Term Results of Atrial Fibrillation Surgery with Mitral Valvular Disease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 수술의 장기 결과)

  • 장병철;맹대현;강정한;조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3 no.11
    • /
    • pp.881-885
    • /
    • 2000
  • 배경: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의 경우 그 기간이 길면 승모판막 질환을 수술하여도 동성 율동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적다. 본 연구는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에 대한 변형 Maze 수술후 장기 결과와 심방세도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승모판막 질환과 동반된 심방세동으로 외과적 요법을 시행받은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심방세동의 평균 유병기간은 평균 7.7$\pm$4.5년이었고 수술은 승모판막 대치술 34례(재수술 3례)와 승모판막 성형술 1례를 시행하였고 승모판 질환 수술 외에 동반 수술로는 삼첨판륜 성형술 4례, 삼첨판막 대치술 3례 였다. 심 방세동에 대한 수술은 좌측 폐정맥 부위는 격리하지 않는 변형 Maze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동성 율동으로 회복여부, 심방세동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과 장기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직후 2례를 제외한 33례(93.9%)에서 동성율동으로 돌아왔으나 수술 후 퇴원 전에 12례에서 심방세동이 재발되었다. 수술환자중 1례에서 수술 후 3일에 동성 정지에 따른 심정지가 발생하여 소생되었으나 뇌손상으로 수술 후 15일에 사망하였다. 심방세동이 재발된 경우 수술 후 약 2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항부정맥 약물(mquinidine)과 전기적 제세동으로 치료하여 12례중 10례에서 동성 율동으로 돌아온 환자는 항부정맥 약물을 모두 중단하 였으며, 수술 후 3년에서 9년(평균 71.1$\pm$17.5개월) 추적 관찰 중 9례에서 심방세동이 재발되어 장기간 동성 율동이 유지된 환자는 34명중 25명으로 73.5%이었다. 승모판 질환이 있던 환자에서 수술 후 심방세동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 수술전 심방세동의 기간(동성율동 유지군 : 재발군=6.3년 : 10.3년, P=0.008)과 수술 전 단순 흉부 X선상 심흉비율(0.58 : 0.72, p=0.009)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심초음파 검사상 좌심방의 직경(57.2mm : 77.4mm, p=0.106)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 질환 수술시 병행하여 수술한다면 정상 동성 율동으로 회복될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수술후 재발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술기의 변형에 대한 연구와 약물요법의 병행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tracameral Epinephrine Injection after Phacoemulsification on Pupil Dilation during Phacovitrectomy for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유리체절제술과 수정체유화술 동시 수술 시 백내장수술 후 앞방내 에피네프린 주입과 동공 확대)

  • Kim, Sangbum;Park, Jongyeop;Shin, Jaeryung;Lee, Se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
    • v.59 no.12
    • /
    • pp.1137-1141
    • /
    • 2018
  • Purpose: We explored the mydriatic effects of injected intracameral epinephrine after phacoemulsification (PE) combined with phacovitrectomy to treat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PDR). Methods: We enrolled 96 patients (96 eyes) who underwent phacovitrectomy to treat PDR; we used ImageJ software to measure pupil sizes and the ratios of pupil to cornea area (PCA) before and after PE and after pars plana vitrectomy (PPV). We compared pupil sizes between those who received intracameral epinephrine (0.001% w/v) after PE but before PPV (study group, 46 eyes) and patients not so treated (control group, 50 eyes). Results: The PCA ratios of the study group were $0.52{\pm}0.11$ before PE, $0.43{\pm}0.12$ after PE, and $0.51{\pm}0.11$ after PPV, respectively. Changes in pupil size were significant (p < 0.001, p < 0.001 respectively). The PCA ratios of the control group were $0.52{\pm}0.10$ before PE, $0.39{\pm}0.15$ after PE, and $0.43{\pm}0.15$ after PPV, respectively. Changes in pupil size after PE were significant (p = 0.011) but the change after PPV was not (p = 0.056). Conclusions: Intracameral epinephrine given after PE but before PPV effectively dilates the pupils during phacovitrectomy to treat PDR.

Fate of Regurgitation of Left Atrioventricular Valve Following Repair of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완전 방실중격결손증의 수술적 교정 후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에 대한 장기적 임상 경과 관찰)

  • 김시호;박한기;장병철;조범구;방정희;박영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6 no.12
    • /
    • pp.961-96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ate of left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LAVVR) following repair of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s (AVSDs).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uly 1984 and March 2002, repair of complete AV defects were performed in 77 patients. Mean age at surgery was 30.23$\pm$69.11 months (range 1 to 456). Echocardiograms of all survivors after isolated AVSDs correction were reviewed. LAVVR were evaluated with color doppler echocardiography in 64 survival periodically. On each study, LAVVR severity was graded on a 1 to 4 scale, based upon the size of the regurgitated jet. Result: Mild deterioration of LAVV function was fairly common. LAVVR severity increased by >1 grade in 19 patients (30.2%)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However, the deterioration in LAVVR function occurred primarily between 12 and 24 months postoperatively. After the initial 24 postoperative months, LAVVR worsened on only 8 occasions and in each instance worsened by only 1 grade. Deterioration more than 3+ LAVVR occurred in only 3 patients. And deterioration to 4+ LAVVR was not observed after the initial 24 postoperative months but one. Survival curve analysis predicted a 88.2% of ten-year freedom rate from development of 4+ LAVVR after initial operation of complete AVSDs. Conclusion: Postoperative LAVVR remains fairly stable following AVSDs repair, Serious deterioration is rare after 24 postoperative months, especially after the initial 48 postoperative months. But serial follow-up study with echocariogram was need till 24 postoperative months after repair of complete AVSDs.

The In-hospital Analysis of Outcome of Off-pump CABG and On-pump CABG (비체외순환 및 체외순환하에서의 관상동맥우회로술의 임상 고찰)

  • 안재범;김인섭;정성철;배윤숙;유환국;김병열;김우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7 no.9
    • /
    • pp.762-767
    • /
    • 2004
  • With the developement of non-invasive surgical techeniques,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has become popular. We compared the preoperative risk factors and in-hospital outcomes of patients having off-pump CABG with these having on-pump CABG. Material and Method: From January 2001 to June 2003, 87 patients underwent CABG. Thirty-sin patients underwent on-pump CABG, fifty-one patients under-went off-pump CABG. Preoperative risk factors, extent of coronary disease, operative time, postoperative endotracheal intubation time, duration of ICU stay & hospital stay, the amount of bleeding and postoperative levels of cardiac enzymes were compared in both groups, Result: The were no differences in their sex ratios, ages, preoperative risk factors, preoperative Ml, Canadian classes, ext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s and, echocardio-graphic ejection fraction between Off-pump CABG and On-pump CABG groups. Off-pump CABG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mean operative time (270$\pm$79.3 min vs 372$\pm$142.2 min, p<0.001), mean ventilation time (17.1$\pm$13.4 hr vs 24.3$\pm$17.8 hr) and CK-MB level (8,9$\pm$18.7 IU/L vs 25.7$\pm$8.4 IU/L) than on-pump CABG groups, On-pump CABG group had more distal grafts (2.2$\pm$0.5 vs 1.7$\pm$0.71 than Off-pump CABG groups di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i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outcomes including amount of postoperative bleeding for 24 hrs, reoperation for bleeding control, mean in-hospital days, postoperative infection, renal failure and neurologic complications between Off-pump CABG and On-pump CABG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s who underwent Off-pump CABG had less operation time & intubation time and lower CK-MB level; however, they also have less distal graft. Even though CABG without CPB provided satisfactory results, more clinical experience & longer follow-up is required.

The Effects of Semi-Fowler's position on Post-Operative Recovery and Pain for Patients with Laparoscopic Abdominal Surgery (복강경 수술 후 반좌위가 수술회복성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 Choi, Un Jong;Ha, Tae Uk;Kang, Ji S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5
    • /
    • pp.412-419
    • /
    • 2017
  • Purpose: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Semi-Fowler's position on post-operative recovery and pain for patients with laparoscopic abdominal surgery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o validate the effects of theSemi-Fowler's position. After IRB approval, 56 patients took part in this study, 29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in the control group. Consent was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The Semi-Folwer's position was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supine position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for 24 hours after surgery. All data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rom April to June 2016.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hi-squared test, independen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 20.0.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ith regard to recovery outcom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ce differencebetween groups and among check times with regard to post operational pain. Conclusion: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that will be usefulto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mproving recovery outcomes and pain for laparoscopic operation patients.

Influence Factors for Predict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영향요인)

  • Cho, Eun-A;Jang, Ji-Sun;Kim, Kye-H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6
    • /
    • pp.632-64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nfluence factors for predict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PONV) for postoperative 24hr. Participants were 332 general surgery(GS), neurosurgery(NS), orthopedic surgery(OS), obstetrics and gynecology(OBGY), otorhinolaryngology (ENT) surgical patients at one hospital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4 to December 2015,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x^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non smoking (p=.011), history of motion sickness (p=.020), history of PONV (p=.001), post operative pain (p=.001) were influence factors for PONV. Preoperative intensive management of PONV is necessary if there is a history of non smoker, history of motion sickness and history of PONV before surgery, and postoperative pain should be actively intervened.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Thyroidectomy ; A Modification of the Conventional Thyoidectomy Technique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법 :전통적 갑상선 수술법의 변형술식)

  • Park Cheong-Soo;Chung Woung-Youn;Chang Hang-Seo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6 no.2
    • /
    • pp.177-181
    • /
    • 2000
  • 배경 및 목적: Theodor Kocker에 의해 일반화된 전통적인 갑상선 수술방법은 갑상선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수술범위와 상관없이 광범위한 수술범위로 인한 조직 손상으로 인해 수술후 환자들의 여러가지 불편감은 물론 경부의 넓은 부위의 통증과 경부 피부부종, 장액종, 혈종 등과 같은 후유증을 동반할 수 있다. 최근 본 저자들은 이같은 전통적 갑상선 수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작은 피부절개($3{\sim}4.5cm$) 후 피하 피판(subplatysmal skin flap) 없이 직접 갑상선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수술기법으로서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기법을 개발하였기에 그 술식을 소개하고 전통적인 갑상선 절제술에 대한 우월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 15일 부터 2000년 1월 14일까지 573예의 갑상선 수술 예 중 최소침습 갑상선절제술이 시행되었던 466예와 1998년 1월 15일부터 1999년 1월 14일까지 전통적 갑상선 수술을 시행한 549예 중 거대 종양(양성>6cm, 악성>5cm), 흉골하 선종, 국소진행암, 재발암, 측경부의 다발성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112예를 제외한 437예의 임상병리적 특성과 피부절개 길이, 수술 시간, 수술중 출혈양, 수술후 진통제 요구빈도 및 재윈기간, 수술 후 합병증 발생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두 군간의 임상병리적 특성상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피부절개 길이($3.7{\pm}0.7cm,\;vs\;9.6{\pm}3.3cm$), 수술 시간($57.6{\pm}11.7$분 vs $85.2{\pm}32.3$분) 수술 중 출혈양($18.4{\pm}15.3ml\;vs\;43.1{\pm}21.8ml$), 수술후 재원기간($1.6{\pm}0.5$일 vs $4.3{\pm}1.6$일), 및 수술후 진통제 요구빈도가 전통적 수술군에 비해 최소침습 수술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p<0.05), 수술후 장액종 및 혈종 형성, 일시적인 음색변화, 일시적인 저칼슘혈증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빈도는 각각 4.3%(n=20)와 4.8%(n=21)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법은 새로운 수술기구의 도입 없이도 갑상선 수술의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안전하고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기존 수술법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통적 인 수술법을 대치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Web-based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for the Operation Patients (수술환자를 위한 웹 기반 근거중심 실무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평가)

  • Hong, Sung-Jung;Chang, Jae-Sik;Jeon, Young-Hoon;Lee, Eun-Joo;Kim, Hwa-Su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2 no.1
    • /
    • pp.131-13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patient's satisfaction and clinician' knowledge level about pain, nausea, vomiting, and temperature management of patients after operation by develop an web-based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about pain, nausea, vomiting, and temperature control after operation in order to apply the guideline operation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real number,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repeated ANOVA by using SPSS/WIN 17.0 program. The study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pain, nausea/vomiting, and temperature control after operation and patient's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web-based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증모판막부전증 환자를 중심한 심장 수술 전후의 간호

  • 송재은
    • The Korean Nurse
    • /
    • s.5
    • /
    • pp.52-64
    • /
    • 1963
  • mitral insufficiency환자를 일렬로 하여 open heart surgery에 있어서의 수술 전, 수술 후의 nursing care에 대해 적어보았다. 수술 전 nursing care에 있어서는 이 환자의 심장질환을 정확하게 진단 후 대수술을 받기에 알맞도록 전신상태나 심장질환 그 자체를 호전시키는 데에 의사와 함께 적극적으로 협조 노력하여야 한다. 수술 후에 있어서는 회복기에 들어갈 때까지 한시도 쉴새없이 환자를 감시하고 조금이라도 이상이 있으면 즉시로 그것을 교정하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심장수술은 다른 수술과는 달리 특별히 훈련된 nurse에 의해 care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