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술 계획

Search Result 50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ransmission Dose Estimation Algorithm for Tissue Deficit (조직 결손에 대한 투과선량 계산 알고리즘 보정)

  • Yun Hyong Geun;Chie Eui Kyu;Huh Soon Nyung;Lee Hyoung Koo;Woo Hong Gyun;Shin Kyo Chul;Ha Sung Wha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20 no.2
    • /
    • pp.186-192
    • /
    • 2002
  • Purpose : Measurement of transmission dose is useful for in vivo dosimetry. In this study, previous algorithm for estimation of transmission dose was modified for use in cases with tissue deficit. Materials and Methods : The beam data was measured with flat solid phantom in various conditions of tissue deficit. New algorithm for correction of transmission dose for tissue deficit was developed by physical reasoning. The algorithm was tested in experimental settings with irregular contours mimicking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multiple sheets of solid phantoms. Results : The correction algorithm for tissue deficit could accurately reflect the effect of tissue deficit with errors within ${\pm}1.0\%$ in most situations and within ${\pm}3.0\%$ in experimental settings with irregular contours mimicking breast cancer treatment set-up. Conclusion : Developed algorithm could accurately reflect the effect of tissue deficit and irregularly shaped body contour on transmission dosimetry.

Determination of Suitable Antecedent Rainfall Days for Curve Number Estimation (CN값 산정을 위한 적정 선행강우일수의 결정)

  • Lee Myoung Woo;Choi Seoung An;Kim Hung Soo;Shim Myung 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53-557
    • /
    • 2005
  • 유역의 강우-유출 분석에서 유효우량의 산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유효우량의 산정에서 대상호우에 대한 유출량 자료가 있는 경우는 침투지수법(infiltration index method)중 하나인 $\Phi$-지표법이나 W-지표법을 사용하여 그 양을 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대상호우에 대한 유출량 자료가 없는 경우는 침투지수법을 이용하여 유효우량을 산정 할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 유역의 토양 특성과 식생피복 상태에 대한 자료만으로 총우량으로부터 유효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NRCS(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의 유효우량 산정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NRCS유효우량 산정 방법은 선행토양함수조건(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AMC)을 이 용하여 유출곡선지수(runoff curve number, CN)를 결정하는데, 이때 AMC의 산정을 위해 선행5일강우량(total 5-day antecedent rainfall)을 그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이는 미국의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이므로 이를 국내 유역에 검증 없이 적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EC-HMS모형을 이용하여 선행강우일수을 변화시켜 가면서 실제 유역의 강우-유출에 적용하여 본 뒤 강우-유출을 가장 잘 모의하는 선행강우일수을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IHP 대상유역인 보청천의 탄부소유역에 대하여 AMC의 산정을 위한 선행강우량을 1일부터 7일까지 변화시키며 적용한 결과 탄부소유역에서는 선행2일강우량이 가장 적합한 결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유역에서 NRCS유효유량 산정방법을 통한 강우-유출모의시 보다 정확한 값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대상유역에 적합한 선행 강우일수의 결정이 중요하리라 판단된다.인 분석을 수행하고, 배수갑문 개방에 의한 수질개선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환경관리 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였다.ncy), 환경성(environmental feasibility) 등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파악하여 실현가능한 대안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안들은 중유역별로 검토하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 PDF

Analysis of dynamic behavior of flood events along the Mankyong riverine system of Saemankeum reservoir considering gate operation (배수갑문 운영과 연계된 새만금호 만경수계 홍수파의 동적거동 해석)

  • Suh, Seung-Won;Jo, Wan-Hei;You, Young-C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48-552
    • /
    • 2005
  • 새만금호의 완공이후 내부 개발이 완료된 시점에서 만경강 및 동진강 홍수량 유입이 담수호의 수위 및 유속등 수리특성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를 평가하기 위한 수치실험이 내부 관리수위(DL=-0.5m, DL=-1.0m, DL=-1.5m)별로 실시되었다. 홍수파의 전파에 따른 동적거동을 이상적으로 모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심적분의 모형인 ADCIRC 모형을 새만금 하구호에 적용하였다. 상류의 유입 경계조건으로는 50년 빈도의 홍수수문곡선도를 사용하여 만경강과 동진강의 유입량이 30분 간격으로 변화되는 홍수량을 이용하였다. 하류의 경계조건으로는 신시 수문이 외해의 조위와 내부 관리수위와 연동되어 외조위가 낮아질 때만 수문이 열리는 조건을 설정하는 동적인 경계조건이 설정되었다. 홍수 계산은 4일에 걸쳐 실시되어 새만금호 내부에서 수위와 유속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만경수계내 홍수파의 동적 거동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홍수파가 하류로 전파되어 수위와 유속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만경강 유입부에서는 홍수수문곡선의 시간적 변화가 민감하게 작용하는 반면, 홍수파 전파가 하류로 진행하면서 유입부에서 높아졌던 수위가 새만금호 내부에서는 점차 낮아지면서 안정화 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수문이 위치한 지점에서는 유입 홍수에 의한 영향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신시수문의 개방에 따라 동적으로 변동되는 것이 지배적이다. 유속 모의 결과 상류 수로부에서는 $1.8m/s\~0.5m/s$로 나타나지만 새만금호에 진입하면서 $0.5m/s\~0.2m/s$의 낮은 유속으로 변한다. 신시 갑문 인근에서는 수문을 닫을 때 일시적인 충격파가 내부로 전파되면서 와동현상을 보이는 등 유속과 수위 변화에 있어 동적으로 복잡한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 된다.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을 수행하고, 배수갑문 개방에 의한 수질개선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환경관리 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였다.ncy), 환경성(environmental feasibility) 등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파악하여 실현가능한 대안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안들은 중유역별로 검토하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

  • PDF

Analysis of the Met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Basin (유역 호우의 기상특성 분석)

  • Lee Sang Jin;Hwang Man Ha;Ko Ick Hwan;Lee B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99-604
    • /
    • 2005
  • 최근 일부 댐유역에서 게릴라성 집중호우와 태풍 등과 같은 특이 호우에 대하여 강우-유출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효율적이고 안전한 치수 및 방재업무를 실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 일부 댐유역의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원인으로 강우 관측자료의 신뢰성이 결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으며, 만일, 강우관측소에서 계측된 강우자료의 신뢰성이 결여 되어 있다면, 이로 인한 유역 강우의 추정오차는 제거될 수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우관측소에서 발생하는 계측오차는 관측소의 고도, 지형적인 장애(산악영향, 지장물 등) 및 기상학적인 장애(기단의 이동방향, 호우의 발생원인, 돌풍 등) 등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관측소에서 발생하는 계측오차의 다른 여러 외부적 요인들 중 가장 큰 요인으로 돌풍과 같은 풍속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연구대상 유역인 임하댐 유역의 유출율과 치대 풍속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유출율은 최대 풍속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호우에서 강우관측소의 강우는 강우시 돌풍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적게 관측된 것으로 추정되며 저평가된 강우자료로부터 산정된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로 인해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출율과 풍속간의 관계로부터 강우보정계수 추정식을 산정하였으며, 추정된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관측된 강우자료를 보정한 후 강우-유출분석을 실시한 결과 댐유입수문곡선을 보정전에 비해 보다 근사하게 모의하였다. 위해서는 대상유역에 적합한 선행 강우일수의 결정이 중요하리라 판단된다.인 분석을 수행하고, 배수갑문 개방에 의한 수질개선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환경관리 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였다.ncy), 환경성(environmental feasibility) 등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파악하여 실현가능한 대안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안들은 중유역별로 검토하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

  • PDF

Variations of Runoff Quantity and Quality to Landuse Changes in the Hakuicheon Watershed (학의천 유역의 토지이용변화에 대한 유출량 및 수질의 변화)

  • Lee Kil Seong;Chung Eun-Sung;Park Sun-Bae;Jin Lak-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64-668
    • /
    • 2005
  • 근래 지속적으로 진행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하여 이전보다 불투수 지역이 많이 증가하였고 도심지역에는 대부분 하수관거가 매설되어 있는 등 물순환이 과거에 비해 현저하게 왜곡되어 있다. 이를 올바르게 바로잡기 위해서는 과거와 현재의 수문학적 상태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유역의 지류인 학의천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유출 수량 및 오염물질 발생량을 PC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과 PLOAD(Pollutant Loading)를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PCSWMM은 하수관거를 포함하여 연속유출모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PLOAD는 GIS를 기반으로 하는 Screening 모형으로 토지이용별 원단위를 이용하여 소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량을 추정할 수 있다. 기준년도 2002년에 대해 모든 조건은 동일한 상태에서 토지이용만 1975년, 2000년, 2016년으로 변화시켜 모의를 수행하였다. 1975년, 2000년, 2016년의 불투수 면적비는 각각 $2.6\%,\;22.8\%,\;24.1\%$이며 침투량은 1975년의 $23\%$에서 2000년과 2016년에 각각 $17.9\%와\;17.6\%$로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지표유출량은 1975년의 $48.1\%$보다 2000년과 2016년에 각각 $55.0\%,\;55.4\%$로 증가하였다. 또한 오염물질이 유역에서 발생하여 하천으로 전달되는 유달량은 유역전체로 보면 1975년 보다 2000년에 BOD는 4.0배, COD는 3.3배, SS는 2.7배, TN은 1.3배, TP는 1.6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모의 결과는 학의천 유역에 대해 소유역별로 발생하는 연도별 유출량 및 오염물질 유달량을 정량적으로 제시하므로 유역관리방안을 도출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최대화하기 위한 환경관리 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였다.ncy), 환경성(environmental feasibility) 등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파악하여 실현가능한 대안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안들은 중유역별로 검토하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HSP 환자군에서도 $IL1RN^{*}2$ a

  • PDF

Improvement of Flood Forecasting System in the Nakdong River (낙동강홍수예보시스템 개선)

  • Yoon, Kwang-Seok;Lee, Min-Ho;Lee, B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06-810
    • /
    • 2005
  • 홍수로 인한 국민의 재산과 인명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요지점을 선정하여 홍수예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예보는 초기 강우법, 수위법 등의 단순한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나, 컴퓨터가 발달되면서 여러 형태의 홍수유출모형이 개발되어 현재에는 홍수유출모형을 이용한 홍수예보를 수행하고 있다. 낙동강홍수예보 시스템은 1987년 낙동강홍수통제소의 개소시 42개소의 수위관측소와 54개소의 우량관측소를 중심으로 43개 소유역을 구분하고 티센망을 구성하여 홍수예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홍수예보시스템이 구축된 후 여러 차례의 매개변수 개선과정을 거쳐 운용하고 있다. 반면, 지속적인 수문관측소의 증설이 이루어졌으나 이를 모형에 반영하지 않아 증설된 수위관측소를 반영하여 114개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추가된 우량관측소를 이용하여 티센망을 구성하였으며, 당초 반영되지 않았던 소규모댐을 모형에 추가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재고하였다. 증설된 수문관측소를 모형에 반영과 함께 우량자료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우량관측소의 확장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낙동강홍수예보 시스템의 소유역을 114개로 나누고 기존의 유효우량산정법, 유역유출모형 하도유출모형의 매개변수를 전통적인 방법으로 재산정하여 홍수기에 적용한 결과 당초의 홍수예보시스템으로 예측한 결과보다 소유역의 적절하게 재구성하는 것으로도 예측의 정밀도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유역의 수와 하도의 수가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오차를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지속적인 시스템의 운용을 통하여 모형구성을 개선함으로서 어느 정도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밖에 기존의 매개변수산정을 전통적인 방법에서 우리나라 하천 또는 낙동강유역의 하천에 적당한 방법을 개발하여 개선시킬 필요성이 있다.>$4.3\%$로 가장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총 유출량에서도 각각 $7.8\%,\;13.2\%$의 오차율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타 모형에 비해 실유량과의 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모의되었다. 향후 도시유출을 모의하는 데 가장 근사한 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며, 도시재해 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

  • PDF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bilateral single implant-supported surveyed crown: a case report (양측성 단일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하악 임플 란트 보조 국소의치 수복 증례)

  • Seojune Choi;Hong Seok Moon;Jaeyoung Kim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62 no.2
    • /
    • pp.146-156
    • /
    • 2024
  •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 has been practiced in various forms for a long time, and among them, implant surveyed crown RPD is gaining predictability as well as being considered as a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anatomical and financial disadvantages. The position of implant could be divided as posterior placement or anterior placem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treatment and should be planned in consider to the alveolar ridge of patient, anticipated prognosis of remaining teeth, and opposing dentition.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treatment for mandibular Kennedy class I partial edentulous patient with two implant-supported surveyed crown and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Given the difficulty of posterior placement in this patient and the prognosis of the residual teeth, the plan was to place two implants in close proximity to the residual teeth, which were placed in the planned position, angle, and depth using guided surgery. The process of fabricating the fixed prosthesis was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the maxillary edentulous tooth arrangement process to increase predictability, and when fabricating the localized tooth, the implant was designed in a form that allows the patient to perform functional movements by preventing excessive loading as the last supporting tooth, and was fabricated through a secondary impression process. Each treatment procedure was proceeded as planned, with a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satisfactory results for both patient and operator.

The 1998, 1999 Patterns of Care Study for Breast Irradiation after Mastectomy in Korea (1998, 1999년도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현황 조사)

  • Keum,, Ki-Chang;Shim, Su-Jung;Lee, Ik-Jae;Park, Won;Lee, Sang-Wook;Shin, Hyun-Soo;Chung, Eun-Ji;Chie, Eui-Kyu;Kim, Il-Han;Oh, Do-Hoon;Ha, Sung-Whan;Lee, Hyung-Sik;Ahn, Sung-Ja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25 no.1
    • /
    • pp.7-15
    • /
    • 2007
  • [ $\underline{Purpose}$ ]: To determine the patterns of evaluation and treatment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fter mastectomy and treated with radiotherapy. A nationwide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radiotherapy treatment. $\underline{Materials\;and\;Methods}$: A web- based database system for the Korean Patterns of Care Study (PCS) for 6 common cancers was developed. Randomly selected records of 286 eligible patients treated between 1998 and 1999 from 17 hospitals were reviewed. $\underline{Results}$: The ages of the study patients ranged from 20 to 80 years (median age 44 years). The pathologic T stage by the AJCC was T1 in 9.7% of the cases, T2 in 59.2% of the cases, T3 in 25.6% of the cases, and T4 in 5.3% of the cases. For analysis of nodal involvement, N0 was 7.3%, N1 was 14%, N2 was 38.8%, and N3 was 38.5% of the cases. The AJCC stage was stage I in 0.7% of the cases, stage IIa in 3.8% of the cases, stage IIb in 9.8% of the cases, stage IIIa in 43% of the cases, stage IIIb in 2.8% of the cases, and IIIc in 38.5% of the cases. There were various sequences of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fter mastectomy. Mastectomy and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otherapy was the most commonly performed sequence in 47% of the cases. Mastectom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ollowed by additional chemotherapy was performed in 35% of the cases, and neoadjuvant chemoradiotherapy was performed in 12.5% of the cases. The radiotherapy volume was chest wall only in 5.6% of the cases. The volume was chest wall and supraclavicular fossa (SCL) in 20.3% of the cases; chest wall, SCL and internal mammary lymph node (IMN) in 27.6% of the cases; chest wall, SCL and posterior axillary lymph node in 25.9% of the cases; chest wall, SCL, IMN, and posterior axillary lymph node in 19.9% of the cases. Two patients received IMN only. The method of chest wall irradiation was tangential field in 57.3% of the cases and electron beam in 42% of the cases. A bolus for the chest wall was used in 54.8% of the tangential field cases and 52.5% of the electron beam cases. The radiation dose to the chest wall was $45{\sim}59.4\;Gy$ (median 50.4 Gy), to the SCL was $45{\sim}59.4\;Gy$ (median 50.4 Gy), and to the PAB was $4.8{\sim}38.8\;Gy$, (median 9 Gy) $\underline{Conclusion}$: Different and various treatment methods were used for radiotherapy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mastectomy in each hospital. Most of treatment methods varied in the irradiation of the chest wall. A separate analysis for the details of radiotherapy planning also needs to be followed and the outcome of treatment is needed in order to evaluate the different processes.

A study on the preorthodontic prediction values versus the actual postorthodontic values in Class III surgery patients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술전 교정전 예측치와 교정 후 실측치의 차이에 관한 연구)

  • Hwang, Chung-Ju;Kwon, Hee-Jeong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3 no.1 s.96
    • /
    • pp.1-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d evaluate discrepancies between preorthodontic prediction values and actual postorthodontic values and factors contributing to it in 45 patients(17 male, 28 female) who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I ma)occlusion and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at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sed at pretreatment(T1), orthodontic Prediction(T2), immediately before surgery(T3) and designated the landmark as coordinates or X and Y axes. The samples were divided according to ALD,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Ul to SN, IMPA), COS, extraction, the position of extracted teeth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to find out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edi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fferences between preorthodontic prediction values and actual postorthodontic values(T2-T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the x coordinates of U6mbc, L1x and in y coordinates of U1i, U1x, U6me, U6mbc, L6mbc 2. The accuracy of prediction is relatively higher in horizontal changes compared to vortical changes. 3. The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between prediction and actual values is observed more in the landmarks of the maxilla than the mandible. 4. Differences between prediction and actual values of incisor and first mola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according to extraction vs non-extraction, extraction type, ALD in the maxilla and according to ALD, IMPA in the mandible. Discrepancies between preorthodontic prediction values and actual postorthodontic values an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ediction must be considered in treatment planning of Cl III surgical patient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prediction. Furthermore future investigations are needed on the prediction of vortical changes.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y of Staple-Line Reinforcement Using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in Thoracoscopic Bullectomy for Spontaneous Pneumothorax (자연 기흉 환자에서 봉합선 보강이 흉강경 폐부분 절제술에 미치는 영향: 동물실험 및 임상연구)

  • 문석환;심성보;왕영필;윤정섭;조건현;박재길;박만실;최시영;곽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6 no.12
    • /
    • pp.904-910
    • /
    • 2003
  • Thoracoscopic bullectomy (VATS-B) is now the preferred treatment for spontaneous pneumothorax despite of higher recurrence rate than open thoracotomy. Several methods have been used to prevent this problem. The effectiveness of staple line reinforcement (SLR) in VATA-B using endostaplers was assessed by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Meterial and Method: In experimental study, canine lungs were harvested immediately (group I N=5) and 48 hours (group II N=5) after stapling. The pressures at which initial air leaks occurred were measured. In clinical study from February 1997 to March 1999, 106 procedures in 104 patients undergoing VATS-B for spontaneous pneumothorax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SLR and were compared. Result: The average pressure of the initial air leak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LR than that of staples alone (18$\pm$1.6 vs 48$\pm$3 mm Hg in group I; 23.8$\pm$1.9 vs 54$\pm$4.6 mm Hg in group II, p<0.001). In the clinical dat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een in the duration of drainage, the total length of endostaplers used, and the duration of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between patients with staple alone and patients with SLR (4.4$\pm$1.4 vs 3.1$\pm$1.1 days in duration of drainage, 92.3$\pm$28.1 vs 71.1$\pm$30.6 mm in total length of endostaplers used, 5.9$\pm$1.9 vs 4.6$\pm$1.7 days in postoperative hospital stays, p<0.001). Conclusion: SLR was effective for preventing prolonged air leakage and responsible for shorter hospital stays after VATS-B for the treatment of spontaneous pneumothor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