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산가공부산물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수산동물의 소화 관련효소의 분포 -단백질분해효소-

  • 허민수;김정은;손보영;김진수;오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82-83
    • /
    • 2000
  • 수산 생물의 종에 따른 생물학적 다양성은 각기 독특한 성질을 갖는 다양한 효소들이 분포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효소자원으로서 수산동물의 가공 부산물 또는 폐기물로부터 소화 관련 효소(digestive enzymes)의 회수와 산업적 이용의 잠재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수산동물의 소화 관련 효소는 pepsin(Gildberg et al., 1990;1991), chymotrypsin, trypsin(Heu et al, 1995), gastricsin(Sanchea- Chiang and Ponce, 1981) 그리고 elastase(Bjarnason et al., 1993)을 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수산동물과 같이 저온에 적응한 냉혈동물의 단백질분해효소는 육상의 온혈동물의 동종 효소보다 낮은 최적온도와 온도안정성 때문에 식품산업에 응용성이 넓다고 하겠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다양한 수산자원의 폐기물 및 가공부산물로부터 소화 관련 효소를 분리하여 식품산업에 있어서 가공보조제(processing aids)로서 이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중략)

  • PDF

무기질소재로서 오징어갑의 특성

  • 김진수;조문래;안화진;허민수;오광수;차용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30-131
    • /
    • 2001
  • 국내 수산가공공장에서는 수산물 가공 중 콜라겐, EPA, DHA, 무기질, taurine 등과 같은 유용 식품성분의 함량이 많은 부산물이 대량으로 얻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 부산물은 일부 만이 사료 등의 비식용 원료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고, 대부분이 폐기 되고 있어, 이의 유효 이용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갑오징어는 연체동물 중에서 오징어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으면서(the fisheries association of Korea, 1997), 오징어에 비하여 조직감이 특이하여 소비자들의 호응도가 좋아 소비량은 점차 증가하리라 전망된다. (중략)

  • PDF

민태 frame으로부터 어류내장효소를 이용한 어뼈 회수

  • 김종필;김희주;김규형;김세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12-113
    • /
    • 2000
  • 최근 수산물에 대한 건강식으로서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수산가공 공장에서의 가공율도 해마다 높아져 전체 어체의 약 40∼70%를 차지하고 있는 비가식부인 어뼈, 어피, 어두, 내장 등과 같은 부산물의 증가도 동시에 수반되고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잔사는 일부만이 사료로 이용될 뿐 대부분은 그대로 폐기되어져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중략)

  • PDF

효소를 이용한 SLP(Squid lipid power)의 제조 1. 오징어 내장 가수분해를 위한 원료학적 특성규명

  • 조민성;임철환;심길보;김태진;조영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53-154
    • /
    • 2001
  • 수산물 가공 중에 생성되는 부산물은 어체의 두부, 어피, 내장, 뼈 등으로 전 어체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김 등 1995, 김 등 1996, 차 등 1995). 오징어는 한국인의 기호에 맞아 선어나 냉동어등의 조리용 원료 외에 다양하게 가공되는 주요 수산자원이다. 가공과정에서 식도, 위장, 간장, 생식선 등의 내장들은 제거되는데 이는 전체중량의 20%이상을 차지하며 일부는 사료나 사료용 오징어 간유로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

Enzymatic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tein hydrolysates derived from tuna byproducts (참치 가공부산물로부터 단백가수분해물 제조 및 항산화 활성 평가)

  • Gyu-Hyeon Park;Jeong-Min Lee;Na-Young Lim;Syng-Ook Lee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30 no.5
    • /
    • pp.885-895
    • /
    • 202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tein hydrolysates derived from tuna byproducts (TP) using various proteolytic enzymes and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resulting hydrolysates. The TP were subjected to enzymatic hydrolysis using five different proteases: alcalase, bromelain, flavourzyme, neutrase, and papain,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hydrolysates were evaluated. Subsequent analysis of the available amino group contents and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tterns indicated a high degree of hydrolysis in TP after treatment with all the enzymes, except for papain. Based on the RC50 values obtained from four different antioxidant analyses, all the hydrolysates exhibited similar antioxidant activity, except for the flavourzyme hydrolysate, whic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avenging activity against ABTS radicals and hydrogen peroxide than the other hydrolysat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tein hydrolysates derived from TP hold promise as potential sources of natural antioxidants.

한국산 젓갈류의 함질소 엑스성분(1)

  • 박춘규;강태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93-94
    • /
    • 2000
  • 젓갈류는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수산발효 식품으로서 옛날부터 반찬류, 조미료, 김장용 부재료 등으로 널리 식용되어온 대표적인 수산발효 식품이다. 젓갈류의 원료로서는 어류 전어체, 어류 내장, 패류, 갑각류, 연체류, 생식소, 수산가공부산물 등 다양한 수산물이 그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젓갈은 그 사용원료에 따라 각각 독특한 맛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한국산 젓갈류의 함질소 엑스성분(2)

  • 박춘규;이진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95-96
    • /
    • 2000
  • 젓갈류는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수산발효 식품으로서 옛날부터 반찬류, 조미료, 김장용 부재료 등으로 널리 식용되어온 대표적인 수산발효 식품이다. 젓갈류의 원료로서는 어류 전어체, 어류 내장, 패류, 갑각류, 연체류, 생식소, 수산가공부산물 등 다양한 수산물이 그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젓갈은 그 사용원료에 따라 각각 독특한 맛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수산가공부산물로부터 새로운 생리기능성 소재 개발

  • 김세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3-36
    • /
    • 2003
  • 해양생물은 매우 다양하고 양적으로도 풍부하며, 지구상의 전체 동물 중 약 80%가 바다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다 속에 살고 있는 3만종 이상의 어류를 포함한 해양자원은 육상 생물자원의 부족량을 보완할 수 있는 생물자원으로 인간의 3대 영양소인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의 공급원으로서 식품산업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성 식품 및 의약산업분야에서의 원료로서도 그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중략)

  • PDF

넙치 배합사료에 두부가공 부산물 (비지) 첨가

  • 이상민;이용환;이종관;이종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35-236
    • /
    • 2003
  • 양식에 있어 사료는 총 생산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대상 어종을 위한 배합사료 개발은 생산성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배합사료의 가격은 배합원료 단가, 영양소의 종류와 균형에 따라 달라지는데, 경제적으로 배합되어야 할 원료의 선정이나 적정 첨가범위 등을 설정하는 연구는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사료에 첨가되고 있는 원료에는 식물성과 동물성이 있으며, 식물성 원료로는 대두박, 콘글루텐 밀, 아마박 등이 있고, 동물성으로는 어분, 육분, 혈분, 우모분 등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