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분 변이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xploration of Feedback Structures Between Surface Moisture and Aeolian Processes with a Modified Sand Slab Model (수정 모래판 모형을 이용한 지표수분 함량과 비사이동의 되먹임 구조 탐색)

  • Rhew, Hosahng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4 no.3
    • /
    • pp.61-81
    • /
    • 2017
  • Traditional approaches to surface moisture problems in the context of aeolian research have focused on the initiation of sand movement, developing various models for predicting threshold velocity on a wet surface. They have been unsatisfactory, however, in explaining field observations because they have not incorporated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surface moisture, the interactions between transported sand grains and surface, and the role of aeolian transport in controlling surface moisture. As Nield (2011) showed, a simplified numerical model can be used to investigate this issu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feedback structures between aeolian transport and surface moisture using a modified sand slab model. Key modifications are the introduction of simultaneous updating scheme for all the slabs and moisture-assigning procedures with and without aeolian transpor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Moist surface conditions suppress sand slab movement,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smaller-scale topography. Available sands for aeolian transport are determined by the vertical patterns of moisture content with its variations from groundwater to the surface. Sand patches on a wet surface act as a localized source area. Sand movement drives immediate changes in surface moisture rather than time-lag reponses, mostly when moist conditions are dominant.

Variation and Heredity of Stomatal Frequency, Stomatal Size and Transpiration in Populus alba × P. glandulosa and Its Parents (Populus alba × P. glandulosa 및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水分蒸散)의 변이(變異)와 유전(遺傳))

  • Son, Doo Sik;Kim, Kwang 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5 no.1
    • /
    • pp.51-54
    • /
    • 1986
  • The good growth of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is shown at the foothill of the mountain where good soil moisture is available, but its growth is poor at the upper part of the mountain where soil moisture is limitted. Stomatal frequency, stomatal size and transpiration rates that affect soil moisture demand were determined in order to know how this character is inherited from its parents. Number of stomata per $mm^2$, length and width of stomata from the abaxial leaf and transpiration rate ($g/cm^2$) per day in P. alba ${\times}$ P. glandulosa showed intermediate values between those of their parents, while P. alba showed the highest values and P. davidiana the lowest values. The values of stomatal frequency of P. alba ${\times}$ P. glandulosa were close to the expected mean values of parents in the $x^2$ test, and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transpiration rates for the hybrid and its midparent had strong relationship with 0.97 of regression coefficient. The fact that these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the hybrid suggests incomplete dominance in the hybrid. It is concluded that soil moisture demand in P. alba ${\times}$ P. glandulosa and its parents is closed related to stomatal frequency, stomatal size and transpiration rate.

  • PDF

암 조기발견사례-대장암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30 no.1 s.326
    • /
    • pp.20-21
    • /
    • 2006
  • 대장은 소장 끝 부분에서 시작하여 항문까지 이르는 장기로 그 길이는 약 150cm 정도이다. 대장은 소화되고 남은 음식물 찌꺼기를 소장으로부터 받아 그 중에서 수분과 전해질은 흡수하고 나머지는 배설에 적당한 변으로 만들어 이를 저장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 PDF

The moisture distribution in standing Pitch Pine trees (리기다소나무 입목(立木)의 수분분포(水分分布)에 관(關)하여)

  • Lee, P.W.;Han, K.S.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 no.1
    • /
    • pp.45-49
    • /
    • 1968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moisture contents including in the woody parts of standing Pitch Pine trees. The moisture measuring samples were made from the parts of root, branch, top, sapwood and heartwood of test trees. The test trees and average moisture contents measured from the parts of trees are as table (1) and (2).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may be concluded as followings. 1) In the winter felled Pitch Pine trees highest moisture contents are shown in the top wood but lowest in the heartwood among the parts of tree. 2) In comparing moisture contents showing between two parts of tree, significant differences are show between top or heartwood and other parts but between branch or sapwood and root are not shown. 3) As general there is no significant variation in moisture contents of root, sapwood and heartwood among the test trees but branch wood is shown considerable variation.

  • PDF

Climate and Land Cover Controls over MODIS-derived Water Use Efficiency in a Korean Peninsula (기후 및 토지 피복에 따른 한반도 지역의 수분 이용효율)

  • Kim, Jeong Bin;Um, Myoung-Jin;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0-140
    • /
    • 2016
  • 수분 이용효율(Water Use Efficiency, WUE)은 식생이 흡수한 수분 중 증발산에 이용한 비율로, 육상생태계의 수문학적 순환 및 탄소 순환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또한 이는 특정 지역의 기후 조건이나 토지 피복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기후 요인(강수, 기온)과 토지 피복에 따른 WUE의 변화를 살펴본다.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기반 총일차생산성(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증발산량(Evapotranspiration, ET), 잎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와 Willmot의 기상자료 등 대상지역에 대한 격자 자료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숲, 초원, 농지와 같이 다양한 토지 피복 조건에 대한 월간 및 연간 WUE(=GPP/ET)를 산정하고, 이의 LAI나 기후 조건(강수, 기온)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상관성 및 요인 분석을 진행한다. 기후 조건 및 토지 피복 조건을 고려한 15년간 한반도에서의 WUE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앞으로의 수자원 관리 및 산림 정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easurement of Stress Related Crop Temperature Variations (스트레스에 따른 작물의 온도 변화 측정)

  • 김기영;류관희;채희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233-236
    • /
    • 1999
  • 생물학적 또는 비생물학적 이유에 의해 성장에 나쁜 영향을 받아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분 공급이 부족하거나 잎 표면의 수분 함량의 평형이 깨어지면 광합성과 증산이 줄거나, 기공이 닫혀 잎 표면의 온도가 증가한다. 또한 잎이나 식물 군락으로부터 방사되는 에너지의 양이나 질이 변할 수도 있다. (중략)

  • PDF

Spati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Content, Soil Penetration Resistance and Crop Yield on the Leveled Upland in the Reclaimed Highland (고령지 개간지 밭의 토양수분과 경도 및 작물수량의 공간변이성)

  • Park, Chol-Soo;Yang, Su-Chan;Lee, Gye-jun;Lee, Jeong-Tae;Kim, Hak-Min;Park, Sang-Hoo;Kim, Dae-Hoon;Jung, Ah-Yeong;Hwang, Seon-Woo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9 no.3
    • /
    • pp.123-135
    • /
    • 2006
  • Spatial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map of soil properti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il properties and crop yields are not well characterized in agroecosystems that have been land leveled to facilitate more cultivation of the new reclaimed sloping highland. Potato, onion, carrot, Chinese cabbage and radish were grown on the coarse sandy loam soil in 2004. Soil moisture content, soil penetration resistance and crop yield were sampled in the $10m{\times}50m$ field consisted of five plots. Sampling sites of each cultivation plot were 33 for the soil moisture, 11 for the soil penetration and 33 for the crop yield. The results of semivariance analysis, most of models were shown spherical equation. The significant ranges of each spatial variability model for the soil moisture, soil penetration and crop yield were broad as 33-35 meters in the potato cultivation plot, and that in the Chinese cabbage cultivation plot was narrow as 5-6 meters. The coefficient of variances (C.V.) of moisture, penetration and yield were various from 14 to 59 percents in five cultivation plots. The highest C.V. of potato yield was 59 percents, and that of the radish cultivation plot was as low as 14 percents. The required sample numbers for the determination of soil moisture content, soil penetration resistance and crop yield with error 10% at 0.05 significant level were ranged 8-40 for soil moisture, 7-25 for soil penetration and 424-4,678 for crop yield. The variogram and distribution map by kriging described field characteristics well so that the spatial variability would be useful for soil management for better efficiency and precision agriculture in the reclaimed highland.

Seasonal Variations of Surface Soil Hydraulic and Pore Development Properties in Two Forested Watershed (산림유역의 지표면에서의 토양공극과 수리학적 특성의 계절적 변화)

  • Joo, Seung-Hyo;Kwak, Yong-Seok;Kim,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22
    • /
    • 2009
  • 계절에 따른 토양공극의 수리학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설마천 유역의 범륜사 독립사면과 광릉 원두부 소유역의 독립사면을 대상으로 장력침투실험을 실시하였다. 토양수분 확보에 신뢰를 받기위해서 TDR(Time Domain Reflectometry)및 현장에서 토양의 불포화 투수계수 측정이 가능한 장력침투계(Tension infiltrometer)를 이용하였다. 계절에 따른 자료수집을 위해서 2008년 3월 20일 부터 약 6주간격으로 10월 29일까지 5회에서 6회 토양수분 자료 및 토양장력침투 자료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자료를 이용하여 포화 및 불포화 수리전도도, 대공극 유효흐름분율(macropore flow), 대공극 유효부피분율을(effective macroporosity) 나타내었다. 분기별로 자료분석 결과 계절별 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수리전도도는 3월, 5월, 10월은 유사한 반면 6월과 7월 그리고 9월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여름철에 공극 발달이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행토양수분은 수리전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공극의 발달은 삼림과 같은 복잡 경관에서는 강우사상에 따른 토양수분의 공간 분포 및 이송, 유출과정이 물순환에 영향을 미친다. 지형분석을 통한 공극의 흐름특성과 토양수분 유의성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대공극 변화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식생과 그밖에 계절적으로 발달을 일으키는 요인을 모색 하였다. 본 연구는 계절에 따라 변하는 수리전도도를 기초로 하여 불포화대에서 토양공극의 수리학적 변화와 시공간적으로 침투흐름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를 보여준다.

  • PDF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order to Predict Soil Moisture Using Satellite Image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토양수분 예측을 위한 토지피복 분류)

  • Yu, Myung-Su;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2-322
    • /
    • 2011
  • 지표에서의 토양수분은 작은 구성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여러 수문 현상을 연계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써 최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토양수분은 침투나 침루를 통하여 강우와 지하수를 연결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강우사상에 따른 유출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증발산을 통하여 에너지 순환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인자로 기후변화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지난 수십 년간 산림개간과 도시화는 토지이용의 변화를 초래하여 토지피복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도시화는 불투수층을 증가시켰고, 산림개간으로 산림이 농장으로 변하여 침투율을 감소시켜 유출률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토지피복의 변화는 토양수분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분류를 위해 구름의 영향이 적은 Landsat TM 영상을 사용하여 청미천 유역의 토지피복을 분류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였다. 청미천 유역은 현재 국제수문관측사업(IHP)의 일환으로 체계적인 수문관측이 진행되고 있는 지점으로, 추후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산정한 토양수분 자료를 비교할 수 있는 유역이다. Landsat TM 영상은 2009년 5월 23일에 관측된 115-34(path row) 영상으로 구름이 거의 없는 날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다중 스펙트럴 위성영상인 Landsat TM 영상은 30m 공간해상도로써 토지피복분류와 식생 등의 정보를 추출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미천 유역의 위성영상에 대하여 영상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무감독분류와 감독분류기법을 적용하여 토지피복을 분류하였다. 분류한 토지피복도는 국토해양부에서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WAMIS) 을 통하여 제공되는 토지피복도와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