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분활성

검색결과 1,186건 처리시간 0.037초

수분활성과 온도변화에 따른 커피의 흡착특성 및 흡착량 예측모델 (Adsorption Characteristics and Moisture Content Prediction Model of Coffee with Water Activity and Temperature)

  • 윤광섭;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90-695
    • /
    • 1990
  • 커피의 저장 중 흡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수분활성 및 온도이다. 따라서 커피의 제조공정 중 추출시 건조방법의 차이에 따른 세 종류의 제품에 대한 흡착 특성을 조사하고 수분활성, 온도 및 시간의 변화에 따른 흡착량을 측정하여 조건변수의 변화에 따른 흡착량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모델식을 수립하였다. 흡착거동은 전형적인 Sigmoid 형태를 나타냈으며 평형수분함량과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동결 건조제품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건조방법에 의해 생성된 다공성구조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기 발표된 여러 형태의 등온흡착곡선 모델식에 적용시켜 본 결과 Halsey 모델식의 상관계수 r값이 $0.98{\sim}0.99$로 가장 적합하였다. 또한 예측모델식은 SPSS COMPUTER PROGRAM을 이용하여 가장 오차가 적은 범위에서 수분활성, 온도 및 시간의 변화에 따른 흡착량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최종적인 모델식을 수립하였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분말두부의 흡습특성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Powder by Drying Methods)

  • 김진성;김준한;하영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4-61
    • /
    • 2005
  • 건조분말두부의 열풍, 진공 및 동결 건조방법에 따른 흡습특성과 평형수분함량 예측의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GAB식이 더 높은 유의성을 보였으며 수분흡습을 위한 엔탈피, 자유에너지, 엔트로피의 변화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수분활성도가 0.11에서 0.93으로 증가할수록 흡습엔탈피의 값은 감소하였으며 등온흡습곡선의 경우 수분활성도가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높아졌으며 수분 활성도가 높을수록 필요로 하는 흡습에너지가 낮아져 흡습이 쉽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평형수분함량 예측은 수분 활성도를 독립변수로 평형수분함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3차 회귀분석을 하였고, 건조방법에 관계없이 5, 15, $25^{\circ}C$ 온도조건에서 모두 결정계수가 0.98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다. 등온흡습곡선의 적합도가 가장 높은 모델은 Caurie, Oswin, Henderson 순이였으며, 결정계수(R-square)값이 $0.94\~0.99$이상으로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으며 편차도는 Oswin식이 낮은 편차를 나타내었으며, 동결건조의 경우에는 Caurie식이 가장 낮은 편차를 나타내었다.

포장어묵의 수분활성저하에 미치는 식품첨가제의 영향 3. 식품첨가제의 병용효과 (Effect of Food Humectant on Lowering Water Activity of Casing Kamaboko 3. Effect of Humectants Used in Combination)

  • 정혜경;김동조;천석조;조길석;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8-96
    • /
    • 1983
  • 식염, sodium lactate, glycerin, propylene glycol 및 sorbitol의 5종의 첨가제를 두 종류씩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이들 혼합첨가제의 수 분활성 저하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들 첨가제에 NaCl을 일정 비율로 혼합첨가한 경우가 다른 첨가물에 비하여 저하효과가 현저히 좋았으며, sodium lactate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수분활성저하효과는 식염의 1/2 정도로 나타나며, glycerin, propylene glycol, sorbitol 보다는 우수하였다. glycerin과 propylene glyco1을 다른 첨가물에 일정 비율로 증가시키면서 첨가하였을 경우의 수분활성저하효과는 glycerin이 propylene glycol보다 약간 좋았으나, 그 차이는 극히 미미하였다. 5종의 첨가제 중에서 sorbitol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수분활성 저하효과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실제 측정된 수분활성치와 Raoult의 식에 의한 계산치와 비교 검토한 결과는 첨가량이 적은 범위에서는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볼 수 있으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실측치와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어묵의 수분활성 예측법으로는 부적합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래서 직선경사법에 이론적 근거를 두어 각종 첨가제에 있어서 수분활성 저하효과를 예측하기 위한 예측식을 구하여 보았다.

  • PDF

대두에서 수분스트레스에 의한 항산화제와 항산화효소의 활성도 변화 (Changes in Antioxidant and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of Soybean Leaves Subjected to Water Stress)

  • 강상재;박우철;김태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46-251
    • /
    • 1999
  • 대두에서 수분스트레스시의 생화학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분의 부족과 담수시의 항산화효소의 활성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scorbate peroxidase(APOX)의 활성은 수분부족 처리시에 은하콩에서는 4일째 까지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그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큰올콩에서는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담수처리시 은하콩이 2일째까지 활성이 50%이상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수분부족 처리시에 glutathione reductase 활성은 은하콩과 큰올콩 모두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처리후 5일째에 90%이상 감소하였고, 담수처리시에는 초기 4일(日)까지 계속적인 감소를 보이다가 그 이후에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Dehy-drascorbate reductase 활성은 두품종 공히 4일(日) 이후에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담수처리시 은하콩에서 2일째에 70%이상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거의 일정(一定)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활성은 은하콩의 경우는 4일째와 2일째에 각각 급격한 감소를 보이다가 그 이후에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큰올콩은 수분부족 처리시에 완만한 감소를 보이나 담수처리시에는 활성변화가 거의 없었다. 아스코브산과 환원형 글루타치온의 함량은 수분부족 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두 품종 모두 감소하였고, 담수 처리시는 4일째까지는 담수처리가 수분부족 처리보다 더 크게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회복되었다.

  • PDF

상이한 조건하에서 저장한 압출보리의 품질특성에 관한 이화학적 평가 -제 1 보 : 지방질 산화- (Physicochemical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uded Barley under Varied Storage Conditions)

  • 신효선;제이아이그레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9-194
    • /
    • 1983
  • 3가지 다른 조건하에서 제조된 압출보리와 생보리를 0.31 및 0.71의 수분활성과 $25^{\circ}C$$40^{\circ}C$의 온도에서 각각 4개월 저장하면서 지방질의 산화에 대한 수분활성과 온도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모든 시료로부터 검출한 지방질 중의 Conjugated diene의 함량은 저장기간의 경과와 함께 수분활성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지방산의 U/S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생보리는 압출보리보다 저장 중 Conjugated diene함량의 증가와 U/S비의 감소가 더 심하였으며,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압출보리는 다른 압출보리보다 저장 중 산화에 대한 지방질의 안정성이 양호하였다. 모든 시료에서 추출한 지방질 중 유리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지방질의 함량은 저장 중 수분활성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 PDF

입자크기에 따른 분말멸치의 흡습특성 및 예측모델 (Moisture Sorption Characteristics and a Prediction Model of Anchovy Powder with Particle Size)

  • 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13-518
    • /
    • 2010
  • 멸치분말의 저장안정성을 알아보고자 80 mesh이상, 80-60 mesh, 60-40 mesh로 입자크기에 따라 분급하여 흡습특성을 조사하고 평형수분함량의 예측 모델식을 수립하였다. 평형수분함량은 수분활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며, 높은 온도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BET식보다 GAB식이 더 높은 유의성을 보였으며 그 함량은 0.022-0.029 g $H_2O/g$ dry solid 였다. 수분활성도가 증가함에 따라 필요로 하는 흡습에너지가 낮아져 흡습엔탈피는 감소하여 흡습이 쉽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등온흡습곡선의 적합도는 Kuhn 모델이 $R^2$ 0.94 이상으로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고, Halsey, Caurie, Oswin 모델순으로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흡습 중 평형상대습도 예측 모델을 수립하기 위해 온도와 수분활성도의 경우 일차함수, 시간의 경우 ln 함수가 높은 적합도를 보였으며, 수분활성도 예측모델식은 입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대습도와 시간으로 수립한 모델식의 적합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이한 조건하에서 저장한 압출보리의 품질특성에 관한 이화학적 평가 -제 2 보 : 비효소적 갈색화- (Physicochemical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uded Barley Under Varied Storage Conditions -II. Non-enzymatic Browning-)

  • 신효선;제이아이그레이;에스엘큐페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7-294
    • /
    • 1983
  • 3가지 다른 조건하에서 제조된 압출보리와 생보리를 0.31 및 0.71의 수분활성과 $25^{\circ}C$$40^{\circ}C$의 온도에서 각각 4개월 저장하면서 색도, 갈색화지수, 가용성 단백질, 환원당 및 유효성 리진의 변화에 대한 수분활성과 온도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와 함께 수분활성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백색도의 손실이 증가하였다. 생보리는 압출보리보다 저장중 갈색화 지수의 증가가 심하였고,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압출보리는 다른 압출보리보다 저장중 갈색화가 적었다. 수분활성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시료중의 환원당, 가용성 단백질 및 유효성 리진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이와같은 결과는 저장중 Maillard반응에 의한 것임을 알았다.

  • PDF

벌꿀 및 당액의 혼합비에 따른 수분활성도 예측 (Prediction of Water Activity for honey and sugar solution on mixing ratio)

  • 심원근;이은현;강현아;장규섭
    • 농업과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80-187
    • /
    • 1995
  •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꿀의 진위 여부를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판별하고자, 토종꿀, 아카시아꿀, 밤꿀 및 잡꿀의 4종류의 꿀에 물엿과 설탕 용액의 혼합비를 달리 조제하여, 이의 수분활성도 및 색도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시료꿀의 수분 함량은 21% 이하였고, 회분은 0.6%이하였으며, 점도는 420~710cP, 수분 활성도는 0.57~0.62, 당도는 77-80brix의 범위였다. 당액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수분활성도값이 높아졌으며, 물엿보다 설탕 용액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물엿의 혼합비가 별꿀의 수분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식으로 도출한 결과 일차방정식을 얻었으며 이때의 $R^2$값은 0.9이상이었다.

  • PDF

분말녹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수분활성도 및 저장온도의 효과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Water Activit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owdered Green Tea Extracts)

  • 최귀남;정창호;김지혜;곽지현;신영희;이승철;조성환;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3-341
    • /
    • 2009
  • 3개월간 다른 조건에서 저장한 잎 및 분말녹차의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녹차 추출물은 수분활성도(0.81, 0.69, 0.23)와 온도($25^{\circ}C$, $4^{\circ}C$, $-20^{\circ}C$)를 달리하여 3개월간 저장한 잎 및 분말녹차 시료 1.5 g에 $70^{\circ}C$의 탈이온수 100mL를 첨가하여 5분간 추출하여 준비하였다. 항산화 특성은 환원력, DPPH radical 소거활성, FRAP 측정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분말녹차 추출물이 잎녹차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각 실험에서 저장조건에 대하여 다른 결과를 보였다. 잎녹차 추출물의 환원력은 $4^{\circ}C$, 수분활성도 0.23 저장조건에서 $1,000{\mu}g/mL$ 농도일 때 가장 높았으나 분말 녹차 추출물은 모든 저장조건에서 동일한 농도일 때 높았다. 특히 잎녹차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약 $1.5{\sim}2$배 더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농도 $15{\sim}125{\mu}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했다. 처리 농도 $125{\mu}g/mL$ 이상에서는 활성이 $80{\sim}90%$로 더 이상의 증가 패턴은 보이지 않았다. 녹차 추출물의 FRAP 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다. 특히 잎녹차 추출물의 경우 $-20^{\circ}C$, 수분활성도 0.69와 0.23일때 $1,000{\mu}g/mL$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녹차의 저장에 있어서 수분활성도 보다는 온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대체적으로 냉장조건($4^{\circ}C$)이 녹차의 항산화 활성과 생리활성성분을 증가 또는 유지시키는데 좀 더 유리함을 나타내었다.

수분부족이 보리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Stress on Germination in Winter Barley)

  • 백형진;최원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9-145
    • /
    • 1994
  • 보리(Hordeum vulgare L.) 품종인 백동을 공시하여 Polyethylene glycol로 배지의 수분 potential을 0, -5bar, -10bar, -15bar, -200bar로 조절하여 종자를 침지후 초기의 발아율, 발아속도, 호흡계수, $\beta$-amylase 활성과 환원당, 종자의 생건비 등을 조사하여 발아에 미치는 수분부족의 영향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분이 부족할 수록 발아율의 감소 및 발아속도 지연이 극심하였다. 2. 호흡계수(Respiratory quotient :R.Q.)는 배지의 수분 potential이 낮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한다. 3. $\beta$-amylase의 활성은 배지의 수분potential이 높아짐에 따라 높아지고 환원당량도 많아지는데 이는 종실이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지 못한 상태에서 흡수된 수분중 상당량이 세포의 구조적 수분이나 구조유지에 사용되어지기 때문이다. 4. 흡습종자의 생건비는 배지의 수분potential이 높아짐에 따라 낮아지나 심한 수분부족에 처하게 되면 도리어 상승한다. 5. 배지의 수분 potential이 -10bar이상으로 유지되어야 종자가 정상적인 발아를 하며 초기생육도 왕성하게 유지될 수 있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