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분처리

검색결과 2,270건 처리시간 0.035초

Solid Matrix Priming 처리가 고추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II. 적정 carrier 선발 (Effect of Solid Matrix Priming on Peppers Seeds(Capsicum annuum L.) Germinability II. Optimal Carrier Selection)

  • 이정화;김도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9-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고추 12품종의 종자 처리시 적정 SMP carrier 선발을 하고자 하였다. SMP carrier 중 탄산칼슘은 carrier와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낮은 발아율을 보이거나,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어 실용성이 낮은 carrier로 판단되었다. Micro-cel E는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T_{50}$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왕 품종의 경우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어 차후 대량의 종자처리방법으로 적합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냈다. 규조토의 처리는 수분의 배율을 1.5배 처리한 조양과 향촌품종이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였으나,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T_{50}$과 MDG가 단축되었다. 왕 품종의 경우 규조토로 1.0, 1.5배 처리는 $T_{50}$이 0.99일과 0.89일로, Micro-cel E의 5.0, 7.0배의 1.59, 0.94일 보다 0.60일, 0.05일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고추 품종에 적용 가능한 carrier는 Micro-cel E와 대등한 성능을 갖는 규조토로 판단되며, 수분 배율은 1.0배 처리가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건조시간이 녹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박기훈;진상근;김일석;송영민;하경희;류현지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244-247
    • /
    • 2004
  • 본 연구는 사슴고기를 활용한 기능성 육제품인 녹포를 개발하여 이를 실온 $35^{\circ}C$에 보관하면서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건조시간에 따라 pH와 수분활성도는 T1이 다른 두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반면 TBARS는 낮은 경향이었으며, 제조시 건조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분활성도는 낮아졌으며, T1 처리구는 저장기간에 따라 수분활성도는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처리구는 저장기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세균수 T1이 다른 두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

  • PDF

톱밥 절감형 돈분 슬러리 연속 퇴비화 공정 연구 (Study on the Continuous Composting Process to Reduce the Use of Bulking Agent in Pig Slurry)

  • 류종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1-128
    • /
    • 2007
  • 축산분뇨와 톱밥을 혼합하여 수분조절을 한 후 발효조에 투입하는 방식이 아닌 발효상에 미리 투입된 톱밥위에 축산분뇨를 살포하면서 교반처리하여 발효증발 처리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퇴비 발효층의 온도, 수분함량, 수분수지, 퇴비의 비료성분을 연구하였다. 1. 본 처리공정은 과다한 수분을 신속하게 침출수 강제배출 방식으로 배출하여 슬러리 투입분뇨의 함수율이 높더라도 수분증발이 이루어지고 발효상 함수율은 $65{\sim}73%$ 전후로 유지되었다. 2. 연속퇴비화 과정에서 시험기간 중에 10.6% 정도의 침출수가 발생되었다. 또한 5개월 가동 기간 동안 톱밥 $1m^3$ 투입 당 $3.16m^3$의 돈분슬러리 처리가 가능하였다. 3. 침출여과액은 오염물질농도가 낮아져 투입분뇨 대비 BOD는 86.5%, SS은 96.2% 저감되었다. 4. 퇴비사의 미기상 분석결과 상대습도는 낮 시간을 제외한 야간시간에는 $80{\sim}100%$로서 높았다. 퇴비사의 습도가 높아지면 퇴비화 과정 중 수분증발 효율이 저하의 원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분-열처리한 찹쌀 전분의 호화 성질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heat-moisture treated waxy rice starches)

  • 장명숙;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3호
    • /
    • pp.223-230
    • /
    • 1990
  • 올찰(일반계)과 한강찰벼(다수계) 찹쌀 전분을 수분-열처리하고 이화학적 성질과 호화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전분의 청가, 광투과도, 알카리에 의한 점도 변화는 두 찹쌀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물결합 능력과 팽윤력은 올찰 전분이 한강찰벼 전분보다 낮았고, KSCN에 의한 전분겔의 부피는 올찰 전분이 높았으며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최고 점도는 올찰 전분이 낮았다. 수분-열처리한 전분은 처리하지 않은 전분과 비교할 때 광투과도, NaOH 및 KSCN에 의한 호화 정도는 감소되었고 물결합 능력과 팽윤력의 감소 비율은 올찰 전분이 한강찰벼 전분보다 낮았다. 아밀로그라프의 최고 점도는 두 전분 모두 수분 18 %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올찰 및 한강찰벼 전분호화액(7%, 건량기준)의 점조도 지수값은 수분(18%)-열처리한 전분이 처리하지 않은 전분보다 높았다. 활성화 에너지 값은 올찰 전분이 낮았으며 수분 처리는 활성화 에너지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온도, 종자수분 및 삼투처리가 대두의 발아와 묘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Level during Preconditioning on Germination and Seedling Elongation of Soybean Seeds with and without Osmoconditioning)

  • Seong, Rak-Chun;Minor, Harry C.;Park, Keun-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1-66
    • /
    • 1987
  • 삼투처리와 무처리의 대두종자(품종 :Williams)에 대하여 두가지 온도(15, 3$0^{\circ}C$)에서 두가지의 종자수분함량(30%, 50%)으로 조절된 조건으로 0. 2, 4 및 8일간 전처리함에 있어서 시간별 세세구배치법 4반복으로 배치하여 발아와 묘신장을 조사하였던 바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콩의 묘신장은 30에서 2일간 전처리함으로서 촉진되었으나 같은 온도에서 전처리기간이 길수록 억제되었다. 2. 삼투처리후 전처리된 종자는 수분흡수와 묘신장이 떨어졌다. 3. 종자수분함량이 50%로 조절된 뒤 전처리된 것은 체의 수분함량을 증가시켰으며 4일간까지의 전처리는 묘신장을 크게 하였다. 4. 묘의 건물중에서는 전처리온도가 3$0^{\circ}C$ 일때와 종자수분함량이 50%로 조절되어 8일간 전처리하였을 때 감소되었다.

  • PDF

온도ㆍ토양수분 포텐셜 및 삼투처리가 옥수수와 대두의 발아 및 묘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Soil Water Potential and Osmoconditioning on Germination and Seedling Elongation of Corn and Soybeans)

  • 성락춘;해리 씨 마이너;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6-61
    • /
    • 1986
  • 옥수수품종 (Dekalb XL 72B)과 대두품종 ( Willi -ams)의 발아와 묘신장을 두 온도, 세 토양수분 포텐셜 및 네 polyethylene glycol(PEG) 8,000 수준에서 측정하였다. 각 품종의 20처리종자를 0.2% Thiram에 처리하여 가비중 1.20으로 압축된 살균사양토에 2.0cm 깊이로 파종 분할구배치법 사반복으로 실시하였다. 1. PEG로 한 삼투처리는 고온에서나 저토양수분포텐셜 조건에서 효과가 거의 없었다. 2. 대두는 옥수수보다 높은 묘수분함량을 보였고 두 작물 모두 토양수분 포텐셜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분흡수가 증가되었다. 3. 옥수수의 묘장이 35$^{\circ}C$에서는 대두보다 길었으나 15$^{\circ}C$에서는 짧았다. 4. 옥수수의 건물중은 35$^{\circ}C$에서 감소되었고 대두의 건물중은 토양수분 포텐셜이 증가할수록 감소되었다.

  • PDF

지구온난화와 환경요소인 광, 토양수분, 영양소가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생태 지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Light, Soil Moisture, and Nutrient Level on Ecological Niche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variabilis)

  • 조규태;장래하;이승혁;한영섭;유영한
    • 생태와환경
    • /
    • 제46권3호
    • /
    • pp.429-439
    • /
    • 2013
  • 한반도의 참나무 중 수분과 유기물이 많은 입지에 분포하는 상수리나무와 수분이나 양분이 적은 척박한 건조지에 분포하는 굴참나무를 대상으로 대기 중의 $CO_2$ 농도와 기온이 상승하고 환경요소인 광, 토양수분, 영양소가 변화할 때 두 종의 생태 지위폭과 생태 지위 중복역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리온실 내에서 대기 중의 $CO_2$ 농도를 그대로 반영한 대조구와 이보다 $CO_2$ 농도는 약 1.6배와 온도는 $2.2^{\circ}C$ 상승시킨 온난화처리구에서 유식물에 주요 환경요인 중 광, 토양수분과 영양소를 각각 4구배로 처리하여 두 종의 생태 지위폭과 생태 지위 중복역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상수리나무의 생태 지위폭은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고, 굴참나무의 생태지위폭은 대조구에 비해 온난화처리구의 영양소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생태 지위 중 복역은 대조구에 비해 온난화처리구의 토양수분과 영양소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식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로 성측목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나, 지구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토양수분과 영양소 환경에 의한 경쟁이 약해질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Cluster 분석과 PCA 분석 결과, 두 종은 $CO_2$ 농도 및 온도 증가에 의한 반응보다 광 환경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피방법에 따른 근채류(도라지 및 우엉)의 이화학적 품질특성(II)

  • 정진웅;정승원;박기재;김동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45.2-146
    • /
    • 2003
  • 일반 근채류와는 달리 기계적, 화학적 박피방법이 불가능한 도라지는 수작업에 의한 박피만이 가능하여 다양한 수작업에 의한 박피 처리후의 품질을 비교한 결과, 감모율에 있어 박피 도구를 사용한 수작업시 15.93%로 박피 도중 제거되는 측근의 수가 많아 높게 나타났다. 박피 처리후의 수분함량 변화는 칼을 이용한 수작업 처리구에서 초기치 88.26%에서 3시간후 71,55%로 16.71%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박피 도구를 사용한 수작업 처리구에서는 14.38%, sandpaper에 의한 수작업 처리구는 16%의 수분함량 감소율을 보였다. 한편, 우엉의 박피 감모율은 다른 품목과는 달리 칼을 이용한 수작업 박피에서 18.20%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brushing에 의한 박피가 8.05%로 가장 적은 감모율을 나타내었다. 박피 처리후의 수분함량 변화는 박피 도구를 이용한 수작업 처리구가 80.50~71.30% 범위로,7$0^{\circ}C$, 12%-NaOH 에서 30초간 처리한 우엉의 80.56~69.54% 보다 다소 높게 유지되었다. pH 변화도 6.58~5.67 수준으로 다른 근채류와 마찬가지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rushing에 의한 방법은 박피 직후에 갈변도가 0.85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는 갈변정도가 더디게 진행되는 특징을 보여 주었다.

  • PDF

돈분이용 퇴비화과정에서의 공기공급량별 퇴비화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Using Pig Manure Under Aerobic Air Flow Rate During Composting)

  • 곽정훈;김재환;정광화;조승희;안희권;최동윤;정만순;이상철;강희설;라창식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1-138
    • /
    • 2011
  • 스크레퍼 이용 수거된 돈분을 호기성 조건으로 퇴비화 하는 과정에서 공기공급량을 50, 100, 150, 200$\ell/m^3$/min.으로 각각 다르게 하여 퇴비화 하는데 있어서 공기공급량을 다르게 하여 퇴비화기간동안의 퇴비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퇴비화원료로 사용된 돈분의 수분함량은 85%였으며 수분 조절재로 사용한 톱밥의 수분함량은 35%를 혼합하여 수분 68%로 조정한 후 퇴비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2. 돈분의 호기성 퇴비화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퇴비화기간동안의 발효온도를 조사한 결과 T-1 처리구에서 발효온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T-1 처리구에서는 정상적인 호기성 발효가 진행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반면에 T-3 및 T-4 처리구에서는 최고온도 도달시간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짧다는 것은 계분의 신속한 퇴비화 및 높은 수분 증발량이 조사되었다. 3. 처리구별 수분 함량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발효 초기의 경우에 공기 공급량을 T-1 처리구에서 1주일이 경과한 후 7.6%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으며, T-2, T-3 및 T-4 처리구에서는 각각 13.2%, 16.8% 및 16.9%로 높은 수분 감소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T-3 및 T-4 처리구와 나머지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4. 처리구간별 배출되는 가스성분 중에서 산소 농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퇴비화 3일차까지 9 ppm으로 낮은 수치로 조사되어 모든 처리구가 정상적인 호기성 퇴비화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5. 퇴비화 시험 1주일 후의 중량 감소율은 T-1 처리구에서 7.6%로 가장 낮았으며, T-3 및 T-4구에서는 16.8% 및 16.9%로 비슷한 경향이 조사되었다. 6. 퇴비화기간의 경과에 따른 비료성분 및 유기물 량은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차 발효 후 비료성분 함량은 처리구별로는 T-4 처리구에서 질소성분이 타 처리구에 비하여 낮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퇴비화 과정에서의 수분 함량 변화에 따라 비료성분의 함량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 따라서 돈분을 호기성 방법으로 퇴비화 할 경우 적정 공기공급량은 퇴비더미 $1m^3$당 최소 $1m^3$당 150$\ell$/min 이상을 공급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어 졌다.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Uresol 및 Bitumen처리(處理)가 토양(土壤)의 수분이동(水分移動)과 유실(流失)에 미치는 영향(影響) II. 습윤각(濕潤角)과 수분(水分)의 광산계수변화(鑛散係數變化) (Effects of Soil Conditioner "Uresol and Bitumen" Treatments on Water Movement and Soil Loss II. The Changes of Wetting Angle and Water Diffusivity)

  • 조인상;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17
    • /
    • 1984
  •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처리(處理)가 토양중(土壤中)에서 수분(水分)의 이동(移動)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져 사양토(砂壤士)와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에 친수성(親水性)인 Uresol과 소수성(疎水性)인 Bitumen을 처리(處理)하여 습윤각(濕潤角), 침투성(浸透性) 및 확산계수(擴散係數)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였는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Uresol 처리(處理)에 의하여 사양토(砂壤土) 습윤각(濕潤角)이 $10^{\circ}$이상(以上) 감소(減少)되어 친수성(親水性)이 증대(增大)되었으나 미세질양토(微砂質壤土)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2. Bitumen 처리(處理)로 미세질양토(微砂質壤土)의 습윤각(濕潤角)은 무처리(無處理) $76.0^{\circ}$에서 $84.9^{\circ}$로 증가(增加)되었으며 사양토(砂壤土)는 소수성(疎水性)으로 변하였다. 3. 침투성(浸水性)(Penetrability)과 흡수성(吸水性)(Sorpotivity)은 Uresol 처리(處理)에 의하여 사양토(砂壤土)에서는 2배이상(倍以上) 증가(增加)되었고 미세질양토(微砂質壤土)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Bitumen 처리(處理)는 두 토양의 침투성(浸水性)을 반이하(半以下)로 억제(抑制)시켰다. 4. 수분(水分)의 침투성(浸水性)은 습윤각(濕潤角)의 여현(餘弦)(cos ${\alpha}$)과 정비례(正比例)하였다. 5. 수분(水分)의 확산계수(擴散係數)는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처리(處理)로 크게 변화(變化)되었으며, 그 차이(差異)는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이 적을수록 심(甚)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