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분균형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odeling of Water Transportation in Dynamic Load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Fuel Cell Power Generator (동적부하 PEM 연료전지 발전기에 있어서의 수분전달 모델링)

  • Agung, Bakhtiar;Choi, Kwang-Hwan;Kim, Young-Bok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1 no.2
    • /
    • pp.1-7
    • /
    • 2011
  • PEM 연료전지에 있어서 수분의 균형이 연료전지의 시스템 성능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수분 균형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적절한 수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멤브레인 수화작용(membrane hydration)이 필요하며, 반대로 촉매층(catalyst layer)에서의 익수(water flooding)현상이 없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적 상태에서 PEM 연료전지 내의 수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동적 수분 조정 기술이 확보되어야 한다. 현재의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PEM 연료전지에서 동적부하 상태에서의 수분 이동에 관한 일차원 해석 모델에 관한 것이다. 금번 모델링의 결과, 양극촉매층(CCL, cathode catalystlayer)에서의 수분 상태는 거의 포화 단계에 이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모델링은 연료전지가 작동되는 동안의 CCL에 나타나는 수분의 양상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분 이동 모델이 국제규격에 따라 다양한 수송기관이 가동될 때, 동적부하 상태에서 서로 다른 차이점을 발견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 모델링을 적용한 결과, 수분 포화도가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정적 수분 조절 요소에 따라 최적 상태가 모든 동적 분포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Water Balance in Stationary Load Proton Exchange Membrane(PEM) Fuel Cell Power Generator (고정 부하를 갖는 PEM 연료전지 발전기에 있어서의 수분 평형에 관한 연구)

  • Bakhtiar, Agung;Oh, Hoo-Kyu;Yoon, Jung-In;Kim, Young-Bok;Choi, Kwa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1 no.4
    • /
    • pp.128-135
    • /
    • 2011
  • 일반적으로 PEM 연료전지에서는 수분 균형이 시스템의 효율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균형(balance)을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촉매 층에서 물이 넘치는 익수현상(flooding)이나 건조현상(drying)이 발생하게 되면 연료전지의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하므로, 항상 수분의 균형이 잡히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수분의 익수현상이나 건조현상은 PEM 연료전지의 용량과 주위의 환경, 즉 온도와 습도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금번 논문에서는 가정용 규모인 3kW급에서 10kW급까지의 PEM 연료전지를 설치하였을 때, 주위의 환경(온도와 습도)이 수분 이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시간에 따라서 시뮬레이션(simulation)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결과에서 유입공기의 온도가 $50^{\circ}C$ 이하일 경우, 고정부하가 5kW급 이하이면 대부분이 건조현상이 발생하였으나, 고정부하가 6kW급 이상이 되면 익수현상이 운전시간이 20분 이내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고정부하를 최고 10kW급까지 올린 경우, 유입공기의 온도가 $50^{\circ}C$까지는 익수현상이 발생하였으나 $60^{\circ}C$ 이상인 경우에는 거의 건조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Estimate Soil Moisutre Using Satelite Image and Data Mining (위성영상과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토양수분 산정)

  • Kim, Gwang-Seob;Park, Han-Gyun;Cho, S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15-1619
    • /
    • 2010
  • 토양수분은 토양입자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표면과 대기간의 에너지 균형과 물 순환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 산정을 위하여 200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의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위성관측 자료로부터 획득한 정규식생지수(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자료와 지표면 온도자료, 우리나라 76개소 기상관측소 중에 자료의 보유기간이 30년 이하인 관측소와 섬 지역들을 제외한 57개 지점의 강수량, 토양온도 자료 및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토지피복, 유효토심자료를 이용하여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법의 하나인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기법을 이용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였다. 먼저 신뢰성 높은 토양수분 관측 자료를 가진 용담댐 유역의 6개 지점에 대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여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3개 지점의 토양수분 관측치는 토양수분 산정 모형 수립에 사용하였으며 검증에 사용된 1개 지점의 토양수분의 관측치와 추정치 간의 상관계수를 확인한 결과 전체적인 토양수분의 거동을 잘 나타내고 있어 토양수분 추정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용담댐 유역의 토양수분 분포와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토양수분 분포도를 추정하였다. 신뢰할 수 있는 지상관측 토양수분 관측치가 다양한 지상조건에 대하여 존재하지 않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시된 토양수분산정 방법은 제한된 가용자료를 사용한 우리나라 전역의 토양수분 산정에 있어 합리적인 접근법이라 판단된다.

  • PDF

'생생한 음식으로 활력을 찾으세요'

  • 한국간협회
    • 간의등불
    • /
    • s.14
    • /
    • pp.21-23
    • /
    • 2000
  • 여름철 무더위에 시달리다 보면 자칫 건강을 해치기 쉽다. 식욕이 떨어지는 여름은 간질환자들에게는 더 주의가 요구되는 계절. 열량과 수분을 보충하고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을 충분히 공급하는 균형있는 식단으로 이 여름을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 본지에서는 간질환자들의 식이요법과 그에 따른 식단을 마련했다.

  • PDF

Extending the Vase Life of Cut Iris 'Blue Magic' Flowers by 1-Methylcyclopropene (1-Methylcyclopropene 처리에 의한 아이리스 '블루매직'의 절화수명 연장)

  • Kim, Young-A;Lee, Jong-Suk;Park, Jong-Su;Lee, Poong-Ok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6
    • /
    • pp.985-989
    • /
    • 201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s of 1-methylcyclopropene (1-MCP) on vase life of cut 'Blue Magic' iris. Pretreatment for 4 h with concentrations of 500 nL and 1000 nL 1-MCP, an inhibitor of ethylene action, inhibited the wilting and inrolling response of cut iris. The vase life of iris flowers of 500 nL or 1000 nL 1-MCP treatment was prolonged to 0.5 day compared to those held in distilled water (control). Vase life of ir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3{\mu}L{\cdot}L^{-1}$ ethylene exposure after 1-MCP treatment and control. 1-MCP treatment inhibited inrolling and increased fresh weight, water uptake, and water balance. The increase of fresh weight was high in 500 nL 1-MCP treatment and water uptake was increased by 1000 nL 1-MCP. Especially, iris flower without 1-MCP treatment dramatically decreased the water uptake as compared to the control for four or five days. Water balance of iris flowers held in water was changed to minus value faster than those with pretreatment of 1-MCP.

Effect of Pretreatment and Holding Solution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Flowers of Aster koraiensis Nakai (벌개미취 절화의 품질향상과 수명연장을 위한 전·후처리제의 효과)

  • Lee, Poong Ok;Hwang, Sun Ae;Choi, Mok Pli;Kim, Young A;Lee, Jong Suk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9 no.1
    • /
    • pp.42-48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mprove postharvest quality and extended vase life of Korean native Aster koraiensis Nakai for use as cut flowers. Aster koraiensis Nakai cut flowers were treated with various pretreatment and holding solution. Postharvest pretreatment with 3% sucrose + $200mg{\cdot}L^{-1}$ HQC + $50mg{\cdot}L^{-1}\;AgNO_3$ + $50mg{\cdot}L^{-1}$ BA and 3% sucrose + $200mg{\cdot}L^{-1}$ HQC + $50mg{\cdot}L^{-1}\;AgNO_3$ + $150mg{\cdot}L^{-1}$ citric acid for 16 hours extended vase life of cut Aster koraiensis Nakai flowers by 1.4 time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distilled water). Holding solution of 3% sucrose + $200mg{\cdot}L^{-1}$ HQC + $50mg{\cdot}L^{-1}\;AgNO_3$ + $50mg{\cdot}L^{-1}$ BA and 3% sucrose + $200mg{\cdot}L^{-1}$ HQC + $50mg{\cdot}L^{-1}\;AgNO_3$ + $150mg{\cdot}L^{-1}\;GA_3$ extended vase life of cut Aster koraiensis Nakai flowers by1.6 and 1.7 times as compared with control (distilled water). Aster koraiensis Nakai.flowers held in this preservative solution increased fresh weight and were maintained positive water balance for a long vase period. It was suggested that the vase life of cut Aster koraiensis Nakai flowers was closely related to fresh weight and water balance of the cut flower.

Effects of Cecal Ligation and Colostomy on Food and Water Intake and loafer Excretion in Chickens Fed Restrictedly and Freely (닭에 있어서 사료섭취의 자유 및 제한급여시킬 때의 사료섭취량, 음수량 및 수분 배설량에 미치는 맹장결찰 및 인공항문 수술의 효과)

  • Son, J.H.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29 no.4
    • /
    • pp.259-263
    • /
    • 2002
  • It was examined whether the ceca and the back-flow of urine into the lower intestine are involved in water intake and excretion in chickens and food intake affects those. Colostomy significantly increased water intake, total water excretion and the ratio of the water intake to food intake in the ceca-ligated chickens under restrict and ad libitum feeding conditions (P<0.05), but the increases were much larger in chickens fed ad libitum than in those fed restrictedly. Cecal ligation increased water intake, total water excretion and the ratio of water intake to food intake in the colostomised chickens which were fed freely (P<0.05). but not in those fed restrictedly, None of colostomy and cecal ligation affected the resultant water balances in chickens under both feeding conditions. Colostomy increased food intake in the ceca-ligated chickens (P<0.05), but no increase by cecal ligation was observed in colostomised chickens. It is concluded that the lower intestine takes a very important role in water recovery from urine to maintain water balance in chickens.

Modeling and Analysis of Soil Moisture Dynamics in the Large River Basin (넓은 유역에 있어서의 토양 수분 동력학의 모델링과 분석)

  • 이재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4.02a
    • /
    • pp.449-456
    • /
    • 1994
  • 넓은 지역(Arkansas River Basin)에 대하여 토양 수분을 기본으로한 물 수지 모델이 계절별 년별 시간단위로 연구되었다. 지표면과 대기 수분사이의 상호 작용과 재순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유역의 매개 변수화 과정에서 수행되었으며 대규모의 지표면과 대기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넓은 지역의 지표 수문은 장기간의 확률분포함수에 있어서 두가지 즉 건조와 습한 안정상태의 영향을 받는다. 토양수분 균형 방정식에서 추계학적 변동은 주위환경 변동에 의하여 야기되는 안정상태 사이의 변이와 함께 분리된 선호하는 통계학적 안정상태를 초래한다. 과거의 자료를 바탕으로 비선형 물수지 모델이 Arkansas강 유역에 대하여 검정되었다. 모델에서 안정상태 사이의 평균 변이시간이 물리과정의 추계학적 표현과 검정된 모델변수들로부터 계산되었다. 본 연구는 안정상태 사이의 변이시간 혹은 거주시간, 즉 시스템이 주어진 안정상태에 머무는 시간(가뭄이나 홍수상태의 지속기간)의 예측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PDF

Regional Soil Distribution in Jeju Island by Climatic Factors (기후요인에 의한 제주도 토양분포)

  • Moon, Kyung-Hwan;Lim, Han-Cheol;Hyun, Hae-Nam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2 no.5
    • /
    • pp.348-354
    • /
    • 2009
  • We analyzed relationship soil distribution and climatic factors using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maps in Jeju island. The whole area was divided into 5 groups - mesic high moisture region(group1), thermic high moisture region(group2), thermic balanced moisture region(group3), thermic short moisture region(group4), thermic very short moisture region(group5), by soil temperature and monthly moisture balances. By the sequence from group1 to group5, the occupation ratio of soils was increased in order of andisols, inceptisols, alfisols, ultisols in soil orders, and of black soils, very dark brown soils, dark brown soils in soil colors.

Changes in Moisture Content and Quality of Oriental Hybrid Lily (Lilium oriental cv. Siberia) Cut Flowers during Storage at Cold and Dry Condition and Subsequent Exposure to Ambient Temperature (오리엔탈 나리 '시베리아' 절화의 포장내 건식저장 기간별 수분함량과 품질 변화)

  • Lee, Jung-Soo;Rhee, JuHee;Kang, Yun-Im;Choi, Ji Weon
    •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 /
    • v.23 no.1
    • /
    • pp.27-36
    • /
    • 2017
  •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content and flower qualities of oriental hybrid lily cv. 'Siberia' cut flower, flowers were subjected to dry and cold storage at $5^{\circ}C$ for 3, 6, and 12 days and subsequently exposed to ambient temperature ($26^{\circ}C$) in bottles with water for up to 16 days. Flowers stored at $22^{\circ}C$ in dry condition for 3 days were used as the control. Changes in fresh weight, moisture content, water balance, flowering stages, osmolality and vase life of cut flowers were observed. Flowers treated with cold and dry storage had higher moisture content compared to control sample. However, this trend was evident only for 3-day cold and dry stored sample during the whole storage period. The fresh weight of cut flowers increased gradually when the samples were transferred to ambient temperature in water bottles and then declined steadily before reaching the peak in between 6-8 days of vase life. However, the changes of fresh weight of control sample were substantially faster than samples pre-treated with cold and dry storage. This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water balance of cut flower as it reached the minus (-) value in 6-8 days of vase life at ambient temperature. Cut lily flowers showed high osmolality values corresponding with the duration of dry storage regardless of low or higher temperature. However, osmolality had no effect on vase life since flower stem absorbed water rapidly at the end of dry storage period. Our vase life results suggest that cold and dry storage of lily cut flowers for a certain period could ensure longer vase life at ambient temperature. It was observed that prolonging the storage period at cold and dry condition for more than a week significantly increased bud abortion, reduced longevity of flowers and reduced the vase life of cut flowers. On the other hand, the shorter cold and dry storage treatment delayed the bud opening and senescence of the flowers, thus, slowering the normal maturation and aging. Results indicated that dry and cold storage at $5^{\circ}C$ for 3 days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and preserving overall quality and vase life at ambient condition of oriental hybrid lily cut flow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