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부재활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Blood Flow Exercise for Health-care Promotion: A Focus on Korean Domestic Research (헬스케어 증진을 위한 혈류조절 가압 운동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국내 연구 중심으로)

  • Seo, Tae-Hwa;Kim, Dong-Wo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8
    • /
    • pp.447-45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effects of blood flow regulation exercise for improving patients' health care and its usefulness as a rehabilitation model for various diseases by analyzing and examining the existing literature. A literature review of Korea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over a 10-year period, from 2010 to 2019, was conducted using words such as "blood flow regulation," "blood flow restriction," "low-intensity exercise," and "Kaatsu." Kaatsu is a blood flow regulation exercise developed in 1966 by Dr. Yoshiaki Sato of Japan. It is an efficient and effective exercise method that uses blood flow regulation bands that increase the secretion of growth hormones to develop muscles within a short time, improves blood circulation and metabolism to prevent and improve adult diseases, shortens the rehabilitation period, and improves cardiovascular function.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0 patients, of whom four were elderly, four had obesity, one was a stroke patient, and one was a trauma pat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blood flow regulation exercise, which is a low-intensity exercise, has the same effect as high-intensity exercise, which supports the evidence that it is a highly efficient exercise method for muscle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adolescents, and patients with injuries who have difficulty in general exercising. For future studies, further reviews are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xercise method according to blood flow regulation site and type of disease.

The EFFECT of HAND-SPLINT for 2 CASES (두 사례에 의한 수부 스프린트 효과)

  • Chae, Soo-Gyung;Kim, Ho-Ba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 /
    • v.9 no.2
    • /
    • pp.13-23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손 기능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을 중심으로 splint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기초조사로써 2명의 환자를 제주 한마음병원(Case1, 2)에서 2001년 6월부터 11월까지 조사하였다. 2명의 환자는 다음과 같다. i) 사례 1 : 뇌성마비 아동(4세, 남, 오른손)으로 한쪽 손목과 엄지손가락에 강직으로 인하여 잡기 기능에 제한이 있는 편마비 아동이다. ii) 사례 2 : 전기화상(56세, 남, 왼손)으로 4-5번째 손가락의 M.P joint와 I.P joint에 관절운동 제한으로 완전하게 주먹을 질 수가 없다. 연구를 위하여 손 기능의 평가는 표준화가 되어있는 Jebsen-hand function test, Total passive Motion(TPM)을 사용하였으며, 환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을 사용하였다. i) 사례 1 : 두 가지 splint를 적용하였다. 즉 낮 동안에는 splint 1, 밤 동안에는 splint 2를 6시간 이상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작업치료는 시행하지 않았다. ii) 사례 2 : 이 환자에게는 작업치료가 끝나는 동시에 splint. 3을 6시간 이상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M.P joint와 I.P joint의 관절 변화를 조절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splint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사례 1의 Jebsen-hand function test시 초기에는 측정을 할 수가 없었으나, splint착용 후 크고 가벼운 물건 옮기기(44.15), 크고 무거운 물건 옮기기(42.66), 적목쌓기(44.63), 먹기 흉내내기(54.47) 등에서 처음 동작만 도와주면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진전을 보였다(그래프1), 사진(착용 전과 착용 후). 사례 2의 경우 Jebsen-hand function test의 적목쌓기와 먹기 흉내기가 가장 높았으며, 글씨 쓰기가 가능했다. 손의 관절가동 변화에서도 splint 착용전의 측정치와 착용 후 관절 가동 범위의 변화 폭이 약 $30_{\circ}$이를 보여주었다(그래프 2), (그래프3). 결론적으로 손 기능 회복에 직접적인 재활 치료뿐만 아니라, 치료 후에도 splint를 착용하여 가정에서도 계속적인 치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손의 기능회복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각 환자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적절한 splint를 제작해 줄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 기초조사를 시작으로 하여 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splint가 손 기능 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에 대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