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복물

검색결과 740건 처리시간 0.024초

컴포머의 재석회화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REMINERALIZING EFFECT OF COMPOMERS)

  • 정회민;김용기;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98-508
    • /
    • 2002
  • 소아치과 임상에서 심미수복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컴포머의 불소 유리양상과 수복물 인접 우식법랑질에 대한 재석회화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복합 레진인 Z-100을 I 군으로, 양성 대조군으로 글라스 아이오노머인 Fuji II LC를 IV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실험군으로는 Dyract AP와 F-2000을 II군과 III군으로 설정하였다. 불소 유리량의 측정을 위하여 각 군에 따라 동일한 디스크를 제작하여 증류수에 담근 후 1일부터 14일까지 매일 측정하였다. 또한 협면이 건전한 우전치를 대상으로 인공 우식을 유발시킨 후 각 군별로 수복물을 충전한 다음 가철성 장치에 이를 부착하여 구강 내에서 2주간 유지시킴으로써 수복물 주위 우식법랑질에 대한 각 수복재의 재석회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I군은 불소 유리를 하지 않았으며, IV군에서 가장 높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다(p<0.05). II군과 III군은 IV군보다 낮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으며(p<0.05), III군이 II군보다 불소 유리량이 많았다(p<0.05). 편광 현미경 관찰 결과 모든 군에서 병소가 거의 소실되거나 흔적만 남아있는 양상이 다수 관찰되어 각 군 공히 상당한 재석회화가 일어났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I군과는 달리 II, III, IV 군에서는 수복물의 변연부에 Inhibition zone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II, III, IV 군으로 갈수록 재석회가 충실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미세경도 측정 결과 우식부위가 대조부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II, III, IV 군의 경우 수복물 인접부의 미세경도치는 대조부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수복물 변연에서 멀어지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잠정수복물의 최종수복물로의 디지털 복제를 통한 완전구강 회복 증례: Double scan technique (Digital duplication of provisional prosthesis to fabricate definitive prosthesis for full mouth rehabilitation using double scan technique)

  • 홍영택;곽재영;김성균;허성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63-70
    • /
    • 2021
  • CAD-CAM 기술의 사용은 다양한 부분에서 치료의 결과를 향상시킨다. 본 증례는 법랑질형 성부전증 환자를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치료한 전악구강회복 증례이다. 임상적 검사 결과 occlusal stop의 부재로 저작기능의 저하와 치아 상실, 왜소치로 인한 치간사이 공간, 불충분한 수직피개 등의 문제점이 파악되었다. 하악의 치아 상실 부위를 수복키 위해 CAD-CAM 수술 스텐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이 진행되었고 추가적으로 부족한 골량을 보강하기 위해 골유도재생술이 동반되었다. 상하악 자연치는 모두 전장관수복을 통해 새로운 교합평면 설정 및 안정적인 수직교합관계를 형성하였다. ARCUS digma 장비를 통한 잠정수복물 평가 후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잠정수복물 상태의 수복물을 더블스캔을 통한 복제를 하여 최종수복물을 제작, 환자에게 수복하여 전악수복을 완성하였다. 이를 통해 치료의 효율성과 예지성 있는 결과, 환자의 적응기간 감소와 기능적, 심미적으로 높은 만족도 등을 이루어냈다.

금속도재, 전장도재, 지르코니아 수복물에서의 도재 파절 (Porcelain Fracture in Metal Ceramic, All ceramic and Zirconia restoration)

  • 김철연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6-53
    • /
    • 2023
  • 도자기 파절은 금속도재, 전부도재, 지르코니아 수복물의 흔한 문제점이다. 이와 관련되 여러가지 요소들이 제시되는데, 금속의 물성, 금속도재의 금속 코핑의 형태, 가공 방법, 지지형태, 교하벽, 비기능적 습관들이 포함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요소들을 조금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치과용 지르코니아의 발전 (Development of dental zirconia)

  • 김성훈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7
    • /
    • 2023
  • 1990년대 말부터 치과보철 수복에 응용된 초창기 지르코니아는 코핑 형태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보철 수복물은 기존의 다른 심미 금속 수복물의 구조물이나 프레임 역할을 하는 금속이 없어서 자연스러움이 필요한 전치부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으나 구치부에서는 기능중에 상부 비니어링 포세린의 파절로 그 사용에 한계가 있었다. 그후 여기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강한 코핑 재료를 전체 보철물의 형태로 제작하는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수복물이 제안되었다. 이것은 강한 힘에 대한 저항은 뛰어나지만 매우 희고 불투명한 지르코니아의 특성상 조금은 비심미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현재는 지르코니아의 투명도를 높이는 기술적인 진보로 구치부뿐만 아니라 전치부에서 강하면서도 심미적인 지르코니아 수복물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여러 종류의 지르코니아 재료의 구조적 특징을 알고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지르코니아 제품이 어디에 속하는지 설명한다.

두 종류의 CAD/CAM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의 도재 축성 전후의 변연적합도 비교 (Comparison of marginal fit before and after porcelain build-up of two kinds of CAD/CAM zirconia all-ceramic restorations)

  • 신호식;김석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28-534
    • /
    • 2008
  • 연구목적: 변연적합도는 보철수복물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McLean과 von Fraunhofer등에 의하면 120 ${\mu}m$ 이하를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를 넘는 정확하지 않은 변연은 지각과민을 일으키거나 이차 우식을 일으키고, 치태 축적을 용이하게 하여 보철물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에 최근에 우리나라에 소개되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CAD-CAM 전부도재 수복물 중 $LAVA^{(R)}$ 시스템 (3M ESPE, St. Paul, MN)과 $EVEREST^{(R)}$ 시스템 (KaVo Dental GmbH, Biberach, Germany)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전부 도재관들이 도재전장 금속주조 수복물과 비교해 보아 코핑 상태일 때와 도재축성 후 각각 변연적합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재료와 방법: 상악 제1소구치 덴티폼 치아를 high speed diamond bur 로 교합면 2.0 mm, 순설면 1.0 mm, 그리고 변연은 chamfer margin을 6도 측면 경사 절삭 기계로 균일하게 제작해서 이를 인상 채득하여 금속 지대치를 제작하였다. 이를 덴티폼 모형상에 장착한 후 전악인상을 채득하여 $LAVA^{(R)}$ 수복물 코핑, $EVEREST^{(R)}$ 수복물 코핑, 그리고 도재전장 금속주조 수복물 코핑을 각각 8개씩 제작하였다. 이들 코핑을 염색제를 섞은 Fit-checker $II^{(R)}$ (GC Cor.,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금속 지대치에 접합시킨 뒤, $Microhiscope^{(R)}$ system (HIROX KH-1000 ING Plus, Seoul, Korea)을 이용하여 300배율로 관찰하면서 변연 간격을 ${\mu}m$단위로 측정하였다. 도재축성 후에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모든 수복물의 변연간격을 측정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결과: 코핑 상태에서의 평균 변연간격 값은 $EVEREST^{(R)}$ 에서 $52.00{\pm}11.94\;{\mu}m$, $LAVA^{(R)}$$ 56.97{\pm}10.00\;{\mu}m$, 그리고 도재 전장 금속 주조 수복물은 $97.38{\pm}18.54\;{\mu}m$를 보였고, 도재축성 후에 평균 변연 간격값은 $EVEREST^{(R)}$$61.69{\pm}19.33\;{\mu}m$, $LAVA^{(R)}$$70.81{\pm}12.99\;{\mu}m$, 그리고 도재 전장 금속 주조 수복물은 $115.25{\pm}23.86\;{\mu}m$를 보였다. 결론: 1. $LAVA^{(R)}$$EVEREST^{(R)}$ 수복물은 도재 전장 금속 주조 수복물과 비교하여 각각 코핑상태일 때와 도재 축성 후 모두 유의성 있는 (P < .05) 차이를 보이는 우수한 변연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2. $LAVA^{(R)}$$EVEREST^{(R)}$ 수복물 간의 평균 변연 간격 비교에서 코핑 상태일 때와 도재 축성 후에 모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P > .05). 3. $LAVA^{(R)}$$EVEREST^{(R)}$ 그리고 PFM 은 각각 코어 상태일 때와 비교하여 도재 축성 후 변연 간격에서 약간 증가되었으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 > .05).

심미적 부위에서 가공치 하방 잔존치조제의 형성 및 연조직 복제 모형을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 수복증례 (Pontic site development and soft tissue transfer of the esthetic area: a case report)

  • 김학천;노관태;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23-331
    • /
    • 2013
  • 고정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 시 보철물 자체의 심미성뿐 아니라 보철물과 조화로운 주변 연조직의 형성 또한 중요한 요소이며, 임시보철물을 이용하여 조화로운 연조직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임시보철물을 통해 형성한 연조직의 형태는 적절한 형태를 갖는 최종 수복물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종모형으로 정확하게 복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임시보철물 주위 연조직의 형태는 인상과정 또는 인상재의 압력 등으로 최종 모형으로의 복제가 어렵다. 따라서, 임시보철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구강내의 연조직 형태를 모형으로 복제하여 연조직과 조화로운 최종 수복물을 제작하는 서로 다른 2가지 방법을 본 증례보고에서 소개한다.

완전 디지털 시스템으로 기존 교합을 보전한 All-on-4 임플란트 수복증례 (All-on-4 implant restoration with full-digital system preserving existing occlusion: A case report)

  • 김경희;정승미;이예찬;안설은;최병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30-337
    • /
    • 2018
  • 무치악 환자에게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수복 치료는 그 효용성이 검증되었으나, 복잡한 치료과정이 수반된다. 반면, 현대 치의학에서 디지털 기술력은 나날이 발전하여 현재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수복치료까지 그 범위를 확장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66세 하악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에 대하여 진단부터 수술, 임시수복물 및 최종수복물의 디자인과 제작까지 디지털 시스템을 모든 단계에 이용하였다. 수술 전 진단단계에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점막스캔과 환자의 안정적인 기존 총의치 교합을 토대로 임시수복물을 디자인하였다. 수술가이드를 이용하여 무절개 임플란트 식립 후에 사전제작한 임시수복물을 임플란트와 연결하여 즉시 임시수복물로써 사용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교합이 형성된 임시수복물의 수직고경과 중심위를 이전하여 최종수복물을 디자인 및 제작 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의 수직고경과 교합을 보전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무치악환자에서 복잡할 수 있는 임플란트 치료의 간단한 프로토콜을 정립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복합레진 수복물의 미세누출 감소를 위한 레진 전색제의 효과 (EFFECT OF RESIN SEALANTS ON THE REDUCTION OF MICROLEAKAGE IN COMPOSITE RESTORATIONS)

  • 조영곤;김문홍;이명구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4호
    • /
    • pp.282-28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5급 복합레진 수복물에 각종 레진 전색제를 적용한 후, 수복물의 교합면측과 치은측 변연 미세누출에 대한 레진 전색제의 감소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0개의 발거된 대구치의 협면 치경부에 5급 와동을 형성하고 복합레진을 충전한 후, 사용된 레진 전색제에 따라 다음 과 같이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복합레진 표면과 변연부에 레진 전색제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복합레진 표면과 변연부에 각각 레진 전색제를 적용한 Fortify Plus 군, BisCover 군 및 PermaSeal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시편을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5^{\circ}C$$55^{\circ}C$에서 1,000회의 열 순환을 시행하고 2% methylene blue 용액에 4시간동안 침적시켰다. 각 치아는 저속의 diamond disk 를 이용하여 각 수복물의 중앙부를 따라 협, 설 방향으로 양분 하고 20배율의 광학 입체현미경 하에서 각각 교합면측과 치은측 변연 미세누출을 평가하였다. 각 군의 교합면측과 치은측 변연 미세누출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면측 변연 미세누출은 사용된 레진 전색제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치은측 변연 미세누출은 대조군과 Fortify Plus 군이 PermaSeal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Fortify Plus 군은 Biscover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은 변연 미세누출을 나타내었다 (p < 0.05). 3. 대조군과 Fortify Plus 군은 교합면측 보다 치은측 변연에서 통계학적으로 더 높은 미세누출을 나타내었다 (p < 0.05). 4. BisCover 군과 PermaSeal 군은 교합면측과 치은측의 변연 미세누출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5급 복합레진 수복물의 교합면측 변연 미세누출에 대한 레진 전색제의 감소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치은측 변연 미세누출에 대한 레진 전색제의 감소효과는 사용된 레진 전색제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심미성 회복을 위한 상악 전치부 공간 분배 문제의 해결 (Management of Space Distribution Problem in Upper Dentition)

  • 홍순재;송병기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4
    • /
    • 2008
  • 치아의 공간 분배 및 배열은 심미적인 수복물의 가장 근본이 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상악 전치부에 과도한 공간으로 심미적으로 부적절한 수복물을 가진 중례에서 기능적으로 그리고 심미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 무엇을 고려하고 어떻게 접근하였는지 증례를 통해 반성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