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문지질

Search Result 18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시범 충적층 수문지질도 작성ㆍ연구 - 부여 군수리 시범 지역을 중심으로 -

  • 박재현;김진삼;김형수;석희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38-442
    • /
    • 2004
  • 국가적인 수자원 다변화 정책의 일환으로 충적층을 활용한 강변여과, 지하수댐, 직접 함양 등의 다양한 충적층 지하수 인공함양 활용 가능성이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충적층 지하수의 개발 및 관리를 위한 충적층 수문지질도를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부여 군수리 지역을 시범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여 수자원 개발을 위한 충적층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지형적, 지질학적, 수리적 및 환경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시범 충적층 수문지질도를 작성하였다. 본 충적층 수문지질도에는 지하수위 및 수질 변화, 지표 토양조건 및 지하 대수층 분포 등를 추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이들 자료는 직접 현장 조사를 통해 획득되었다. 이러한 시범 충적층 수문지질도의 작성은 향후 충적층 지하수의 개발 및 관리시에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 보다 정밀하고 효용성 있는 충적층 수문지질도 작성을 위해서는 이번 시범 작성을 참조하여 보다 많은 개선과 표준화가 요구된다.

  • PDF

세계 각국의 수문지질도 작성 현황 비교

  • Lee Jin-Yong;Kim Gyu-Beom;Son Yeong-Cheol;Yun Hui-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412-414
    • /
    • 2005
  • 세계 각국은 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의 사용을 위해 지하수의 부존, 유동 및 수질특성을 파악하는 지하수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수문지질도를 작성하고 있다. 이에 인터넷 검색을 통해 세계 192개국의 수문지질도의 작성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국가규모의 수문지질도는 91개국, 지역규모 정밀수문지질도는 57개국의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검색을 통해 확인되지 않은 국가라고 하여도 제작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님). 또한 제작 시기별로는 러시아가 1930년에 가장 일찍 수문지질도를 작성하였으며 우리나라는 1990년 전북고창을 시작으로 2011년 100개시군구의 정밀수문도 작성이 계획되어 있다. 세계의 주요한 대부분의 나라는 시기에 차이는 있지만 수리지질(지하수)조사를 실시하여 수문지질도를 작성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부분 지질조사소(Geological Survey)가 조사 및 제작을 담당하고 있다. 지하수 조사내용과 수문지질도 작성 scale은 각국의 수리지질학적 조건에 따라 다르며 그에 따른 주제도 내용도 조금씩 다르다. 또한 지하수 이용 여건 및 수리지질학적 환경변화에 따라 일정주기로 반복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Hydrological Environments of Groundwater in the Hadano Basin, Japan (진야분지 지하수의 수문환경)

  • 양해근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1
    • /
    • pp.1-16
    • /
    • 1999
  • 본 연구는 도시화에 수반되는 지하수의 수문황경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일본 하다노 분지를 대상으로 수문지질을 밝히고, 인위적인 요인에 의한 수문환경 변화와 수문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지의 대수층은 퇴적환경에 의해 TP층을 경계로 신기 loam층과 고기 loam층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전자를 천층지하수의 대수층, 후자를 심층지하수의 대수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대수층의 기저기복은 지하수 수위의 공간적 차이를 유발하고, 지하수 유동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분지의 심층지하수의 주요 공급원은 탄자와 산지의 지표수이고, 천층지하수는 분지 내에 내리는 빗물에 기인한 것으로 간주된다. 지하수의 과잉양수는 지하수 수지의 불균형을 유발함으로서 심층지하수가 매년 0.12~0.14m씩 저하되고 있다. 대체로 Cl-, NO3-농도는 심층지하수보다 천층지하수에서 높으며, 선정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분지의 지하수 수질형성에 인위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하수의 화학적 조성은 대체로 Ca(HCO3-)2형에 속한다.

  • PDF

G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서울시 1/5,000 수문지질도 작성방안연구

  • 김윤종;이석민;원종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8 no.1
    • /
    • pp.101-116
    • /
    • 2000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MG) as well as the other local governments should have a role in managing groundwater according to the Groundwater Law. As a guidance of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groundwater us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construction of 1 ; 5,000 hydrogeological maps and proposes possble usages of the maps. As expected to be a part of the groundwater GIS database constructed by SMG, the maps can be used as base maps to facilitate the whole processes related to the groundwater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For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1 ; 5,000 hydrogelogical GIS database, we develop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hydro-geological entities and their attributes.

  • PDF

Study of Geological Log Database for Public Wells, Jeju Island (제주도 공공 관정 지질주상도 DB 구축 소개)

  • Pak, Song-Hyon;Koh, Giwon;Park, Junbeom;Moon, Dukchul;Yoon, Woo Seo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8 no.6
    • /
    • pp.509-523
    • /
    • 2015
  • This study introduces newly implemented geological well logs database for Jeju public water wells, built for a research project focusing on integrated hydrogeology database of Jeju Island. A detailed analysis of the existing 1,200 Jeju Island geological logs for the public wells developed since 1970 revealed six major indications to be improved for their use in Jeju geological logs DB construction: (1) lack of uniformity in rock name classification, (2) poor definitions of pyroclastic deposits and sand and gravel layers, (3) lack of well borehole aquifer information, (4) lack of information on well screen installation in many water wells, (5) differences by person in geological logging descriptions. A new Jeju geological logs DB enabling standardized input and output formats has been implemented to overcome the above indications by reestablishing the names of Jeju volcanic and sedimentary rocks and utilizing a commercial, database-based input structured, geological log program. The newly designed database structure in geological log program enables users to store a large number of geology, well drilling, and test data at the standardized DB input structure. Also, well borehole groundwater and aquifer test data can be easily added without modifying the existing database structure. Thus, the newly implemented geological logs DB could be a standardized DB for a large number of Jeju existing public wells and new well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at Jeju Island. Also, the new geological logs DB will be a basis for ongoing project 'Developing GIS-based integrated interpretation system for Jeju Island hydrogeology'.

Development of Algorithms for the Construction of Hydrogeologic Thematic Maps using AvenueTM Language in ArcView GIS (ArcView GIS의 AvenueTM Language를 활용한 수문지질도 작성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 Kim, Gyoo-Bum;Son, Young-Chul;Kim, Jong-Wook;Lee, Ja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3
    • /
    • pp.107-120
    • /
    • 2005
  • In Korea, MOCT and KOWACO published a standard for lineament map drawings, "The Handbook for the Drawing and Management of Hydrogeologic Map" in 2003. According to this guideline, hydrogeologic and related thematic maps should includ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y and quantity. These maps are generally drawn with ArcView GIS 3.x software. The activities of well notation on groundwater level map and Stiff diagram drawings on groundwater quality map require a great deal of efforts because hundreds or thousands of well data, water level data and hydrogeochemical data are produced through many kinds of investigations. As well, lineament density map is very important to survey and explore groundwater in a deep aquif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some modules for well notation, Stiff diagram drawings, and lineament density value calculation with Avenue$^{TM}$ script and it was revealed that they can be very useful and easy for drawing groundwater thematic maps.

  • PDF

Groundwater resources potential mapping and its verification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in Pohang city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포항시 지하수 잠재가능성도 작성 및 검증)

  • Lee Sa-Ro;Kim Yong-Sung;Won Jong-H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4 no.1 s.36
    • /
    • pp.115-128
    • /
    • 2006
  • The aim of the study is to select and verify for develop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he water balance, land cover, forest, soil, elevation, slope, hydrogeology and lineament were analyzed. Using GIS,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and groundwater yield data was analyzed and the groundwater resources potential map was made for selecting suitable area for groundwater development. Then groundwater resource potential map was verified using groundwater yield data. The verified result showed the good agreement between the potential map and groundwater yield data. The potential map can be used for groundwater management which is related to groundwater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