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목 구조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 광릉숲 매토종자에서 군집 종조성 및 다양성 양상의 구조화 (Structurization in Community Composition and Diversity Pattern of Soil Seed Banks in Gwangneung Forest, South Korea)

  • 김한결;오승환;조용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577-589
    • /
    • 2021
  • 매토종자는 식물의 장기 보존과 식생 동태에 기여하며, 토양 깊이에 따라 다양성과 밀도가 감소하는 특성으로 인해 군집의 다양성 감소과정 이해에 필요한 핵심관점(예측성 및 무작위성)을 제공한다. 우리는 한반도 온대중부 식생기후의 성숙림인 광릉숲에서 지표식생을 포함하여 토양층위(상토 및 하토) 별 종조성 및 다양성의 변화 및 구조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수직 10 cm 차이를 두고 채집된 두 층의 토양에서 27과 40속 44종 3변종 47분류군의 총 934개체가 발아하였다. 광릉숲의 매토종자는 초본의 구성 비율보다 목본 식물의 다양성 및 발아 밀도가 높았고, 빈터종보다는 가장자리종이 풍부하였다. 생육형을 비롯한 대부분의 비교 특성에서 종 풍부도와 발아밀도는 감소하였지만 큰 편차에 의해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상토 및 하토에서 종조성의 집단 내 변이성은 유사하였고, 공통 출현종(제타다양성)의 감소 및 종의 잔존 확률 변화 경향 역시 거의 유사하였다. 토양 내 두 군집 종조합의 구조화 과정은 멱함수보다는 지수 상관으로 적합되어 무작위 과정의 우세를 보였다. 광릉숲에서 토양 깊이(10cm) 별 군집 종조성 및 다양성의 양상은 형질 특성과 상호작용 보다는 종자의 수직 이동에 따른 이입 및 소실의 임의 과정(stochastic processes)에 의해 구조화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의 이산화탄소 고정량 추정 (Estimation of Carbon Dioxide Stocks in Forest Using Airborne LiDAR Data)

  • 이상진;최윤수;윤하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9-268
    • /
    • 2012
  • 본 논문은 Pulsed LiDAR 시스템에 의해 취득된 고밀도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림의 이산화탄소 고정량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추정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산림지형의 라이다 필터링, 효율적인 개개목 탐지 알고리즘를 통해 취득된 수목의 생장인자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 및 이산화탄소 고정량을 추정하는 일련의 방법을 개선하고 통합하여 연구대상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추출된 연구대상지의 DTM은 3.32%의 Type-II 에러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개개목 탐지 알고리즘에 의해 식별된 개개목 위치 및 개체수 추정결과는 66.26%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3차원 산림구조를 이용하여 산출된 연구대상지의 이산화탄소 고정량은 연구대상지의 약 15%에 이르는 면적을 현장조사하여 산출된 이산화탄소 고정량과 비교해 볼 때 약 7.2%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항공 LiDAR 기술이 전통적인 산림조사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Quadtree와 영역확장법에 의한 LiDAR 데이터의 지면점 추출 (Extraction of Ground Points from LiDAR Data using Quadtree and Region Growing Method)

  • 배대섭;김진남;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47
    • /
    • 2011
  • 원시 LiDAR 데이터는 벡터 구조이기 때문에 직접 활용 시 처리과정이 복잡해지지만, LiDAR 데이터를 필터링을 통해 정규 가상 격자 형태로 변환하면 데이터 용량이 감소되고 처리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저가의 장비에서도 처리가 가능하다. 특히 Quadtree와 같은 영상 압축 처리 기법을 적용할 경우, 평활화를 통하여 비지면 요소인 자동차, 수목등이 제거되어 모델링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의 LiDAR 데이터로부터 Quadtree와 영역확장법을 활용하여 지면점을 자동 추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오차분류기법을 활용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면점 분류 정확도는 98%이상으로 나타나, 지면점 추출에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Quadtree와 영역확장법을 활용시 자동차, 수목등의 비지면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강원도(江原道) 소나무림(林)의 특성(特性)에 관한 종합적(綜合的) 연구(硏究)(III) -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구육림(構肉林)의 근계(根系) 형태(形態)와 분포(分布)에 대하여 -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Kangwon Province(III) - Studies on the Tree-Root Form and Distribution on the Campus Forest, Kangwon Nat'l Univ. -)

  • 전근우;오재만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8-24
    • /
    • 1994
  • 수목(樹木)의 뿌리는 수목(樹木)의 생장(生長)과 토양(土壤)의 구조개선(構造改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하부(地下部)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각 수종(樹種)의 근계(根系)의 발달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그 수종(樹種)의 특성 파악과 뿌리가 지표고정(地表固定)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江原道) 소나무림(林)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부로서 일차적으로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구내(構內) 소나무림(林)의 근계(根系) 형태(形態) 및 분포(分布)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5개의 공시목(供試木)에 대해 조사한 결과 뿌리의 형태(形態)는 수평근(水平根)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뿌리의 분포(分布)에 있어서 크기별로는 세근(細根)은 대부분이 점재(点在)(+)하고 있었음, 태근(太根)은 0.2cm가 대부분이었다. 깊이별로는 태근(太根), 세근(細根) 모두가 10~30cm에서 60~70% 이상 집중되었으며, 태근(太根)은 주로 0.9cm 이하였고, 세근(細根)은 대부분이 점재(点在)(+)하고 있었다.

  • PDF

이동형 태양광 모듈에 적용되는 속응성 강화 MPPT (Fast Response MPPT for mobile PV Module)

  • 김정훈;이상혁;정대원;양형열;박성준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1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95-96
    • /
    • 2011
  • 최근 자동차와 같이 움직이는 장치에 부착된 태양광 모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태양광모듈 장치는 건물이나 기타 수목 그림자에 수시로 노출되는바 그에 따른 효율감소가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은 어떠한 환경에서도 Maximum Power를 빠른 속도로 찾아 효율감소를 저감하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일사량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V I곡선에서 MPPT를 함에 V 인자와 I 인자로 구분하여 트래킹 타임 스텝을 가변 설정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우수한 동특성을 갖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구조의 타당성과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 PDF

산림지역의 LiDAR자료의 특성 (Prospects for Understanding Forest Structure using LiDAR)

  • 윤정숙;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9-152
    • /
    • 2006
  •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레이저 광선을 주사하여 목표물에 도달하는 시간측정을 바탕으로 x, y, z 좌표의 고밀도의 정밀한 점 자료를 획득하며, 도시 지역의 형상 추출, 수치고도모델 제작 및 산림 지역에서 수고 측정 등의 생태학적인 분야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분야가 점차로 증대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LiDAR 시스템이 목표물에서 반사되어 들어오는 신호(return)를 여러 번에 걸쳐 나누어 기록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수목의 수관층 및 하층 식생 등으로 복잡한 구조를 보이는 산림지역에서 LiDAR 신호가 투과되는 특성을 이용한 지수를 계산하였다. 수관점유율과 관련성을 보이는 지수는 향후 엽면적지수(LAI)와의 객관적인 관계를 규명하게 될 것이다.

  • PDF

지리산국립공원 삼신봉주변 산불지역의 식생회복현황 (Plant Recovery of the Burnt Area around Samsinbong in Chirisan National Park)

  • 김정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27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인 경남하동군 화개면에 위치하는 삼신봉(해발 1,284m) 산림 중 산불이 발생하였던 지역의 식생회복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산불이 발생하였던 지역에 20개 조사구 대조지역에 12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불이 발생하였던 지역에 설정한 20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TWINSPAN과 DCA를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집(I) 신갈나무-쇠물푸레군집(II) 으로 분리되었고 대조지역에 설정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II)이었다 군집 I과 군집II에서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대부분 수목이 고사상태이었고 관목층에서는 산화후 천이 초기에 나타나는 조록싸리가 우점하고 있었다 상대우점치와 유사도지수를 분석한 결과 산불이 발생하였던 신갈나무군집(I) 신갈나무-쇠물푸레군집(II) 은 대조구인 신갈나무군집(III)과 유사도지수분석에서 유사성이 높았는데 산불발생 이후 피해를 입은 신갈나무가 맹아에 의해 회복속도가 빠른 것으로 추정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산불지역(군집 I,II)에서 각각 0.3259, 0.4727이었고 대조구 (군집III)는 0.1084로 나타났다.

  • PDF

Malaysia산 중요 목재의 해부학적 구조 (A Study on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Important Commercial Woods in Malaysia)

  • 정병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4-4
    • /
    • 1974
  • 본 보고는 1952년 1월부터 3월중순까지 약 50일간에 걸쳐 FAO주최하에 개최된 극동 임업 기술자 강습회에 출석시 마레이 반도산 중요 목재 즉 열대성 유용목재에 대하여 그 해부학적 특징을 연구한 결과이다. 남방 열대산 목재는 대부분이 활엽수이며 그 특이한 점은 온대수목에서 조성되는 연륜은 볼 수 없고 그 대신 생장륜(growth ring)을 가지는 점과 특히 유조직(parenchyma)이 발달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남방재의 재질은 강한 것이 많고 그 목리(grain)는 대개는 교착목리(interlocked grain)로 되어서 미려한 무늬(figure)를 나타내는 것이 많으므로 기구재로서 많이 애용되고 있다. 주로 관찰된 육안 및 렌스(X10)에 의한 해부학적 성질은 재색, 광택, 무늬, 목리, 경도, 비중, 도관의 배열, 도관의 크기, 도관의 수, 도관내의 함유물질, 유조직의 배열, 방사조직의 수 및 크기였다.

  • PDF

봄철 산림과 논에서의 에너지 배분과 증발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Energy Partitioning and Evapotranspiration at a Forest and a Rice Paddy during Spring Season)

  • 박윤호;류상범;윤진일;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3-4
    • /
    • 2001
  • 논에서의 증발산과 에너지매분 및 경계층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집중관측 실험-Hari Intensive Field Experiment (HIFE)-이 강화도 하리 에서 있었다 이와 함께 산림에서의 증발산과 에너지 배분을 이해하기 위해 광릉수목원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서 장기관측을 수행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봄철 산림과 논에서의 증발산과 이를 조절하는 인자에 대한 분석결과를 논하고자 한다.(중략)

  • PDF

학교 숲 식재구조에 따른 음이온 발생량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Negative Air Ions according to the Planting Structure at School Forests)

  • 김정호;오득균;박용관;윤용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5-64
    • /
    • 2015
  • 본 연구는 쾌적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인간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음이온을 평가인자로 설정하고, 학교별 녹지특성 및 배치, 기상요소를 구분하여 음이온 발생에 효과적인 학교숲 조성모델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도시녹지 조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음이온의 경우 식재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단층구조($934ea/cm^3$) > 다층구조($794ea/cm^3$) > 잔디($553ea/cm^3$) > 나지($529ea/cm^3$)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상요소와의 상관성의 경우, 기온과 부의 상관관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산분석 및 사후분석 결과, 식재구조의 차이에 따른 음이온발생량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녹지구조에 따른 음이온농도의 차이는 다층구조보다 단층구조에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다층구조에서 단층구조보다 기온이 더 높게 측정되었는데, 선행연구 고찰결과, 음이온 발생원에서 일정거리 이내에서는 기온이 높을수록 음이온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풍속이 다층구조 식재구조보다 단층구조 식재구조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는데, 음이온의 확산에 있어 단층구조 식재구조가 다층구조 식재구조에 비하여 수목에 의한 바람의 차폐가 상대적으로 덜 이루어져 음이온의 발생과 확산이 더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