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목도

Search Result 1,83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기온과 봄 식물계절지수와의 관계)

  • Chang, Jeong-Gul;Yu, Sung-Tae;Kim, Byung-Do;Park, Hyeon-Ho;Baek, Jin-Yeong;Kwon, Hye-Yeon;Yi, Myung-Ho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38-38
    • /
    • 2019
  • 본 연구는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9년간(2010년-2018년) 대구수목원, 팔공산, 주왕산, 가야산에 공통적으로 생육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6종을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온의 변화는 9년동안 2월보다 3~4월의 월평균기온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목원과 팔공산의 평균기온이 높았다. 발아, 개화, 개엽은 수종별로 생강나무가 가장 빠르며 소나무가 가장 느렸고, 지역별로 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식물계절시기가 도래하였다. 봄 식물계절시기는 -1.267~-6.151일/9년 정도 앞당겨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는데 소나무(-6.151일/9년)가 가장 크며, 진달래(-1.267일/9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발아, 개화, 개엽에서 모두 유의한 값을 보이는 수종은 진달래와 소나무로서 이들은 1월~3월 평균기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봄 식물계절지수(SPI)의 시계열 변화를 확인한 결과 4개 지역의 변화율이 모두 음의 값으로 식물계절 시기가 모두 빨라지고 있었다. 그 중 수목원, 팔공산 및 가야산과 같은 내륙지역일수록 변화율이 컸으며, 다소 거리가 떨어진 주왕산의 경우 변화율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

  • PDF

Detection of Individual Trees in Human Settlement Using Airborne LiDAR Data and Deep Learning-Based Urban Green Space Map (항공 라이다와 딥러닝 기반 도시 수목 면적 지도를 이용한 개별 도시 수목 탐지)

  • Yeonsu Lee ;Bokyung Son ;Jungho I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4
    • /
    • pp.1145-1153
    • /
    • 2023
  • Urban trees play an important role in absorbing carbon dioxide from the atmosphere, improving air quality, mitigating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and providing ecosystem services. To effectively manage and conserve urban trees, accurate spatial information on their location, condition, species, and population is needed.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uses a high-resolution urban tree cover map constructed from deep learning approach to separate trees from the urban land surface and accurately detect tree locations through local maximum filtering. Instead of using a uniform filter size, we improved the tree detection performance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filter size according to the tree height in consideration of various urban growth environments. The research output, the location and height of individual trees in human settlement over Suwon, will serve as a basi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ecosystems and carbon reduction measures.

수형관리 - 어린나무의 성장단계별 전정기술

  • Gwon, Yeong-Hyu
    • Landscaping Tree
    • /
    • s.126
    • /
    • pp.51-56
    • /
    • 2012
  • 수목의 건전한 생육과 좋은 수형을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적절한 전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 1~2년 동안의 생장시기에는 모든 수목의 전정 방법이 거의 같지만 2년차 겨울부터는 수목 형태에 따른 차별화된 전정이 필요하다. 좋은 수형을 위해서는 이미 수형이 정돈된 어린 나무를 구입하여 이용해도 편리하나 아직 수형이 잡혀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적절한 전정을 한다면 원하는 수형으로 가꾸어 나갈 수 있다. 수목을 고르거나 어떻게 전정할지를 결정하기 전에 먼저 원하는 수형과 부지의 한계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수목이 성장했을 때의 최대 높이와 너비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어린나무의 성장단계별 전정과 관목 및 생울타리 전정기술을 요약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