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량감소율

검색결과 661건 처리시간 0.031초

Triticale과 호밀의 청예사료 생산성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Triticale and Rye)

  • 이석순;박찬호;장영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8-397
    • /
    • 1985
  • 봄철 청예사요 생산에 알맞는 사료작물을 찾으려고 청예용 호밀 4품조, 청예용 Triticale 2품종을 1984년 10월 15일에 파종하여 1985년 봄에 이들의 사료생산성과 사료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모든 품종이 4월초순부터 출수후 20 일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초장증가율은 호밀이 Triticale보다 높았으며 호밀품종간 또는 Triticale 품종간에는 초장의 차이가 없었다. 2. 건물중은 Triticale 품종은 모두 출수후 20일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호밀품종은 모두 출수기까지는 Triticale과 같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절대량은 Triticale보다 높았고 출수기 이후에는 건물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3. 건물비율은 4월중순까지는 모든 호밀이나 Triticale 품종간에 차이없이 11∼13%이었다. 그러나 호밀은 출수기가 되면서 건물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Triticale은 출수후 20일까지도 서서히 증가하였다. 4. 출수기는 호밀품종은 4월 22일∼25일이었고 Triticale품종은 모두 5월 6일이었다. 출수기의 초장은 호밀이나 Triticale보다 컸으며 건물수량, 건물비율, 가소화건물수량은 Triticale이 호밀보다 높았다. 호밀중에는 팔당호밀이 다른 품종보다 건물수량과 가소화건물수량이 낮았다. 5. Triticale이 호밀보다 엽신장이 길고, 엽신폭이 넓으며 엽신이 전지상부 건물중에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6. 단백질함량은 생육이 진전될수록 감소하였으며 출수기 이전에는 호밀이 Triticale보다 높았으나 출수기 이후에는 맥종간 또는 품종간 차이가 없었다. 7. 호밀은 Cellulose와 Lignin이 모두 출수후 20일까지 계속 증가하나 Triticale의 Cellulose는 출수기까지 증가한 후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며, 반면 Lignin은 출수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Hemicellulose는 호밀에서는 출수기까지 다소 증가한 후 유지되었으나 Triticale에서는 생육초기에 높으며 서서히 감소하였다. 8. 소화율은 출수기까지는 모든 품종에서 높았으며 호밀은 출수 5일후부터 급격히 떨어졌으나 Triticale은 출수후 15일까지 출수기와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9. 단백질함량과 건물소화율은 엽신이 간+엽소에서 보다 높았으며 Hemicellulose는 차이가 없었고 Cellulose, Lignin, ADF는 엽신에서 보다 간+엽소에 서 높았다. 10. 호밀은 저온기에 생육이 빨라 4월 초중순의 청예사료생산에는 Triticale보다 유리하나 출수기 이후에 소화율이 급격히 저하하고 Triticale이 호밀보다 출수기가 늦으므로 4월하순∼5월상순의 청예사료공급은 Triticale이 유리하다. 호밀이나 Triticale 중 한가지 종류만 심는 것 보다 두 종류를 심어 초기에는 호밀을, 다음에는 Triticale을 청예로 이용하면 청예이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고 수확량도 크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갈대의 생산력에 관한 연구 II. 시비가 생육시기별 갈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roductivoty of the Native Reed ( Phragmites communis Trinius ) II. Effect of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productivity of the native reed during the period of vegetation)

  • 전우복;윤창;노순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4-30
    • /
    • 1986
  • 간석지(干拓地)에 자생(自生)하는 갈대 식생군락(植生群落)에 무비구(無肥區)와 시비구(施肥區)를 설치하여 5월(月)부터 10월(月)까지 월별(月別)로 초장(草長), 엽경비(葉莖比) 및 생산량(生産量)을 측정하고, 시료(試料)를 채취한 후 사료성분(飼料成分) 및 in vitro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을 추정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비(施肥)에 의하여 갈대의 초장(草長) 및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하는 한편 식물체(植物體)의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in vitro 건물소화율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는데 반(反)해 ADF 함량(含量)이 감소하였다. 2. 상관계수(相關係數)의 유의성(有意性) 검정(檢定)결과 생육시기(生育時期) 초장(草長), 수량(收量), crude fiber 및 ADF함량(含量)과 in vitro 건물소화율간(乾物消化率間)에는 부(負)(-)와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냈고, 엽경비율(葉莖比率) crude protein 및 crude fat 함량(含量)과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과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냈다(P<0.05).

  • PDF

생식생장기 냉수온이 벼의 Source와 Sink관련형질 및 양분호흡에 미치는 연구 I. 냉수관개가 지경과 영화의 분화 및 퇴화, 불임, 등숙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owth Characters and Nutrient Uptake Related to Source and Sink by Cool Water Temperature at Reproductive Growth Stage I. Influence of Cool Water Irrigation on the Degen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Rachis Branches and Spikelets, Sterility Ratio and Ripening Ratio of Rice)

  • 최수일;나종성;소재돈;이만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9-367
    • /
    • 1985
  • 본 시험은 산간부인 진안(해발 303 m)에서 생식생장기에 일반상수를 대비하여 냉수를 유수형성기와 감수분열기에 4, 8, 12 일간 관개하였을때 야기되는 물질생산 및 수용계의 냉해반응을 알고자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냉수관개기간이 길어질수록 간장, 수장, 추출도의 신장이 억제되었으며, 유수형성기 냉수관개는 하위절, 감수분열기 냉수관개는 상위절의 절간신장을 단축시켰다. 또한 지경 및 영화의 퇴화는 유수형성기 냉수 관개에 민감한 영향을 받아 2차지경과 영화의 분화착생수 감소 및 퇴화의 증가를 보였다. 2. 불임율과 등숙장해도 냉수관개기간이 길어질수록 심하였고 유수형성기보다 감수분열기 냉수관개에서 피해율이 현저히 높았는데 특히 피해반응이 예민한 시기는 영화원기분화기와 감수분열기경이었으며 불임율, 등숙비율과 수량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3. Source와 Sink 관련형질중 지경과 영화의 퇴화는 엽면적에 영향을 받고 불임율과 수량은 간장, 수장,추출도의 신장량과 상관이 있었다.

  • PDF

습답도작기술향상에 관한 연구 제2보 지하수가 시비량과 재배밀도를 달리한 수도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RiceCultivation in the Ill-drained Paddy Field II. The Effects of Fertilizations and Planting Densities on Growth and Yield of Ricein the Underchannel Drainage)

  • 구영서;노승표;황창주;나종성;이준배;정진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3-51
    • /
    • 1976
  • 1. 암거배수구에서는 최고분얼기이후 1일의 32mm 수직배수 실시로 인한 양분용탈현상으로 초기 생육은 다소 부진한 경향이였으나 배수실시 15~20일후부터는 배수효과로 후기 생육 증대를 보였다. 2. 최고분얼기가 배거배수 처리구는 7월 9일, 무배수처리구는 7월 15일로 무배수가 약 1주일간 늦어 지발분얼로 인한 유효경비율저하를 초래하였다. 3. 영화수는 암거배수구보다 무배수구가 높았고 암거배수구무배수구 모두 다비밀식일수록 증가경향이였다. 4. 수도의 고위다수확을 위한 수수는 400/m$^2$ 이상 영화수는 4만립/m$^2$ 이상을 확보해야 된다면 암거배수시설을 할 경우 시비량 N25kg/10a 이상 재식밀도 100 /3.3m$^2$ 이상의 다비밀식 재식법도 고려해 볼만하겠다. 5. 평균 일수영화수와 출수기의 엽면적지수와는 암거배수 모두 고도의 정상관관계가 인정되였다. 6. 배수조건별간경엽중의 무기성분함량을 보면 N,K은 최고분얼기를 극대로 출수기 성숙기 이후는 계속감소하였고 무배수구가 암거배수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며 Ca은 최고분얼기 이후 다소 증가하였고 그 이후는 거의 일정치을 유지하였으며 Mg은 암거배수구가 무배수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여 N와는 대조적이었다. 7. 출수기부터 성숙기까지의 NAR은 암거배수구가 월등히 높았고 밀식일수록 증가 경향이였으며, 엽록소 함량은 무배수구가 높고 다비일수록 증가경향에었다. 8. 근중은 암거배수 처리에서는 시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무배수구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심층의 뿌리 분포량도 무배수구보다. 암거배수구가 많은 경향이였다. 9. 뿌리의 $\alpha$-Na산화력은 암거배수구가 각처리 모두 높았고 일정면적당 근활력은 다비밀식일수륵 증가경향이었으며 무배수구에서는 N20kg과 80주처리구가 높은 경향이었다. 10. 뿌리의 $\alpha$-Na산화력과 등숙비율은, 암, 무배수구 모두 고도의 정상관 관계가 인정되였고 수량 및 순동화율과는 암거배수구에서 만 정상관 관계가 인정되었다. 11. 이상의 결과 10$\alpha$당 수양은 암거배수구가 무배수구보다 배수조건별간에는 21%증수, 시비량간에는 15kg, 처리에서는 2%, 20kg처리에서는 7%, 25kg 처리에서는 20%의 높은 증수율을 보였고 재식밀도간에는 암거배수구가 60주 처리에서는 5%, 80주처리에서는 4%, 10주처리에서는 15%의 증수율을 보였다.

  • PDF

연맥의 사초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파종량 및 파종기의 영향 (Seeding Rate and Planting Date Effects on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of Spring Oats)

  • 김수곤;김종덕;박형수;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3-240
    • /
    • 1999
  • 가을철 봄 연맥의 생산을 위해 파종량과 파종기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시험은 파종량 및 파종시기가 사초용 연맥 (Avena sativa L.)의 사초특성 및 사료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7년 8월 15일부터 10월 24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 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파종량은 ha당 150, 200 및 250kg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월/일) 인 8/15, 8/22, 8/29, 9/5를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 함량(DM%)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9월 5일 파종기(24.8%)를 제외한 다른 파종기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1), 8월15일 파종시는 23.0%, 22일은 21.5%, 29일은 20.5%가 됐다. 연맥의 건물 함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는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조단백질(CP) 함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15.6%에서 27.9%로 유의적으로(P<0.01) 증가됐다. 연맥의 조단백질 함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ADF 및 NDF 함량은 파종시기가 빠른 것이 높게 나타났으며(P<0.01), 파종량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In vitro 건물 소화율은 파종량이 많고 파종시기가 늦은 것이 높게 나타났다(P<0.01). Ha당 평균건물 수량은 2,647kg에서 615kg으로 나타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계속 감소하였으며(P<0.01), 파종량간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연맥의 평균 건물수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는 고도의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 평균 조단백질 수량은 ha당 171kg에서 410kg으로 나타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파종량에 있어서는 파종량이 많을수록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따라서 연맥의 평균 조단백질 수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는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In vitro 가소화 건물(IVDDM)수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계속 감소하였으며(P<0.01), 파종량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 사초용 연맥의 수량 증수 및 사료가치의 향상을 위해 파종량은 ha당 200kg, 파종시기는 8월29일 이전이라고 생각된다.

  • PDF

매문병 ( Helminthosporium turcium PASS ) 에 감염된 수단그라스의 양적.질적 피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mage of Sudangrass In fected with Leaf Blight ( Helminthosporium turcium PASS ))

  • 이상범;김정갑;김봉구;한흥전;양종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5-70
    • /
    • 1986
  • 본시험(本試驗)은 sudangrass의 Piper를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고 질소수준(窒素水準)을 20, 30 및 40kg/10a으로 하여 난괴법(亂魁法) 4반복(反復)으로 1984년(年)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사료작물시험포(飼料作物試驗圃)에서 실시(實施)하였다. Sudangrass에 발생(發生)하는 주요(主要) 병원균(病原菌)을 분잡(分雜) 동정(同定)하고 이중 매문병(煤紋病)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양적(量的) 및 질적손실(質的損失)을 연구검토(硏究檢討)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Sudangrass에서 분잡(分雜)된 주요병원균(主要病原菌)은 3종(種)으로 Helminthosporium turcicum과 Collectotricum graminicolum이 동정(同定)되었으며 1종(種)의 병원균(病原菌)의 미동정(未同定)되었다. 2. 매문병(煤紋病)(Helminthosporium turcicum PASS)은 6월(月) 20일(日) 조사(調査)에서 처음 확인(確認)되었으며 $7{\sim}9$월(月)의 고온기(高溫期)에 심(甚)하게 발생(發生)되었다. 1차생육기(次生育期)보다 예취후(刈取後)의 재생식생(再生植生)에서 매문병발생(煤紋病發生)이 심(甚)하게 나타났으며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과 이병율간(罹病率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P<0.01). 3. 매문병발생(煤紋病發生)으로 생초(生草) 및 건물수량(乾物收量)은 크게 감소(減少)해 각각(各各) 47% 및 38%의 손실(損失)이 있었다. 4. 조지방(粗脂肪) 및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은 매문병(煤紋病)이 발생(發生)된 식물(植物)에서 감소(減少)되었으나 조회분(粗灰分), 조규산(粗珪散) 및 리그닌함량(含量)은 이병율(罹病率)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비례적(比例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건물(乾物) 및 유기물소화율(有機物消化率)은 이병율(罹病率)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감소(減少)되었다(P<0.01).

  • PDF

수도 관수처리에 의한 생리적 특성의 품종간 차이 (Effects of Flooding Treatment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Cultivars)

  • 강양순;양의석;정연태;정근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9-194
    • /
    • 1988
  • 통일형품종과 일본형품종간의 침관수저항성 차이를 명확히 하고자 유묘기, 분얼성기 및 수잉기에 각각 관수처리하여 관수저항성과 관계한 생리 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묘기 관수처리로 묘생존율은 'FR13A'가 91.8%, 통일형품종들이 33.8~40% 인데 비하여 일본형품종들은 완전 고사하였으며 묘생존율이 높은 품종 일수록 관수중 $O_2$ 발생량이 높았고 POD활성은 낮았으며 Catalase 활성은 높은 경향이었다. 2. 분얼성기 관수처리로 일본형품종들은 통일형품종들 보다 관수기간중 초장 이상 신장이 현저하였고 관수후 초장회복이 느렸으며 관수일수가 증가됨에 따라 수량 감소도 급격하였다. 3. 수잉기 관수처리로 통일형품종들은 일본형품들 보다 광합성, 암호흡, 근산화력이 높았고 에틸렌생성량은 낮은 특성을 보였으며 감수율도 낮았다. 감수율도 낮았다.

  • PDF

볏짚부초가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 및 인삼(人蔘)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traw Mulching on Soil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Ginseng Plant)

  • 박훈;목성균;이종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2-37
    • /
    • 1985
  • 볏짚부초의 인삼(人蔘) 근부(根部) 및 지상부생육(地上部生育)에 대(對)한 효과(效果)와 토양(土壤)의 물리(物理) 및 화학성(化學性)에 주는 영향(影響)은 포장조건(圃場條件)에서 조사(調査)하였다. 볏짚부초는 수량(收量), 경장(莖長)과 엽면적(葉面積)을 증대(增大)하고 낙엽주율과 결근율을 감소시켰다. 볏짚부초는 토양(土壤)의 경도(硬度), 공극율(孔隙率)을 좋게 유지시켰다. 볏짚부초는 보수력(保水力)을 증대(增大)시키고 지온(地溫)을 강하(降下)시켰으며 후행(後行), 전행(前行) 중간행(中間行)의 순(順)으로 그 효과가 적어졌다. 볏짚부초는 토양의 유효인산(포장에 따라 극심하게), 치환성 칼리, 유기물 함량을 증대시키고 치환성 칼슘함량을 감소시키고 pH 강하를 억제하였다. 볏짚부초는 잡초발생(雜草發生)을 크게 억제하였고 토니(土泥)의 오염을 막았으며, 골가토, 두둑다짐, 상면가토 등의 작업을 배제하였다.

  • PDF

지벨레린 최아처리가 춘파대맥의 발아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outing Treatment with Gibberellin to Germination and the Growth of Spring Barley)

  • 원종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7-121
    • /
    • 1969
  • 춘파과맥 ${\ulcorner}$완주봄보리${\lrcorner}$의 종자를 5~100ppm의 지벨레린의 용액에서 백체출현기까지 최아하여 발아 및 포장시험을 실시한바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벨레린최아에 으하여 발아율의 감퇴없이 2 (상온구)~3일(저온구)의 발아촉진을 보였다. 2. 지벨레린최아를 하면 초기생육촉진이 일면으로는 주장적현상이 현저하였는데 그경향은 고농도 일수록 심하다. 3. 지벨레린최아로 근생장의 억제작용은 전연 인정되지 않았다. 4. 포장조건에는 발아촉진의 효과가 별로없었고 고농도처리에서는 발아율의 감퇴를 초래하여 수수감소 및 수량감소를 초래하였다. 5. 고농도일수록 초기의 주장화경향이 심하고 회복도 늦으나 생육중기에 가서는 거의 모두 정상으로 회복되며, 따라서 출수 성숙 및 간장이 처리에 의한 변이를 보이지 않았다. 6. 5~10ppm의 농도에서는 발아저해가 적고 초기의 주장화경향이 적으며 수수감퇴도 적은 반면에 수장이나 천립중은 증대경향이어서 결과적으로 중수경향을 보였으나 재 검토가 필요하다. 7. 지벨레린 최아만으로는 발아촉진은 기대되나 조숙화는 기대되지 않는다.

  • PDF

붕소시용에 잎담배입고병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ron Application on the Outbreak of Granville wilt in Flue-cured Tobacco)

  • 이종두;반유선;유익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3-77
    • /
    • 1982
  • 본시험은 붕소시용이 잎담배의 생리적특성과 입고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황색종인 NC2326, Coker 86을 공시하여 입고병포장에서 실시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붕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지상부의 생장이 지연되었고 간장은 낮아졌으나 붕우시용구에서 세근발달이 억제되고 뿌리의 부패율과 입고병이병율이 크게 감소 되여 입고병발생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었다. 2. 수량은 10a당 붕소 또는 붕산 $2\~4kg$ 시용구에서 높았고 붕소시용에 따른 증수경향은 NC2326에서 컸다. 3. 건엽중의 Phenol 화합물은 붕소시용구에서 증가하였고 입고병저항성이 큰 Coker 86에서 더 많았으며 니코친합량은 붕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