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량감소율

검색결과 661건 처리시간 0.029초

호밀 수확시기가 종실의 수량과 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ing Time on Seed Yield,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ye (Secale cereale L.))

  • 류한욱;강광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6-133
    • /
    • 1988
  • 우리나라에서 호밀을 채종 목적으로 재배할 때 여름 장마로 인한 호밀 성숙후기 이후에 발생하는 종자 품질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기수확한계기를 구명하고자 팔당 호밀(재래종)을 공시하여 출수후 25일부터 55일까지 5일 간격으로 수확기를 달리하고 종실발육 수량 및 종자활력에 관한 시험조사를 1984년 및 1986년에 영남대학교 실험농장에서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기별 천립중변화는 출수후 50일까지는 수확 지연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나 그 이후는 연차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다. 종실수분함량은 수확이 늦었을 때 반대로 감소하였다. 2. 종실의 길이는 출수후 30일까지 빠르게 그리고 그 이후는 완만하게 신장되었고, 두께와 폭은 출수후 50일까지 완만하게 발육되었다. 3. 수확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량이 높아지는 영향은 뚜렷하나 출확기 40일과 45일 수확에서 차이가 크다. 4. 2$0^{\circ}C$ 항온에서 종자발아율은 출수후 25일 수확구를 제외하면 종자성숙에 따라 발아율의 차이가 없으나, 1$0^{\circ}C$, 3$0^{\circ}C$에서는 출수후 35일 이전 수확에서 발아율이 낮았다. 실온에서 pot 에 파종한 경우 발아율은 2$0^{\circ}C$ 항온에서와 유사하였다. 5. pot에서 초장은 종자성숙이 진전될수록 긴 경향이나 출수후 45일 이후 수확 종자간에는 차이가 없고 유묘의 건물중은 출수후 50일까지 종자성숙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6. 항온에서 종실의 성숙일수와 발아율간의 상관은 저온(1$0^{\circ}C$) 및 발아초기(치상후 4일)에서만 정의 상관이 있었다. pot 에서는 종실의 성숙일수와 초장, 건물중 그리고 천립중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7. 포장에서 월동후 유식물수 비율은 57~67%로 출수후 30일~50일에 수확한 종실간의 차이가 없으나 생육초기의 초장은 출수후 35일 이전 수확한 종실의 경우는 작았다. 출수기는 출수후 40일 수확한 종실은 출수기가 늦지 않으며 간장은 종자 성숙정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8. 채종목적인 호밀 재배에서 우기를 회피하여 종자 수량감소 최소화할 수 있는 수확기는 출수후 45 일 (개화후 38일)경 이라고 본다.

  • PDF

수도의 불임 유기를 위한 몇가지 화학제의 효과 (Effect of Chemicals on Inducing Grain Sterility of Rice)

  • Song, Moon-Tae;Kim, Jeung-Kyo;Choe, Zhin-R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9-314
    • /
    • 1990
  • 본 시험은 ethephon, maleic hydrazide(MH) 및 gibberellic acid(GA3)의 처리 및 처리시기가 수도의 불임 및 다른 농업형질들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인도형 품종인 삼강벼와 일본형 품종인 추청벼에 MH(6000ppm), ethephon(6000ppm) 및 GA3(10ppm)을 절간신장초기, 절간신장후기, 수잉초기, 수잉후기 및 출수기의 다섯단계에 걸쳐 처리하여 종실불임율, 주당수수, 간장, 수장 및 종실수량을 조사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H는 완전불임을 나타내었으나 출수지연, 잎마름, 줄기 및 이삭의 마름등과 같은 식물체에 대한 해작용이 심하였다. Ethephon은 50-60%에 가까운 불임율을 나타내었으나 식물체에 대한 해작용은 MH보다 그 정도가 낮았다. 2. GA3는 수도의 불임을 유기하지 않았고 간장을 약간 증가시켰다. 3. MH와 ethephon은 모두 수도의 간장 및 종실수량을 감소시켰으며 MH는 주당수수를 감소시켰다. 4. 화학제의 처리시기가 이를수록 더 높은 불임율이 유기되었고 그에 따른 해작용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도형 품종과 일본형 품종간에 불임율차이를 보였다.

  • PDF

재생산 제품의 회수율을 고려한 최적 인센티브 및 총 주문량 결정 (Decision of optimal incentives and total order quantity with consideration of return rate of remanufacturing product)

  • 이용현;이철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65-17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재생산 기업의 회수 인센티브와 소매점에서의 회수 인센티브를 고려하여 최적 총 주문량과 이 두개의 최적 인센티브에 대한 결정을 연구한다. '회수율은 기업이 제공하는 인센티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가정하에 이 회수율을 두 경로로 가는 각각의 함수로 표현하였다. 재고 모델로는 확정적인 EOQ(경제적 주문 수량)모델을 사용하여 기업의 최소 비용함수를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 모델을 가지고 볼록성(convexity)을 증명하여 기업이 수여하는 최적 인센티브와 소매점이 수여하는 최적 인센티브 그리고 총 주문수량(보충량)을 최적화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매개변수들을 민감도 분석하여 각각의 결정변수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서 매개변수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기업과 소매점은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센티브를 낮추려 한다. 하지만 이것은 회수량을 감소시켜 새로운 제품 생산량을 증가시킴으로 비용을 증가하게 한다. 이 논문은 국내외 재생산 기업이 이러한 상충관계(Trade off)를 고려하여 최적 인센티브와 최적 주문량을 결정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질소시비수준 및 Ryegrass류혼파가 겉뿌림 초지개량에 미치는 효과 I. 정착률, 식생구성률 및 건물수량에 관한 효과 (Effects of Nitrogen Application Levels and Ryegrasses as a Member of Mixture on Improvement of Oversown Pasture I. Establishment, botanical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 강호준;김문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22-229
    • /
    • 1991
  • 겉뿌림초지 개량효과를 높이기 위해 질소시비수준과 보조초종 라이그라스 조합의 필요성 여부를 구명키 위해 4처리 질소시비수준(0, 100, 200, 300kg/ha)과 3처리 혼파조합(A; orchardgrass+ladino clover, B; orchardgrass+ladino clover+perennial ryegrass, C; orchardgrass+ladino clover+perennial grass+Italian ryegrass)으로 본 시험이 수행되었다. Perennial ryegrass, Italian ryegrass 및 dine clover의 정착률은 질소증시로 증가되었고 ladino clover 의 정착률은 ryegrass조합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화본과 목초의 식생구성율을 질소증시에 따라 증가하지만 두과목초와 기존야초류는 감소하였으며 예취회수가 진행됨에 따라 목초율이 증가되고 있다. 목초의 건물수량은 질소시비량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orchardgrass十ladino clover조합구가 다른 조합구에 비해 수량이 높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P<0.05). 그러나 예취시기별로 볼때 orchardgrass+ladino clover 혼파구의 목초수량이 2회 예취시에만 타 혼파조합구 보다 유의적 증수가 이뤄졌고(P<0.05), orchardgrass十ladino clover조합구에서 기존야초류의 건물수량이 1회와 2회 예취시에만 타 조합구에 비해 유의적 감소를 보였다(P<0. 05). 본 시험의 결론으로는 겉뿌림으로 초지를 개량하기위해서 질소를 적어도 300kg/ha 시용해야 하며 orchardgrass와 ladino clover조합이 이 기본조합에 ryegrass류를 혼파하는 것보다 유리하다고 사료된다.

  • PDF

고온 및 고온기 물관리방법이 수도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Temperature and Water Management on Agronomic Characters in Rice)

  • 이승필;김상경;이광석;최대웅;이상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5-200
    • /
    • 1990
  • 수도주요생육시기별 고온처리(주간 : 37$\pm$2$^{\circ}C$, 야간 : 27$\pm$2$^{\circ}C$) 및 고온시 물관리방법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고온장해대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본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요생육시기별 고온처리의 영향은 생육시기에 관계없이 공시품종 모두 무처리에 비해 지상부 건물중이 감소하고 부근량이 증가하며 식물체내 전 질소함량이 감소하고 규산함량이 증가하였다. 2.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고온의 영향은 수당발화수는 감수분열기에, 임실비율 및 등숙율은 출수기에 그리고 천립중은 등숙기에 가장 저하되었으며 고온에 의한 수량감소정도는 출수기에 가장 컸으며 그 다음은 등숙기 >감수분열기 >유수형성기 >최고분염기 >분염기 순이었다. 3. 물관리방법에 따른 답면수온의 변화는 상시담수는 최적수온 보다 주간 1.1$^{\circ}C$, 야간 3.7$^{\circ}C$ 높았으며 흘러대기 물관리방법에 의하여 최적수온(주간 : 31$^{\circ}C$, 야간 : 21$^{\circ}C$)으로의 조절이 가능하였으며 이에따라 초장이 단축되고 건물중 및 신근발생율이 증가하였다. 4. 주간흘러대기 야간담수 및 화야간흘러대기 물관리 방법은 상시담수구보다 수당발화수, 등숙율 및 천립중 등의 수량구성형질의 향상을 도모하여 4-8%의 증수효과가 있었다.

  • PDF

배추 파밤나방의 경제적 피해수준 및 요방제 수준 설정 (Determination of Economic Injury Levels and Control Thresholds for Spodoptera exigua on Chinese Cabbage)

  • 김선곤;김도익;고숙주;강범용;김홍재;최경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1-86
    • /
    • 2009
  • 배추에서 파밤나방의 경제적피해수준과 요방제수준을 설정하기 위해 시험한 결과, 파밤나방의 접종시기별 피해엽율은 정식 5일째(1차 접종)에 20주에 80마리 접종시 8일만에 63.2%의 피해엽율로 가장 높았으며, 정식 20일째에 접종(2차 접종)한 경우 10일째에 80마리 접종구에서 40.7%, 14일째에 43.1%로 증가하다 이후 감소하였다. 배추 파밤나방의 유충밀도와 수량감소율과의 관계는 정식 5일은 Y = -10.62x + 867.9 ($R^2\;=\;0.643$), 정식 20일에는 Y=-6.432x + 1074 ($R^2\;=\;0.720$)이며, 경제적 피해수준은 5.4마리, 9.0마리이며, 5% 수준에서 요방제 밀도는 각각 4.3마리, 7.2마리였다. 배추생육 시기 및 파밤나방 접종밀도에 따른 피해율과 수량감소율의 관계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배추의 수량에는 파밤나방의 초기 피해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땅콩 종실의 크기와 자엽절단정도가 발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ize and Cotyledon Removal on Germination and Yields in Peanuts)

  • 이정일;박희운;한의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5-251
    • /
    • 1985
  • 땅콩품종에 대한 입중의 변이를 조사하였으며, 동일품종에서의 종자크기에 따른 발아력, 생육 및 수량을 비교하는 한편 자엽을 인위적으로 절단, 조절했을 때의 생육과 수량에 대한 반응을 검토하였다. 1. 입중의 변이는 소립품종보다 대립종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2. Cold test에 의한 발아시험결과 종자가 작을수록 발아율이 낮았으며 포장출아율도 떨어졌다. 3. 종자크기에 따른 후기생육의 차이는 없었으나 소립품종의 경우는 종자가 큰 것을 파종했을 때 수량이 많았다. 4. 자엽의 일부를 절단하였을 때는 개화성기의 생육이 정상종자보다 저조했으나 협비대기이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소립품종에서는 자엽절단이 수량을 감소시키나대립종에서는 정상립과 차이가 없었다.

  • PDF

중.산간지대에서 참당귀의 화성억제 연구 (Inhibiting Floral Induction of Angelica gigas NAKAI in the Hilly Altitude Area)

  • 이승필;조지형;민기군;권태용;최장수;박노권;최부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8
    • /
    • 1995
  • 중ㆍ산간지대에 재배되는 참당귀의 화성억제에 의한 추대율 감소를 위하여 1992년 2월부터 1994년 11월까지 경북농림진흥원 북부시험장에서 육묘지대, 육묘지간 및 유기물 시용에 따른 화성 및 품질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묘지대에 따른 추대율은 표고가 높을수록 현저히 낮았고, 아울러 지하부 생육 및 수량이 200, 400m인 지대보다 양호하여 참당귀의 육묘적지는 적어도 표고 600m 이상이 적당하다고 적당된다. 2. 중ㆍ산간 지대에서는 육묘기간이 짧아질수록 추대율이 현저하게 낮아서 수량은 증수되었지만, extract 및 decursin 함량은 육묘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육묘기간과 품질면에서는 반대되는 경향이었다. 3. 유기물 자원별에 따른 추대반응은 단비 시용구보다 유기물 시용구에서 추대율이 낮았으며, 특히 볏짚퇴비에서 가장 낮았고 수량 및 품질반응은 관행재배보다 유기물 시용구에서 양호하였지만 유기물 자원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벼 무논골뿌림재배시(栽培時) Latex 입힌 요소의 시용(施用)이 질소(窒素) 이용(利用)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Latex Coated Urea on Nitrogen Use Efficiency and Yield in Drill Seeded Rice)

  • 유철현;신복우;이상복;정지호;한상수;김성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4-121
    • /
    • 1997
  • 본 연구(硏究)는 2년간 ('95~'96) 벼 무논골뿌림직파재배시(直播栽培時)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LCU)의 시용량(施用量) 및 분시방법(分施方法)에 따른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토양중 $NH_4-N$발현량(發現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이용율(利用率)에 미치는 영향과 수량성(收量性) 변이(變異)를 조사하기 위하여 호남평야지(湖南平野地)의 대표토양(代表土壤)인 전북통(全北統)에서 시험한 결과로서 다음과 같이 요약할수 있다. 1.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는 생육초기(生育初期) 기온(氣溫)이 높으면 질소(窒素)가 조기(早期)에 용출(溶出)되었고, 최고분얼기(最高分蘖期)의 시비질소(施肥窒素) 이용율(利用率)은 절반으로 감소(減少)되었다. 2. 수도체(水稻體)의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과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은 관행시비량(慣行施肥量)의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를 전량기비(全量基肥)로 시용한것보다 관행시비량의 20%감비(減肥) 그중 60%를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로 기비(基肥)에 시용하고 요소(尿素) 40%를 수비(穗肥)로 시용(施用)한 구(區)에서 월등히 높았다. 3. 정조(正租)로의 질소(窒素) 전이율(轉移率)은 기온(氣溫)이 높은 해에 증가(增加)하였으나 단비(單肥)(요소(尿素))시용구(施用區)에서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시용구(施用區)보다 높았다. 4.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를 전량(全量) 내지 20%감비(減肥)하여 80%를 전량기비(全量基肥)로 시용시(施用時) 기온(氣溫)이 높은 해는 유효분얼수(有效分蘖數)와 수수(穗數)가 감소(減少)되어 수량(收量)이 크게 감소(減少)되었다.

  • PDF

벼 건답휴립직파재배에서 파종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Performance of direct-Seeded Rice at Different Seeding Dates)

  • 이석순;백준호;김순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4-159
    • /
    • 1991
  • 남부지방에서 벼 건답직파재배의 가능성과 파종시기에 다른 출아, 출수생태 및 수량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동해벼를 1989년 5월 10일부터 6월 2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파종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에서 출아까지 소요일수는 5월 10일 파종의 13일부터 6월 10일 파종의 7일 까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입묘율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6월 20일 파종에서는 파종후 10일 간의 223mm의 강우로 발아가 지연되고 입묘수도 다른 파종기에서 보다 낮았다. 2. 초장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단축되는 경향이었는데 6월 20일 파종에서는 초장이 더욱 작았다. 촤고분얼수는 $m^2$당 700-800개로 유효경비율은 40-45% 이었다. 3. 출수는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파종에서 출수까지의 소요일수는 5월 10일 파종의 97일부터 6월 20일 파종의 71일까지 직선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유효적산온도(일평균기온 -15$^{\circ}C$)로 보면 약 87$0^{\circ}C$로써 (변이계수 2.3%) 파종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보였다. 4. 수장과 수당영화수는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되었다. 단위면적당 영화수와 백미수량은 6월 20일 파종기에서 다른 파종기에서 보다 낮았다. 임실율과 등숙율은 모든 파종기간에 차이가 없었고, 현미 천립중은 6월 20일 파종기가 다른 파종기에서 보다 무거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