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도시설

Search Result 52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uitable Site Selection System Construction of Inter-Regional Pipeline network and Supply Facility (광역상수도 관로노선 및 수도시설의 적지선정 시스템 구출)

  • 하성룡;김주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6.05a
    • /
    • pp.605-610
    • /
    • 1996
  • 광역상수도의 수도시설 및 관로시설의 적지를 선정하기 위한 시스템에서는 GIS기법을 이용하여 공간정보를 입력하고, 분석하며 적정입지를 선정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GIS를 이용한 적지선정기법을 방대한 지형정보의 종합적인 관리와 분석능력 및 시각적인 표현능력을 갖추고 있어 광역상수도의 적정노선 결정에 적합하며, 그 이용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시를 대상으로 GIS를 이용한 광역상수도의 수도 및 관로시설의 적지선정 시스템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수치지도는 국가기본도와 주제도중 토지이용도와 도시계획도를 작성하였다. 구축된 지형정보에 관한 기술조건을 만족하는 공간분석항목을 바탕으로 가능대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기존 수도시설 및 관로시설의 적지선정 방법에 비해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줄었다.

  • PDF

Damage of Waterworks Facilities on the Iwate-Miyagi Nairiku Earthquake Disaster in 2008 (2008년 이와테.미야기 내륙지진에 의한 상수도 피해와 제언)

  • Han, Youn-Hee;Ishibashi, Yoshinobu;Katou, Nao;Lee, Sang-Hoo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78.2-78.2
    • /
    • 2010
  • 2008년 6월 14일, 일본 이와테(암수(岩手)) 미야기(궁성(宮城)) 내륙 지진이 발생하였다. 평야지역에서의 피해는 경미하였지만, 산간지역은 괴멸적인 피해를 입은 것이 가장 큰 특정이다. 특히, 산간지역의 간이수도 등, 소규모 수도 시설의 지하수원이 고갈되고 정수시설의 경사면이 붕괴되는 등의 피해를 입었다. 또, 지진발생 후, 원수의 높은 탁도와 색도가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낮아지거나 없어지지 않았던 곳이 많았다. 이번 연구보고에서는, 간이수도 등의 피해와 상호지원 체제의 상황을 보고함과 동시에 소규모 수도시설의 지진 재해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Design Value Analysis and LCC Analysis Model of Water Supply System Project (수도시설의 설계VA 및 LCC 분석모델)

  • Lim Jong-Kwon;Jung Pyung-Ki;Seo Jong-Won;Lee Jae-Sun;Cho Kook-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469-472
    • /
    • 2003
  • A life cycle cost analysis model for public water supply systems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ones for other civil and architectural facilities as the operation an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water supply systems mainly come from the various mechanical systems and the pipeline systems of the collecting/treating/distributing facilities. This paper presents a cost classification scheme and a life cycle cost analysis model for public water supply systems. A value analysis (VA) procedure that is well suited for practical purposes is also presented. The presented life cycle model and the value analysis procedure were applied to a real world project, and this case study is discussed in the paper. The model and the procedure presented in this study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value-oriented design alternative selection, the estimation of the maintenance cost, and the allocation of budget for water supply system construction projects.

  • PDF

A Study on the Design Value Analysis Model Using Probabilistic LCC Analysis of Water Supply System Project (확률적 LCC분석기법을 활용한 수도시설물의 설계VA모델에 관한 연구)

  • Jung Pyung-Ki;Seo Jong-Won;Lim Jong-Kw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5 no.2 s.18
    • /
    • pp.181-193
    • /
    • 2004
  • A life cycle cost analysis model for public water supply systems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ones for other civil and architectural facilities as the operation an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water supply systems mainly come from the various mechanical systems and the pipeline systems of the collecting/treating/distributing facilities. This paper presents a cost classification scheme and a probabilistic life cycle cost analysis (PLCCA) model for public water supply systems. A value analysis (VA) procedure that is well suited for practical purposes is also presented. The presented probabilistic life cycle model and the value analysis procedure were applied to a real world project, and this case study is discussed in the paper. The model and the procedure presented in this study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value-oriented design alternative selection, the estimation of the maintenance cost, and the allocation of budget for water supply system construction projects.

Fluoride and nitrate removal by electro-coagulation for decentralized water treatment plants (전기응집을 이용한 소규모 수도시설의 불소 및 질산성질소 이온의 제거)

  • Han, Song-Hee;Chang, In-Soung;Back, Soun-Ok;Joung, Seun-Young;Lee, Cheol-K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115-116
    • /
    • 2010
  • 광역상수도의 경우 수자원공사 및 지방상수도 사업자들에 의해 전문적으로 수질을 관리하고 음용수를 보급하고 있으나 소규모 수도시설의 경우 전문능력을 갖춘 관리자가 아닌 마을의 대표자가 맡아 관리함에 따라 안정성 및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자주 제기되고 있다.[1] 또한 소규모 수도시설의 경우 취수원으로 지하수나 계곡수를 이용하여 여과나 염소소독을 거쳐 음용수로 이용함에 따라 중금속 및 무기이온 등 각종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아 이를 사용하는 주민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부의 법정 수질 검사에 따르면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곳의 대부분은 마을상수도와 소규모 급수시설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과 항목으로는 무기이온 중 특히 불소와 질산성질소 인 것으로 나타났다.[2]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고도 정수처리 시설인 막여과, 오존처리, 활성탄 흡착 공정 등을[3-5] 적용하고 있으나 소규모 수도시설에 적용하기에는 유지관리, 규모, 경제적 측면 등 여러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기응집기술을 이용하여 음용수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무기이온 중 불소와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전기응집기술은 제거효율이 높고, 운전이 용이하며 부가적인 화학약품의 첨가가 불필요하다.[6,7] 또한 기존의 고도정수처리 기술에 비해 전기응집 공정은 처리효율과 경제적인 측면 모두를 만족시키고 있어 소규모 수도시설의 불소와 질산성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장치는 직류전원공급장치 (DC power supply), 반응조,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류전원공급장치는 최대전압 30 Volt, 최대 전류 30 Amper 까지 조절 가능하였으며 반응조의 크기는 14.5cm(w) ${\times}$ 9cm(L) ${\times}$ 22cm(H) 이고 실용적 1.5L이다. 반응조의 상부에는 전극이 고정될 수 있도록 0.5cm 간격의 홈을 만들어 제작 하였다. 전극은 가용성 전극인 알루미늄 (Al), 스테인레스스틸(SUS304)를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전류밀도, 전극간격 등의 변수를 두어 최적의 전기응집 운전 조건을 파악하였으며 이는 소규모 수도시설의 수질개선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