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도권 비행금지구역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우리나라의 공역관리 개선방안

  • 박근혜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453-453
    • /
    • 1998
  • 우리나라가 관할하는 공역의 넓이는 약 40만$\textrm{km}^2$로 주한미군이 1952년부터, 국방부가 1958년부터 관리해 오다가 1995년에 건설교통부가 공역관리 업무를 인수하였다. 우리나라의 공역(대구 FIR)에는 비행금지구역, 비행제한구역, 위험구역, 경제구역, 훈련구역, 군작전구역 등 무려 114개의 특수목적 공역이 설정되어 있어 민항공기의 운항이 자유롭지 못하다. 또한 내륙을 중심으로 14개의 접근관제규역이 설정되어 있고 각기 관할구역에 대하여 배타적인 권리를 행사함으로써 신공항건설에 따라 운항이 필요한 소요공역 확보에도 애로가 많은 실정이다. 항로는 국내항로 5개, 국제항로 11개 등 모두 16개의 항로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부분 한 개의 항로를 양방향으로 운영하고 있어 교통량 처리가 어려운 실정이고 항공교통량 전체의 75%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나 안전도 확보에도 지장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는 군사적 특수성 때문에 군의 작전비행 활동이 상당히 많으나 관제 및 비행절차에 관한 규정을 군과 민이 각각 달리 운영하고 있는 문제점들이 있다. 금번 세미나에서는 군의 작전활동을 유지하면서 민 항공의 안전성, 경제성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1)국제민간항공기가 제정한 공역등급화(ATS Air Space Spacification)방안, 2)접근관제구역의 조정개선 방안 3)특수공역의 합리적 운영방안, 4)항로의 적선화, 복수의 일방통행 항로 확보 및 국제연결 항로의 다양한 방안, 5)군민간의 관제규정의 일원화 방안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Current Status and Recent Issues in Domestic Air Space Management System (국내 공역 현황과 제도개선 방안)

  • Yang, Han-Mo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14
    • /
    • pp.207-24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항공운송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항공기 운항의 기반이 되는 국내 공역관리의 실태와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져 하였다. 한국은 세계10위의 국제적 민간항공국임에도 불구하고 경쟁력의 원천인 국내여건이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국내 공역은 약 40만$km^2$인 대구비행정보구역내에 14개소의 접근관제구역과 16개의 항공로가 있고, 민간항공의 비행을 금지하거니 제한하는 71개소의 통제공역과 47개소의 주의공역이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국내 공역은 매우 협소하고 복잡하며, 국가안보의 특수 상황으로 인하여 공역운영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항공운항의 비경제성과 비행안전요인이 상존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가공역관리체제가 실질적이며 체계적으로 확립되어야 하며, 총체적인 국가이익의 극대화를 위하여 안보목적의 군 관할 공역과 민간항공이 활용 가능한 공역의 활당이 최적화 될 수 있도록 공역구조가 재편되어야 한다. 또한 운영상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접근관제구역의 광역화, 항공로체제 개선, 공역설계기준의 제정, 수도권 공역 부족의 해소와 미래항행시스댐 운영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irspace Legislation in Korea (우리나라 공역 법제의 개선방안)

  • Kim, Jong-Dae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3 no.2
    • /
    • pp.61-114
    • /
    • 2018
  • Recently airspace became a hot issue considering today's international relations. However, there was no data that could be fully explained about a legal system of korean airspace, so I looked at law and practice about korean airspace together. The nation's aviation law sector is comletely separate from those related to civil and military aircraft, at least in legal terms.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hall carry out his/her duties with various authority granted by the "Aviation Safety Act". The nation's aviation-related content is being regulated too much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notice or regulation, and there are many things that are not well known about which clauses of the upper law are associated with. The notice should be clearly described only in detail on delegated matters. As for the airspace system, the airspace system is too complex for the public to understand, and there seems to be a gap between law and practice. Therefore, I think it would be good to reestablish a simple and practical airspace system. Airspace and aviation related tasks in the military need to be clearly understood by distinguishing between those entrusted by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ose inherent in the military. Regarding matters entrusted by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 it is necessary to work closely with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hen preparing related work guidelines, and to clarify who should prepare the guidelines. Regarding airspace control as a military operation, policies or guidelines that are faithful to military doctrine on airspace control are needed.

A Case Study on the Threat of Small Drone and the Development of Counter-Drone System (소형드론 위협 사례와 대드론체계 발전방향)

  • Kang-Il Seo;Ki-Won Kim;Jong-Hoon Kim;Sang-Keun Cho;Sang-Hyuk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2
    • /
    • pp.327-332
    • /
    • 2023
  • On December 26, 2022, North Korea's drone provocation resumed for the first time in eight years. The threat covered not only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ut also the no-fly zone for the presidential office's security, and the South Korean military's response to it is not appropriate, which is a major controversy. In the midst of this, problems caused by the prohibition of small drones' flight and illegal intrusion into restricted areas are increasing in Korea, and the threat is becoming a reality, such as being used for terrorist attacks abroad.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Counter-Drone" and related technologies were considered for these drone threat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small drone threats,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Counter-Drone system was presented. North Korea's drone threat is expected to be more diversified, massified, and advanced, resulting in bolder attacks and provocations. Therefore, the South Korean military should push for early powering of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the conter drone system, joint and military cooperation in response to the threat of small drones, and the ability to carry out joint oper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