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도관

검색결과 577건 처리시간 0.026초

토양중(土壤中) 비소(砒素)의 행동(行動)과 수도(水稻)의 비소흡수(砒素吸收)에 의(衣)한 피해생리생태(被害生理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V. 토양중(土壤中)의 비소함량(砒素含量)이 수도근(水稻根)의 생태(生態)에 미치는 영향(影響) (Behaviors of Arsenic in Paddy Soils and Effects of Absorbed Arsenic on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ce Plant;V.Effect of arsenic added to soil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ce plant)

  • 이민효;임수길;박영대;이숙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25
    • /
    • 1988
  • 비소(砒素)의 토양처리(土壤處理)에 의(依)한 수도근(水稻根)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해 비소를 토양이 농도별(濃度別)로 처리(處理)하고 수도(水稻)를 재배(栽培)하여 근의(根) 제형질(諸形質) 및 조직내(組織內)의 변화등(變化等)을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수도(水稻)의 근수(根數) 근장(根長) 및 근경(根徑)은 토양중(土壤中) 비소농도(砒素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減少)되었으며 중심주(中心柱)의 직경(直徑)도 크게 좁아졌다. 한편 토양(土壤)에 비소(砒素)를 처리(處理)한 구(區)에서는 수도근(水稻根)의 피층내(皮層內) 이상세포(異常細胞)가 발생(發生)하였으며 비소처리농도(砒素處理濃度)가 높을수록 그 수가(數) 더 증가(增加)하였다. 근의(根) 부위별(部位別) 이들(細胞)의 발생정도(發生程度)를 보면 이들 세포(細胞)는 근단부(根端部)를 제외(除外)한 중간부(中間部)와 상위부(上位部)에서만 발생(發生)하였다. 또한 이들 세포(細胞)는 표피조직(表皮組織)이 없는 근(根)의 형상(形狀)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토양중(土壤中) 비소처리(砒素處理)에 따라 수도근(水稻根)의 피층내(皮層內) 이상세포(異常細胞)의 발생(發生)은 뿌리에 유해물질(有害物質)을 과다(過多)하게 축적(蓄積)한 근에(根)서는 뿌리의 수분(水分) 및 무기양분(無機養分)의 흡수기능(吸收機能)이 저해(沮害)를 받으므로 이를 보충(補充)하기 위한 수단(手段)으로 이들 세포(細胞)가 발생(發生)되었거나, 뿌리에 유해(有害)한 물질(物質)의 침투(侵透)에 대(對)한 방어수단(防禦手段)으로 발생(發生)된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 PDF

수도근(水稻根)의 Amino산(酸) 대사(代謝)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수도근(水稻根)의 생장(生長)과 Transamin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각종질소화합물(各種窒素化合物)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Amino acid Metabolism of Young Rice Roots(Part I) -Effects of Various Nitrogen Compounds for Growth of Rise Roots and Transaminase Activity-)

  • 김광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43-149
    • /
    • 1969
  • 수도(水稻)를 각종질소화합물(各種室素化合物)을 공급(供給)하여 근부생장(根部生長)과 근부(根部)의 Transaminase GOT, GPT의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하여 근부(根部)의 발육(發育)과 Transaminase활성(活性)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고자 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NO_3$-N를 공급(供給)한 수도근(水稻根)의 생장(生長)은 $NH_4$-N를 공급(供給)한 근(根)의 생장(生長)에 비(比)하여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는 경향(傾向) 이 있다. 2. $NH_4$-N를 공급(供給)한 수도근(水稻根)은 $NO_3$-N를 공급(供給)한 근(根)에 비(比)하여 생장(生長)이 불량(不良)할뿐만 아니라 질소농도(窒素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생장(生長)이 억제적(抑制的)인 경향(傾向)이 있다. 3. $NH_4$-N를 공급(供給)한 근(根) 즉(卽) 생장(生長)이 불량(不良)한 근(根)의 GOT, GPT활성(活性)은 강(强)하고 $NO_3$-N를 공급(供給)한 근(根)의 GOT, GPT 활성(活性)은 낮다. 4. 근(根)의 생장(生長)을 비교적(比較的) 억제(抑制)한다는 Amino산(酸)을 공급(供給)한 수도근(水稻根)은 이것 역시(亦是) 생장(生長)이 좋은 것은 GOT, GPT활성(活性)이 약(弱)하고 근부(根部)의 생장(生長)이 불량(不良)한 것은 활성도(活性度)가 높다. 5. 수도근부(水稻根部)의 세포각분획(細胞各分劃)에 있어서의 GOT, GPT 활성도(活性度)는 대부분(大部分) Supernatant fraction (Microsomal fraction)에서 강(强)하게 나타나며 Mitochondrial fraction 에서는 미약(微弱)하다.

  • PDF

인공지능(AI) 기반 상수도 누수탐사 사례 분석 (Case Study of Pipe Leak Det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문태남;신창건;김보향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6-496
    • /
    • 2023
  • 상수도관의 노후화 등으로 발생하는 누수는 안정적인 급수운영을 저해하고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지반 침하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수도관 누수는 배관 내·외부 부식으로 발생하는 핀홀(Pin Hole)로 인한 관통누수, 강관 용접 시 발생하는 시공불량, 볼트 및 고무패킹 등 부자재의 노후화, 굴착 등 작업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 등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수도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관 내부수가 관 밖으로 유출되어 발생하는 파열음, 유출수와 지반과의 마찰로 인한 진동 및 소음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청음식, 상관식 누수탐사와 같은 기존 누수탐사 방식은 전문가의 경험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기존 장비의 특성상 비금속관 및 대구경관 등 특정 환경에서는 적용이 어려우며, 효율적인 탐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논문에서는 상수도 누수가 의심되는 구간을 대상으로 실시간 누수음 데이터 수집 및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분석을 실시하여 기존 조사방법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누수탐사를 수행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강우유출수의 침투시 부하저감을 위한 경사관 침전장치의 효율평가 (Evaluation of Particle Removal Rate in Inclined-pipe Settling System for Stormwater Infiltration)

  • 김상래;김동근;문정수;한무영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9-726
    • /
    • 2009
  • One of the alternative runoff management measures is on-site runoff mitigation, such as rainwater retention tank and infiltration facilities especially the latter that is possible to manage simultaneously runoff quality and quantity as a perspective of water-cycl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article separator, inclined-pipe settling system, that could improve particle removal efficiency of road runoff as a pre-treatment device of stormwater infiltration. Solid particles larger than $100{\mu}m$ are separated by simple sedimentation; however, the significant amount of pollutants with a diameter less than $100{\mu}m$ remain in suspension. Without any treatment in that case of the runoff into infiltrate, groundwater would be deteriorated and also infiltration rate would be decreased by clogging. Therefore, we suggest optimal design parameters (inclined angle, pipe length, and surface loading rate) of inclined-pipe settling system which can be designed to effectively remove particles diameter smaller then $70{\mu}m$. Thus, the results showed TSS removal efficiency more than 80% with a particle diameter between $20{\mu}m$ and $70{\mu}m$, 100% above particle diameter $70{\mu}m$ for the inflow rate $0.018 m^3/m^2{\cdot}hr$ with pipe inclined at angle $15^{\circ}$.

유리섬유를 이용한 하수관의 고강도 현장경화 비굴착 보수 공법 재료의 개발 및 물성 특성 연구 (Study of structural properties and development of high strength Cured-In-Place Pipe (CIPP) liner for sewer pipes using glass fiber)

  • 지현욱;;유성수;강정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9-159
    • /
    • 2020
  • Cured-in-place-pipe(CIPP) is the most adopted trenchless application for sewer rehabilitation to extend the life of the existing sewer without compromising both direct construction and indirect social costs especially applied in the congested urban area. This technology is globally and domestically known to be the most suitable for partial and full deteriorated pipe structure rehabilitation in a sewer system. The typical design of CIPP requires a significant thickness of lining to support loading causing sewage flow interruption and increasing material cost. This paper presents development of a high strength glass fiber composite lining material for the CIPP application and structural test results. The test results exhibit that the new glass fiber composite lining material has 12 times of flexural strength, 6.2 times of flexural modulus, and 0.5 Creep Retention Factor. These test results can reduce lining design thickness 35% at minimum. Even though taking into consideration extra materials such as outer and inner films for actual field applications, the structural capacity of the composite material significantly increases and it reduces 20 percent or more line thickness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IPP. We expect that the newly developed CIPP lining material lowers material costs and minimizes flow capacity reduction, and fully replaceable to the conventional CIPP lining materials.

상수관로 누수위치 자료를 이용한 계층적 군집분석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of Water Main Leak Location Data)

  • 박수완;임광채;최창록;김규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3호
    • /
    • pp.177-190
    • /
    • 2009
  • 노후수도관 개량사업은 예산상, 시공상 등의 여러 제약조건에 의해서 장기적인 계획 하에 시행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지역에서 1992년부터 1997년 사이에 기록된 누수 위치좌표 약 8,000개를 이용하여 누수 위치들 간의 공간적 상관관계에 대한 계층적 군집분석을 수행한다. 계층적 군집분석방법 중 최단 연결법, 최장 연결법 및 평균 연결법을 적용하여 연구대상지역을 누수위치의 공간적 상관관계에 따라 분할하였으며, 각 군집 방법 별로 분할된 구역들을 비교하여 연구대상지역에 가장 적절한 군집 분석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최적의 군집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역을 누수 위치들을 군집으로 분할한 후 군집으로 분할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누수건수를 산정하고 이에 따라서 분할된 구역들에 대한 상수관망 유지관리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수도의 수수와 분얼에 미치는 석회, 가리의 효과 (The Effect of Lime and potassium on the Number of panicles and Tillers)

  • 오왕근;이상범;박찬호;김성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2권
    • /
    • pp.49-54
    • /
    • 1972
  • 다수확을 하는 벼의 모습을 알고 그 벼를 만드는데 미치는 소석회와 가리의 영향을 밝히고자 3개의 폿드시험과 1개의 포장시험결과를 가지고 수도의 수수와 분수수와의 관계를 조사하는 동시, 소석회와 가리비료가 분얼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생육초기(영양생장기)의 분얼수는 수수와 상관관계가 미약하거나 부상관을 가지며 유수형성기에 임박해서부터의 분얼수는 수수와 밀접한 정상관관계를 갖는다. 2. 가리는 분얼을 증가하는 효과가 있고 소석회는 분얼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 두가지 성분의 서로 상반된 작용은 실용적인 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것이므로 분얼생리 및 토양화학적인 면에서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3. 소석회의 분얼억제효과의 일부는 소석회가 주는 반응상승 때문인 것으로도 여겨진다.

  • PDF

습답수작기술향상에 관한 연구 -제1보 지하배수가 시비량과 재식밀도를 달리한 수도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Rice Cultivation in the Ill-drained Paddy Field -I. The Effects of Fertilizations and Planting Densitie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the Underchannel Drainage)

  • 강재철;김달수;구영서;황창주;나종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9권
    • /
    • pp.32-38
    • /
    • 1975
  • 호남지방의 습답수도작개량을 목적으로 지하배수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암거를 설치하고 시비량은 다비, 보비, 다비구를, 재식밀도는 소식, 표준, 밀식구를 두어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수처리는 하므로서 출수기와 성숙기의 지상부 건물중은 수량과 유의적 정상관을 보였다. 2. 배수구에서 등숙기간 엽신중 질소함량의 감소량과 수량과는 $r=0.696^*$의 정상관을 보였으나 흡수질소량의 감소랴오가 수량과는 $Y=220.7+200.7x-35.3x^2$의 이차회귀를 보였다. 3. 주당근수는 무배수구에서 많았으며 재식밀도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배수구에서는 재식밀도증가에 따라 주당근수의 감소는 현저하였다. 4. 근태, 근장, 근모의 형성등은 배수구에서 월등히 증가하였으며 아울러 주당근중이 무거웠다. 5. 뿌리의 활력은 소비구의 상우근을 제외하고는 배수구에서 현저히 높았다. 6. 배수처리는 등숙율과 천립증가에 특히 유효하였다. 7. 수량은 무배수구에 비하여 배수구에서 소비소식구는 1~4%의 감수를 보였으나 그 외 모든 처리는 3~13%의 증수를 보였는데 그 효과는 시비량의 증가보다 재식밀도증가에서 더 현저하였다.

  • PDF

진동대 실험을 통한 밸브실 시스템의 내진성능 평가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Valve Chamber System by Shaking Table Tests)

  • 정영수;이경석;유진석;정형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46-52
    • /
    • 2024
  • 연약지반에서의 도로 침하 및 지진에 의한 누수 및 수도관의 파열에 따라 배관시스템용 신축이음장치의 구조적 안전성이 강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관 시스템의 다양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신축이음에 금속 벨로우즈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밸브실 시스템의 내진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진동대를 이용하여 내진시험을 수행하였다. 밸브실과 강관연결부의 구조적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신축이음(벨로우즈) 및 일반배관을 적용하였으며,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하여 지진동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진동대 실험결과, 일반배관이 적용된 경우보다 신축이음(벨로우즈)을 설치한 경우에 밸브실 구조체 및 유입·유출관의 변형율 1/100 및 1/20 수준으로 감소를 확인하였다.

수도의 관수피해에 관한 조사연구 (Effects of Submergency due to Heavy Rains on the Yield of Paddy)

  • 조민신;김원식;전호석;이진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2권
    • /
    • pp.63-69
    • /
    • 1972
  • 1972년 8월 18-19일의 30시간 사이에 있었던 450mm여의 호우 피해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주요평야인 김포, 부천, 평택(북위 $370^{\circ}$00'98"$-37^{\circ}$30'56"' 동경 $126^{\circ}$45'99"$-127^{\circ}$55'92")에 재배하고 있는 수도는 대부분이 관수의 피해를 입었다. 이 지역에서 수도의 관수 일수별, 생육단계별 수량, 임실율, 등숙비율 및 출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의 관수피해 정도는 1) 무관수를 표준으로 하여 수량은 0.5일간 관수의 경우는 67%, 1일간은 57%, 2일간은 40%, 3일간은 9%, 4일간은 6%밖에 기득되지 않으며 관수일수가 늘어남에 따른 수량은 1%수준에서 유의한 부(일)상관을 보였다. 2) 임실율 및 등숙율도 수량에서 보인바와 같이 관수일수가 증가됨에 따라 그 비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뚜렸이 보여 표준인 무관수구의 임실율은 82.6%이고 등숙율 68.6%일 때 관수로 인한 피해가 각각 0.5일간에서 89%와 88%, 1일간에서 83%와 78%, 2일간에서 52%와 40%, 3일간에서 24%와 19%, 그리고 4일간에서 12%와 9%를 보였으며 또한 관수일수와 임실율 그리고 관수일수와 등숙율간에는 각각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는 부(일)상관을 보였다. 3) 출수도는 관수일수에 따라 그 길이가 줄어드는 경향이 뚜렷하며 1% 수준에서 유의한 부(일)상관을 보였다. (2) 출수직전의 관수피해는 출수기보다 피해가 적은 경향을 보였으며 수량은 표준구에 비하여 0.5일간관수에서 86%, 1일간에서 82%, 2일간에서 60%, 3일간에서 36% 그리고 4일간에서 10%의 변이를 보였다. (3) 수잉기의 피해는 출수직전의 관수피해보다 더 큰 경향을 보여 표준구에 비하여 수량은 0.5일간 관수에서 79%, 1일간에서 64%, 2일간에서 48%, 3일간에서 34% 그리고 4일간에서 6%의 변이를 보였다.고 4일간에서 6%의 변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