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쇄석 골재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초

수평 배수재로서 순환골재와 쇄석의 활용 방안 (Utilization of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as Horizontal Drains in Soft Ground)

  • 이달원;임진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6호
    • /
    • pp.111-123
    • /
    • 2010
  • In this study, laboratory model test on utilization of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as horizontal drains to use alternative material of sand in soft ground is practiced.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the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showed largely 1.2~5.1 times and 2.0~3.3 times greater than sand, respectively. The horizontal coefficient of permeability in case of installing the horizontal perforated drain pipe showed largely 1.9~6.8 times more than the case of not installing. The drainage distance showed 1.7~1.8 times greater than sand. When a degree of consolidation is 90 %, there is no delay of consolidation in SCP and PVD improvement sections. Therefore, it is proven that the field applicability is excellent. Also, the suitable quality management criterion is presented to make use of a horizontal drains in soft ground on the basis of analysis of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연약지반에서의 쇄석골재 말뚝의 지지력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earing Capacity of Gravel Column in Soft Ground)

  • 천병식;여유현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7-414
    • /
    • 1999
  • Sand drain as a vertical drainage is widely used in soft ground improvement. Recently, sand, the principal source of sand drain, is running out. A laboratory model test was carried out to utilize gravel as a substitute for sand. Though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gravel are compared to those of sand for engineering purpose. According to the test, the settlement was found to be smaller in gravel drain than in sand drain. The increase in bearing capacity by gravel rile explains the result. The clogging effect was not found in gravel column. As a result, it is assumed that gravel is relatively acceptable as a drainage material. Gravel material seems better than sand material in bearing capacity and it is found that bearing capacity is larger when gravel is used as compaction pile than as drain from in-situ test on bearing capacity. Increase of bearing capacity with gravel pile means an effect of composite ground by stiffness of gravel material. It can lie supposed to use gravel pile instead of sand pile in view of consolidation effect and bearing capacity.

  • PDF

재료에 따른 다짐말뚝 구근 형성 메커니즘 (Mechanism on Bulb Formation of Compaction Pile Depending on Materials)

  • 최정호;이민지;;박성진;추연욱;김일곤;김병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7호
    • /
    • pp.25-3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연약지반개량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모래다짐말뚝 공법의 개선을 위해 개발된 입도조정골재 다짐말뚝의 구근 형성 및 품질을 평가하고자 다짐말뚝 시공을 모사하는 축소모형실험 시스템을 개발하고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재 모래다짐말뚝 공법의 경우 모래의 공급 부족으로 인해 경제성이 하락하였고, 쇄석다짐말뚝 공법은 해상 초연약점토지반에 시공 시 구근의 팽창 파괴로 인한 불균일한 구근과 퍼짐 현상 발생으로 해상 연약지반 적용에 한계가 있어왔다. 구근의 균일한 형성은 다짐말뚝의 지지력에 큰 영향을 미치나, 현재까지 구근 형성에 대한 연구사례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짐말뚝 구근이 시공되는 절차를 모사하여 구근 형성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기존 다짐말뚝 공법을 개선하는 입도조정골재의 품질 평가를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짐말뚝 재료와 지반 강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4차례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짐말뚝 재료는 입도조정골재와 모래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입도조정골재 다짐말뚝의 구근은 모래다짐말뚝과 유사한 품질로 나타났으며, 입도조정골재 다짐말뚝의 지지력이 모래다짐말뚝 보다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로 보조기층재로서 채석장 석분토의 재활용가능성 분석 (Recycle Possibility of the Stone-Dust in Quarry as Subbase Layer Materials of the Road)

  • 김경수;송영석
    • 지질공학
    • /
    • 제17권2호
    • /
    • pp.279-287
    • /
    • 2007
  • 채석장으로부터 원석을 채취하여 건축석재 및 쇄석골재 등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원석의 약 60% 정도가 폐석이나 석분토로 손실되고 있다. 이 중에서 폐석의 일부만이 도로포장용 쇄석골재로 활용되고 있을 뿐 대부분의 석분토는 석재의 가공이나 파쇄공정에서 분말형태로 물에 혼입되어 슬러지탱크에 침전되게 된다. 이러한 석분토가 방류되거나 살포되면 지표나 지중의 공극들이 메워져 지표수의 지중침투, 지하수의 흐름, 공기의 소통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현행 우리나라 폐기물관리법(2003)에 따르면 석분토가 사업장 내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로 분류되고 있어 대부분을 지중에 매설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석분토의 물성 및 공학특성을 개량하여 효율적 재활용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채석장에서 발생되는 석분토의 개량 및 재활용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6개 채석장으로부터 시험용 석분토 및 원지반토를 채취한 후, 이를 일정한 비율의 배합비로 제작한 혼합토를 대상으로 여러 토질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를 토대로 도로용 재료로서 석분토의 개량 및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체의 거동연구를 위한 축소모델 배합의 재료적 상사성 (The Similitude of Material for Small-Scale Model Mix Proportion of Concrete Pavement)

  • 고영주;이용우;배주성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9-145
    • /
    • 1999
  • 본 연구는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체의 거동연구를 위한 축소모형실험에 앞서 모형시험체의 제작에 가장 중요한 변수인 재료적 상사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론을 기술하였다. 현재 고속도로의 콘크리트 포장 배합설계기준과 동일한 배합비로 제작한 시험편과 골재의 최대치수를 축소하고 W/Cm C/a, S/a, 골재종류를 변수로 하여 총 224개의 원형공시체를 제작하여 그들의 응력-변형률 거동을 분석하므로써 재료적 상사성을 만족하는 모형배합비를 도출하였다. 모형콘크리트 배합비로 쇄석은 C/a 31%에서 S/a 28%, 강자갈은 C/a 30%일 때 S/a 27%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내 모형실험에 의해 콘크리트포장체의 거동연구를 하고자 할때 모형실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선재하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Platform Fill Horizontal Drain Pipe System)

  • 유찬호;한연진;강수용;백승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77-83
    • /
    • 2012
  •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있어서 대부분의 수평 배수층은 모래나 쇄석 등의 골재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골재를 수평 배수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종 원지반의 침하불량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수평 배수층을 깔지 않고 수평 배수용 파이프를 이용하는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법은 반복 성토과정으로 발생하는 과잉 간극수압을 수평 배수관망으로 직접 배수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의 적용성과 시공성을 확인하고자 실 규모 현장시험 시공을 수행하여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현장시험시공을 통하여 수평 배수관망 시스템의 침하 거동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수평배수관망 변형정도를 확인하여 일반적인 수평배수층을 이용하는 공법과 비교분석하여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쇄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용 재료의 동결융해 저항성 (A Study on the Resistance of Freezing-Thawing for the Material of Concrete or Asphalt Using Smashed Rock)

  • 김영수;방인호;하노영;이재호;최정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35-47
    • /
    • 2002
  • 대구 지역의 경우 최근의 지하철 1호선 공사 완공과 함께 2~4호선 공사와 더불어 많은 양의 토사와 암석들을 발생기킬 것으로 생각되지만, 발생되는 암석류는 주로 기계적 강도가 낮고 팽창, 수축에 대한 내성이 작아서 쉽게 분쇄되는 단점을 갖는 퇴적암이 대부분이므로 자원 공학적 측면에서 활용가치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천연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 지반자원을 이용한다는 것은 자원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에 다량으로 매장되어 있는 퇴적암을 파쇄한 후 골재로서의 타당성여부를 도로공사 현장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화강암 골재와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시료가 원암석의 역학적 특성에서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골재의 안정성 시험에서는 블랙셰일이 12.9%, 레드셰일이 37.5%로 KS규준에 미달하였다. 콘크리트 동결-융해 시험결과 세 암석이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레드셰일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아스팔트 동결융해 시험에서는 50cycle에서의 안정도값은 레드셰일이 표층과 기층에서 각각 484~561kg, 336~375kg으로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셰일의 골재로서 타당성 여부는 추후에 더 연구되어져야 한다.

  • PDF

연직배수재로서 순환골재와 쇄석의 활용방안 (Utilization of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as Vertical drains)

  • 이달원;이정준;김시중;이영학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969-978
    • /
    • 2010
  • In this study, a laboratory model test on utilization of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as vertical drains to use alternative material of sand in soft ground is performe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the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showed largely 1.2~4.0 times and 3.0~3.3 times greater than sand, respectively. Therefore, it showed enough to be an alternative material to the sand which had been being used a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rainage material before. The variations of pore water pressure with time showed constantly regardless of the load in all vertical drainage materials. When water level drops suddenly, the pore water pressure of the recycled aggregate and crushed aggregate is reduced to nearly zero. Therefore, it was applicable to the field because discharge capacity was similarity to that of sand. The settlement in crushed aggregates and recycled aggregate decreases gradually with the load increase. When water level drops suddenly, earth pressure in all drains materials was evaluated the equivalent drainage capacity similarity to sand because it show approaching the nearly zero.

  • PDF

연약지반에서 수평배수재용 순환골재와 쇄석의 막힘 거동 (Clogging behavior of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as horizontal drains in soft ground)

  • 이달원;노재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3호
    • /
    • pp.253-260
    • /
    • 2013
  • In this study, laboratory model test carried out to present the suitable range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clogging behavior of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as horizontal drains in soft ground. The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showed clogging phenomenon because the top fill material and bottom clay inflow into the horizontal drains. The pp mat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minimize clogging phenomenon. The horizontal coefficient of permeability in case of installing the pp mat showed largely 2.1 times more than the case of not installing. When the pp mat is not installing, the thickness of fine grained soil inflow into the horizontal drains showed 6.7~13.3% range in top fill material and 3.3~6.7% range in bottom clay. Overall, the reduction of the discharge capacity by fine grained soil inflow showed small in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Also, the appropriate criterion range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is presented to make use of a horizontal drains in soft ground on the basis of laboratory test.

순환골재와 쇄석을 이용한 연직배수재의 실내모형실험 (Full-Scale Model Test of Vertical Drain Materials using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 이달원;이정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5호
    • /
    • pp.103-111
    • /
    • 2012
  • In this study, the full-scale laboratory model test on utilization of recycled aggregates and crushed stone as vertical drains to use an alternative material of sand in soft ground is performed. The settlement and pore water pressure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discharge capacity and filed applicatio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measured and estimated settlement in all vertical drain materials decreases gradually with the load increase. The measured settlement 6.55~8.63 mm, and the estimated by the Hyperbolic model was 7.45~7.92 mm. So the model used for the analysis can be applied to the settlement estimation of the actual field. The variations of pore water pressure with time showed constantly regardless of the load in all vertical drainage materials. The pore water pressure was similarity to that of sand after rapid drawdown. Therefore, it was applicable to the field because discharge capacity was enough to be an alternative material to the sand which had been being used as the vertical d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