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송풍기 효율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공조응 및 산업용 송풍기 업계 현황

  • 김용식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2a
    • /
    • pp.169-174
    • /
    • 2002
  • 본 자료는 송풍기 공조분야 및 산업용 분야의 업계현황과 기술 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자료를 정리하였다.

  • PDF

설비 시스템 설계와 펌프 및 송풍기 선정

  • 김삼근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9
    • /
    • pp.27-37
    • /
    • 2000
  • 설비시스템 설계에 있어 물과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와 송풍기는 배관 및 덕트 설비의 동력원으로써 건물에너지 소비량의 대단히 큰 비중을 차지할 뿐 아니라, 시스템 계획상 중요한 요소이면서도 시스템 계획에 부적합하게 선정되어 효율적인 시스템 구성에 실패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설비시스템 설계에 있어 펌프나 송풍기의 선정과 적용에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하여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Experiment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Blower to Extend The Life of The Impeller and Reduce The Power Cost by Changing the Air Flow (공기흐름 변경으로 임펠러의 수명연장과 전력비 절감을 위한 송풍기 개발을 위한 실험적 연구)

  • Kim, Il-Gyoum;Park, Woo-Cheul;Sohn, Sang-Suk;Kim, Young-Na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1
    • /
    • pp.219-225
    • /
    • 2020
  • In this study, the prototype of a blower was designed and made to develop a long-life blower with a volume flow rate of 10,000 ㎥/min with a required total pressure efficiency of 83% or more. Five experimental impellers with various lengths of dust deflectors were manufactured and used for the erosion experiments. The erosion test was conducted by operating for 160 hours in a self-produced closed loop-type erosion test apparatus. A prototype of a model blower was designed, fabricated, and tested. The results revealed a total pressure, air volume flow rate, and efficiency of 690.6 mmAq, 16,243.6 ㎥/min, and 83.6%, respectively, as the result of conversion to a blower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blower model. The prototype was designed and fabricated as the experimental erosion equipment of the blower. A blower with a dust deflector was developed by performing the erosion experiments under harsh conditions. The blower showed an improved effect of more than 190% based on the wear thickness of the impeller compared to a conventional blower without a dust deflector.

Numerical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a Blower to Extend the Life of the Impeller and Reduce Power Costs by Changing the Air Flow (공기흐름 변경으로 임펠러의 수명연장과 전력비 절감을 위한 송풍기 개발을 위한 수치해석)

  • Kim, Il-Gyoum;Park, Woo-Cheul;Sohn, Sang-Suk;Kim, Young-Na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2
    • /
    • pp.192-199
    • /
    • 2020
  • The blower erosion phenomenon was investigated to develop a long-life blower with a volume flow rate of 10,000 ㎥/min with the required total pressure efficiency of 83% or more. The blower performance and blower erosion were predict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b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The conditions used for numerical analysis were an air volume of 16,200 ㎥/min, a rotation speed of 893 rpm, and a temperature of 330℃. The specific gravity, particle size, and amount of the dust was 3.15, 90 ㎛~212 ㎛, and is 265 kg/min, respectively.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ust deflector on erosion, ero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comparing the models with and without a dust deflector. Numerical analysis showed that when the dust deflector is installed, the average tended to decrease by 167% in the impeller and 133% in the boss. CFD using the Finne's model for erosion revealed a parallel restitution coefficient of 1 and a perpendicular restitution coefficient of 0.1. The blower performance of case 5 was 691.7 mmAq, and the efficiency was 83.3% when the rotation speed and the air volume flow rate were 880 rpm and 16,200 ㎥/min, respectively.

현장의 전기사용 절약방법 - 공조기(3)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2 s.50
    • /
    • pp.75-80
    • /
    • 1981
  • 공조기의 전기사용합리화의 포인트는 열부하의 경감과 열매개(공기 물)의 효율좋은 제어에 있다. 후자는 결국 송풍기, 펌프의 절전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며, 이미 본란에서 기술하여 왔던 것이므로 상세한 것은 이것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 PDF

Development of Air Flow Calculation System for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Inflow Water Quality (유입수질에 따른 하수처리장 송풍량 산정 시스템 개발)

  • Shin Geol Kim;Wooseok Yeo;Deok-Hyeon Kim;Jong Kyu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6-486
    • /
    • 2023
  • 하수처리장 내 생물반응조에서는 유기물을 제거하거나 질산화(Nitrification)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산소를 요구하고 있으며, 필요한 산소는 송풍기 운영을 통해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산화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 처리장 내 일정 이상의 산소가 수중에 공급되어야 한다. 생물반응조내 용존산소가 부족할 경우 활성슬러지의 침전성이 저해되어 오염물질 저감 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과도한 산소가 공급되어도 수처리의 효율은 개선되지 않으며 반응에 사용되지 않은 산소들은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또한 유입수질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조 내 필요한 산소는 달라지게 되므로 유입수질에 맞는 효율적인 하수처리장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하수처리장 내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실제생물학적 처리시 요구되는 산소의 양을 산정할 수 있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하수 성분, 용량과 같은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적용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하수도 설계 시 사용되어지고 있는 하수도 시설기준의 산소요구량 및 공기공급량 산정식을 통하여 유입수질에 따라 실제 하수처리장에 필요한 산소요구량 & 공기공급량을 산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하수도 설계기준의 여러 가지 수식을 실제 하수처리장 내 필요한 요소로 변환시켜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하수처리장 송풍량 산정 시스템 적용에 따른 송풍량 절감 효율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2021년 A하수처리장의 4월 월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하수처리장에서 필요한 송풍량을 산정하여 실제 사용된 송풍량과 비교 분석하여 송풍량 절감 효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하수처리장 내 송풍량 산정 시스템을 도입하게 된다면 운전자 경험에 의존하고 있는 수동적인 제어 방식에서 벗어나 자율 제어를 통한 효율적인 하수처리장을 운영할 수 있어 송풍량 절감 및 탄소중립에도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An Investigation on the Heat Efficiency of Hot Air Heater (온풍난방기 열효율조사 연구)

  • Kim, Yeong-Jung;Yu, Yeong-Seon;Gang, Geum-Chun;Baek, Lee;Yun, J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133-138
    • /
    • 2002
  • 온풍난방기 20대를 대상으로 온풍난방기의 베기가스중 탄산가스농도, 온풍온도차, 배기가스온도 및 열효율을 조사하여 사용연수별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사용연수별 온풍난방기 배기가스중 탄산가스농도와 온풍온도차는 사용연수에 따른 조사표본의 부족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고 하기는 어렵고 정확한 조사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 사용연수별 배기가스온도는 사용연한이 오래될수록 높아졌다고 판단된다. 이는 열교환기에서 흡입공기와 연소열이 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버너노즐의 노후화, 버너송풍기, 온풍난방기 송풍기의 노후화에 따른 결과라 여겨진다. 사용연수에 따른 배기가스온도는 회귀방정식 Y= 79.032Ln(X) + 116.66 ($R^2$= 0.6784)로 나타낼 수 있었다. 다. 사용연수별 온풍난방기의 열효율은 사용연한이 오래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회귀방정식 Y = 95.167 X $^{-0.054}$ ($R^2$= 0.5696)로 나타낼 수 있었다.

  • PDF

소형 축류 홴 소음 특성

  • 김창준
    • Journal of KSNVE
    • /
    • v.11 no.1
    • /
    • pp.15-20
    • /
    • 2001
  • 홴(fan)은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기동력인 풍량과 정압을 발생시켜 발열부품의 냉각 및 환기용으로 산업현장과 가전기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과거 산업현장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던 송풍기가 가전기기에 적용되면서 홴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폭되었는데 특히 국내에서 독자적인 소형 홴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도 이 때이다. 가전에서의 홴은 고효율 뿐 만 아니라 주로 저소음화에 대한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데 이는 기존의 산업현장의 송풍기가 주로 풍량과 정압에 목표를 두고 개발해 왔던 것도 한 이유지만 구조적인 안정성 때문에 소음을 고려한 설계가 한계가 있었기 때문으로 저소음홴에 대한 응용기술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송풍기 기술을 그대로 받아들인 초창기 가전용홴은 소음이 높았다. 또한 가전기기는 모든 연령층이 사용하기 때문에 소음이 큰 제품은 항상 소비자 클레임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