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송아지생산율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복제한우 생산효율과 산자의 성장능력

  • 박수봉;양병철;김동훈;이상기;박효숙;성환후;장원경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3.06a
    • /
    • pp.41-41
    • /
    • 2003
  • 본 연구는 한우 복제수정란의 이식에 의해 고능력 복제한우를 생산할 수 있는 효율과 산자의 성장능력을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능력 한우의 귀세포를 이용하여 체세포복제수정란을 생산하였고 그 신선수정란을 대리모에 이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0년 (n=35)과 2001년 (n=121)에 이식한 복제소의 분만율은 각각 5.71%, 8.26%로 나타났다. 복제송아지의 임신기간은 평균 287일 (279~295일)이었으며 같은 기간내 인공수정 우군의 평균 임신기간인 287일 (255~293)과 동일하였다. 복제송아지의 분만시 사산율은 6.67%였으며, 인공수정시의 94.44%와 비슷하였다. 그러나 분만후 복제송아지의 생존율은 36.67%로서 인공수정의 100% 보다 매우 낮았다. 그리고 태어난 후 200일 이상 생존한 송아지의 생시 평균체중은 28.25kg (AI 23.67kg)이었고, 복제송아지의 경우 생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적거나 (<20kg) 또는 거대체중 (>35kg)의 경우는 분만후 대부분 사망하였다. 상기 결과에 의해 현재의 복제기술에 의한 한우 생산효율은 아주 낮고 분만 후 거대체중등 비정상인 경우가 많아 생존율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원인구명에 관한 기초연구의 확대가 요망된다.

  • PDF

동결정액을 이용한 싸움소 생산

  • 정연길;송해범;김종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mbryo Transfer Conference
    • /
    • 2002.11a
    • /
    • pp.93-93
    • /
    • 2002
  • 싸움소(투우)는 1999년 문화관광부지정‘한국의 10대 지역문화 관광축제’로 선정되어, 청도군 투우대회가 한국을 대표하는 축제가 되었고, 상설투우장의 건설로 새로운 레져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싸움소 생산에 소요되는 유전인자 보존 및 생산기반은 전무한 실증이며, 본 연구는 청도군내 우수 종모우을 선별하여 정액채취 및 동결정액을 생산하여 군내 한우번식 농가에서 인공수정을 실시하고 계절별 수태율과 송아지의 성비를 조사하였다. 종모우 번개(나이6세, 체중850kg, 97, 98년 우승)와 사자(나이6세, 체중870kg 98, 99년 준우승) 2두로부터 일반적인 방법으로 인공질을 이용하여 1999년 10월에 정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정액은 35$^{\circ}C$에서 3~5배정도로 희석하여 정자농도와 활력을 평가하였다. 희석정액은 90분간에 걸처 5$^{\circ}C$ 까지 냉각하면서 글리세롤을 첨가한 난황구염산나트륨액으로 여러번 나누어 희석하여 정자의 충격을 피하였다. 글리세롤평형 2시간 후 0.5$m\ell$스트로에 정자수가 3500만/스트로의 분주.봉인하여, 정액의 동결은 액체질소상에서 4~5cm 위에 스트로를 평행으로 놓아 액체질소 가스로 10~15분간 예비동결한 다음, -8$0^{\circ}C$의 초저온 냉장고에서 케니스터에 넣어 -196$^{\circ}C$ 액체질소에 보관하였다. 인공수정을 실시하고 40일 전후에 직장검사를 통해 임신율과 수태율을 조사하고 분만한 송아지의 성비를 기록하였다. 채취한 싸움소의 정액량은 번개와 사자가 각각 평균 4.6$m\ell$와 3.8$m\ell$이고, 동결전의 정자의 활력은 번개와 사자의 정액이 각각 70.3 vs 75.3%, 동결후의 활력은 37.3 vs 40.3%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번개와 사자의 동결정액으로 각각 44두와 127두를 인공 수정하였고, 40일 전후의 임신율은 26두 vs 80두(59.1 vs 63.0% )였으며, 수태율은 26두 vs 66두(59.1 vs 52.0% )로 이들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번개와 사자의 수송아지의 성비는 각각 65.3 vs 42.4%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싸움소 정액 동결보존과 인공수정으로 싸움소 혈통을 가진 송아지가 생산되었다. 그러나 생산된 송아지가 싸움소의 능력을 가진 것을 선별하여 혈통을 고정시키고, 훈련으로 싸움소의 제질을 발굴하는 것이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 PDF

칡소 귀세포를 이용한 핵이식란의 배양방법이 배반포 발달율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 윤종택;이호준;최은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65-65
    • /
    • 2001
  • 본 연구는 칡소 귀세포를 공여핵으로 이용한 체세포 복제송아지 생산에 있어서 배양방법이 배발생 및 배반포 발달율에 미치는 영향과 체세포 복제란의 이식후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조사하여 복제송아지의 생산 효율을 제고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에 공시된 공여핵은 칡소 의 귀세포를 회수하여 10%FBS가 첨가된 DMEM배지에서 3-4일 동안 배양하여 monolayar Confluent 형성 후 0.25% trypsin을 처리하여 준비하였으며 공여세포는 적어도 passage가 5회 이상의 세포만을 사용하였다. 복제수정란의 생산은 18-20시간 동안 체외성숙 된 난자의 핵을 제거하고 공여핵을 주입하여 2.2kv/cm, 10$\mu\textrm{s}$의 전압으로 2회 자극함으로 융합하였으며, 융합된 난자는 5$\mu\textrm{g}$/$m\ell$ ionomycin에서 4분간, 1.9mM 6-dimethyl aminopurine에서 4시간동안 배양하여 활성화처리를 하였다. 핵이식수정란의 배양은 39$^{\circ}C$, 5%$CO_2$ incubator에서 처리구 I은 CRlaa에서 4일간 배양 후 CR2aa배지에서 배양, 처리구II는 CRlaa에 4일간 배양후 CR2aa배지에 cumulus cell과 공배양, 처리구III은 CR2aa 배지에 camulus cell과 함께 배양하였다. 수정란이식은 발정발현 7일째에 비외과적 방법으로 젖소 미경산우에 이식하였으며 이식란수는 2~4개의 핵이식된 수정란을 이식하였다. 임신진단은 45~60일 사이에 직장검사 및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배양방법에 따른 배발생율은 처리구 I에서 92.2 %(83/90)으로 처리구II와 III의 62.4%(63/101)와 77.8%(144/185)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배반포 발달율은 처리구II와III에서 65.1%(41/63)와 50.0%(72/144)로 처리구 I의 30.1%(25/83)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처리구에 따른 수정란 이식후 수태율은 처리구II와 III에서 공히 20%의 수태율을 나타낸 반면 처리구 I에서는 수태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체세포 복제수정란의 생산에 있어서 배반포 발달율과 수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배양보다 공배양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되지만 이런 결과가 복제송아지 생산효율에 있어서도 효과적일지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우 번식 전업농가의 기술수준 평가와 주요 번식성적 현황

  • 이명식;임석기;정영훈;최연호;박정준;문승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85-285
    • /
    • 2004
  • 농가의 사육규모 확대에 적합한 한우의 종합적 번식관리 기술을 농가의 기술 수준에 따라 효율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개발하고자 하며 사육규모 100두 내외의 전업 번식농가에서 암소의 번식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초수정 월령, 수태율, 수태당 수정회수 및 분만간격 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중략)

  • PDF

Surveys on Reproduction Status and Calf Production of Hanwoo Farmers (한우 농가의 번식우 관리와 송아지 생산 현황)

  • Yang, Byoung-Chul;Kang, Sung-Sik;Kim, Ui-Hyung;Jang, Sun-Sik;Yang, Boh-Suk;Lee, Seok-Dong;Cho, Sang-Rae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32 no.3
    • /
    • pp.171-176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reeding status of farms to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Hanwoo calf. The study was conducted on 45 farms divided into two group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reeding size and breeding area of Hanwoo cows. The average age at first delivery of Hanwoo was 28.7 months. The number of artificial insemination per pregnancy was $1.45{\pm}0.32$, and the number of artificial insemination days after birth was 119.8 days. Conception rates were $75.2{\pm}16.93%$ for small farms and $70.6{\pm}17.46%$ for medium sized farms and $71.4{\pm}11.03%$ for large farms. When we looked at farming methods, 'the farmers using estrus observation aids' had 10.42% higher calf production rate than the 'unused farmers'. The farms vaccinated with IBR and BVDV for breeding cattle showed a 4.41% decrease in abortion, stillbirth and mortality. According to farming conditions, conception rate and delivery rate improved by 3.47% and 18.29%, respectively, when grazing and exercising were performed. Observation, immunization and grazing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dicators for improving calf production efficiency in Hanwoo far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search data to improve the reproductive rate of farmhouse sites through the survey on the breeding status of Hanwoo farmers.

Characteristics of Semen and Coat Color Distribution of Offsprings Produced by Al in Korean Native Striped Cattle (Bos namadicus Falconer, Chikso) (재래 칡소의 정액 특성 및 인공수정에 의한 송아지 모색 분포)

  • Park, Yeon-Soo;Hwang, Hwan-Sub;Yoo, Jae-Won;Kim, Nam-Wook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v.31 no.1
    • /
    • pp.43-48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resh and frozen semen, proliferating efficiency by AI, and the coat color of offsprings in Korean Native Striped Cattle (Bos namadicus Falconer, Chikso). Semen were collected from 6 heads of tiger-coated male Chikso. In vitro fertilization (IVF) was conducted with frozen-thawed semen and in vitro matured Korean native brown cattle (general Hanwoo) oocytes. Total 18 heads of Hanwoo and Chikso were inseminated using Chikso semen. Coat colors of total 40 offsprings produced by AI wer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sh and frozen-thawed Chikso semen did not differ among individuals. In vitro fertilization rate of Chikso semen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Hanwoo semen. However, developmental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of IVF embryos was higher in Chikso semen (25.9%) than in general Hanwoo semen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ception rate after AI between Chikso and general Hanwoo. The coat colors of offsprings varied, only 42.5% (17/40 heads) of offsprings had tiger coat color. Futhermore, only 55% of offsprings produced from the tiger-coated recipients had tiger coat color. This result shows that proliferation of Chikso by AI is possible, but further research approaches may be needed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tiger-coated Chikso.

Effects of Different Blastocyst Production Techniques: In Vivo, In Vitro or Nuclear Transfer, on Pregnancy, Parturition and Viability of Hanwoo (한우 체내, 체외 및 복제 수정란이 이식된 수란우의 임신과 분만 및 산자의 생존)

  • Park Y. S.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9 no.3
    • /
    • pp.239-244
    • /
    • 2004
  •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gnancy rate, gestation length and abortion rate of the recipients which transferred blastocysts produced by in-vivo collection, in-vitro fertilization (IVF) and nuclear transfer (NT). In addition, we investigate the birth weight and survival rate of the calves derived from the same methods. The pregnancy rate was 56.3% in-vivo blastocysts, significantly higher than 19.4% in NT blastocysts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30.0% in IVF blastocysts. The abortion rate and the gestation length did not differ among the treatment groups (abortion rate: 0, 22.2 and 16.7% respectively; gestation length: 278.8, 289.4 and 281.4 days respectively). The mean birth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T calves (39.9kg) than in-vivo calves (25.5kg p<0.05). Recipients of in-vivo blastocysts (n=9) had all normal delivery and all of their calves survived on the 60$^{th}$ day from the birth. Recipients of IVF blastocysts (n=7) had all normal delivery but one of their calves died on the 48$^{th}$ day from the birth. Among recipients of NT blastocysts (n=5), three had normal delivery and two had Caesarean section. Among calves born through normal delivery (n=3) two died just after delivery but those born through Caesarean section all survived on the 60th day from the birth.

Production of Calves Following Transfer of Sexed Hanwoo Embryos and Hanwoo Embryos Cultured In Vitro (한우 체외 수정란 및 성 감별 수정란 이식에 의한 송아지 생산)

  • Min, Chan-Sik;Song, Sang-Hyun;Song, Gwi-Dong;Chung, Woo-Jae;Rho, Chi-Won;Kang, Yang-Soo;Park, Choong-Saeng;Kong, Il-Keun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3 no.1
    • /
    • pp.43-49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biopsy methods, and the pregnancy rate, calving and abortion rates, gestation length and birth weight of Hanwoo calves following transfer of fresh, frozen and sexed Hanwoo embryos produced in vitro. The survivability of biopsied embryos was 80.0 and 90.0% using aspiration and punching methods at 24 h after culturing, respectively. The ratios of male and female embryos were 42.1 and 52.6%, respectively, and the percentage of sex unidentified was 5.3%. Pregnancy rat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CG and control group (46.4 vs. 38.5%), fresh and frozen embryos (41.3 vs. 35.0%), and sexed and IVP embryos (27.5 vs. 41.2%) (p>0.05). Calving and abortion rates of IVP and sexed embryo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alving (85.0 vs. 87.0%) and in abortion (15.2 vs. 13.3%) (p<0.05). Gestation length of IVP and sexed calves were 281.3 and 288.2 days in female and 283.0 and 282.3 days in male, and the birth weight of IVP and sexed calves were 23.6 and 25.0 kg in female and 24.6 and 23.8 kg in male, respec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 in gestation length and birth weight between IVP embryos and sexed embryos (p>0.05). Administration of hCG to recipients did not improve the pregnancy rate following transfer of Hanwoo embryos produced in vitro and sexed embryos. Although the production of calves derived from sexed Hanweoo embryos cultured in vitro can be obtained, the efficiency of sexed calves production need to be improved in biopsy methods and pregnancy rate. Further study should be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pregnancy rates for commercial application of embryo transfer.

Effects of Maternal Nursing Potential on Blood Metabolites, Body Weight Gain and Disease Occurrence of Hanwoo Calves (한우 송아지 모체 포육능력별 혈중 대사물질, 증체 및 질병 발생)

  • 권응기;박병기;조영무;정영훈;장선식;조원모;전병수;강수원;이창우;백봉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8 no.6
    • /
    • pp.889-896
    • /
    • 2006
  • This study was arranged to investigate effects of maternal nursing potential on immune metabolites in blood, body weight gain and occurrence of disease in Hanwoo calves. Forty experimental calves were used and allocated into two groups with different maternal nursing potential. Thus, high or low maternal nursing potential group had twenty calves,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IGF-I, RBC, Ca and IP in blood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except for RBC. RBC concentration in blood from high maternal nursing potenti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low maternal nursing potential group at 5 days after birth (p<0.05). The concentrations of IgG, albumin, total protein and GGT in blood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The days from birth had no effects on the concentration of IgG, albumin and GGT in blood from two groups, except for total protein. Similarly, the maternal nursing potential had no direct effect on body weight of calves, but body weight in high maternal nursing potential group tend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low maternal nursing potential group at 6 months age. The occurrence of respiratory disease and diarrhea in high maternal nursing potential group was relatively lower compared with low maternal nursing potential group.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dicating that maternal nursing potential had effect on growth, and immune system in relation to disease in calves.

수란우의 황체 특징과 혈중 대사물질 수준이 수정란이식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 오성종;양보석;임기순;양병철;성환후;박용윤;김경남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35-35
    • /
    • 2001
  • 본 연구는 수정란이식기법에 의해 우량 한우 송아지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반조성을 위한 한우 수정란이식 최적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시험에 공시된 수정란은 우량한 한우의 체내수정란 및 체외수정란을 생산하여 좋은 배반포 수정란을 신선 혹은 동결란 상태로 이식에 공시하였다. 수란우는 정상 발정주기를 가진 경산우로 CIDR을 이용하여 발정을 동기화 하였고 이식시 직장검사로 황체의 크기를 검사하고 초음파진단기로 황체의 구조를 조사하여 정상인 개체에 수정란을 이식하였다. 수란우의 최적 선정조건을 구명하고자 혈중 호르몬 및 대사물질을 분석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397두의 수란우에 수정란을 이식하여 121두가 임신하여 평균 30.5%의 수태율을 얻었다. 2. 수란우의 황체의 크기 및 황체내 강 형성 유무와 수태율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혈중 progesterone 수준을 분석해 본 결과, progesterone 수준이 2.0 ng/$m\ell$ 이상일 경우 수태율이 46.6%로 높게 나타났다. 3. 수란우의 혈중 Total cholesterol은 90~110mg/㎗, BUN은 14~16 mg/㎗, Glucose 수준은 70~80 mg/㎗에서 가장 높은 수태율을 나타내어 이들 혈중 대사물질이 수태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