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씻기 행태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인의 비누로 손씻기 실천율 및 융복합적 관련요인; 2013년 국민 손씻기 관찰조사 (The Status of Handwashing with Soap and its Convergent related Factors in Korean People ; based on Korea National Handwashing Observation Survey, 2013)

  • 황혜정;이무식;양남영;홍수진;김영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217-224
    • /
    • 2015
  • OBJECTIVES 우리나라 국민들의 손씻기 실천률은 선진국에 비해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 연구는 비누로 손씻기와 관련한 공중 화장실 이용시 행동 실태 및 관련요인을 분석고자 하였다. METHODS 2013년 9월 10일부터 9월 12일까지 우리나라 특 광역시 지하철역 및 기차역의 화장실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3년도 국민 손씻기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RESULTS 비누로 손씻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행정구역(OR 0.490-2.255), 용무유형(소변 1.000, 대변 2.505), 물기제거방법(OR 0.497-3.107) 등이 도출되었다. CONCLUSIONS 연구의 결과는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국가 손씻기 증진 활동 및 사업의 기본적인 근거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COVID-19 이후의 손씻기 행태와 관련된 요인 융복합 연구 (Integrated Study on Factors related to Hand Washing Practice after COVID-19)

  • 김영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85-91
    • /
    • 2022
  • 손씻기는 COVID-19 방역 지침에서도 강조하듯이 거리두기 및 마스크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감염수칙이다.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손씻기 실천율 향상을 위한 접근방법을 모색하고자 손씻기 실천에 영향을 주는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전국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관련성을 탐색하였으며, 유의한 변수를 이용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손씻기 실천율은 여성, 고학력, 저연령, 도시, 사무직, 실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할수록, 주기적 환기를 할수록, 주기적 소독을 할수록, 건강거리를 유지할수록 손씻기 실천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했다. 본 연구 결과는 손씻기 실천율의 관련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COVID-19 방역 지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청소년의 학교 내 손씻기 미실천율과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for Not Washing Hands at School among Adolescents)

  • 사공효진;이유미;최은숙;김건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7권1호
    • /
    • pp.14-26
    • /
    • 2022
  • 본 연구는 2019년 제15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에서 학교에서의 손씻기 미실천율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교에서의 손씻기 실천은 성별, 도시 규모, 학년, 학교 유형, 학업 성적, 경제적 상태, 집에서의 손씻기 실천, 연간 개인위생교육 경험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청소년의 학교 내 손씻기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손씻기 실천 관련요인들을 고려한 지속적인 개인위생교육과 함께 손씻기를 용이하게 하는 적절한 환경과 문화 조성이 필요하다.

한국 학생의 손씻기 실천과 감염병 이환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andwashing practices and infectious diseases in Korean students)

  • 장동방;이무식;홍수진;양남영;황혜정;김병희;김현수;김은영;박윤진;임고운;김영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0권4호
    • /
    • pp.206-220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의 손씻기 실천과 감기, 설사, 눈병, 식중독 등의 감염성 질환 이환과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손씻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교 청소년의 손씻기 실천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전국 16개 시도에 거주 중인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학생을 대상으로, 가구방문을 통한 방문면접과 온라인 조사를 9월 5일부터 9월 25일까지 시행하였다. 조사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손씻기 실태 및 손 씻는 방법을 독립변수로, 감기, 설사, 눈병, 식중독 등의 질병감염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카이제곱검정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식중독을 제외한 감기, 설사, 눈병 등의 질병감염 경험이 학년이 높을수록 많았다. 특히, 감기 감염경험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에서, 비누와 물을 사용한 손씻기보다 물 또는 손소독제만 사용한 군에서, 손등을 씻는 군보다 손등을 안 씻는 군에서 감기 경험률이 높았다. 손씻기 실태조사 및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서 학년이 높을수록 손씻기 실천이 낮은 점을 고려할 때, 이 연구에서 학년이 높을수록 질병감염 경험률이 높고, 특히 감기감염경험의 경우 손씻기 방법이 좋은 군일수록 경험률이 낮은 것은 기존연구와 마찬가지로 손씻기가 감기와 같은 감염병의 예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청소년은 집단생활로 인한 감염병 질환의 위험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학교 내에서 청소년의 비누를 사용한 올바른 손씻기를 교육하고, 실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와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에서 개인위생 교육 경험과 손씻기 실천의 연관성 (An Experience of Personal Hygiene Education and Hand-washing Practices among Adolescents in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민준원;장영서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43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personal hygiene education and hand-washing practices among adolescents. Then the impact of such factors on the hand-washing practices was analyzed. Methods: The data of the 2012 Youth Heal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ollected by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was analyzed using SPSS. Total 74,186 of middle and hish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Uni-variate analysis was done by complex sample crosstabs and multi-variate analysis was done by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26.8% of students experienced personal hygiene education. The students of boys, low school grade, coeducation, metropolitan, high school record and high economic status experienced more hygiene education. The hand-washing practices were high in the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personal hygiene education.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hand-washing practice, the experience of personal hygiene education was consistently significant. If students experienced the personal hygiene education, they showed 20~30% more rates of hand-washing practices. Conclusions: Hand-washing practice was high when experiencing personal hygiene education. The personal hygiene education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rate of hand-washing practices.

  • PDF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활용한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손씻기 실천율 변화 (Changes in Hand Washing Practice Rate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채여주;양승경;하영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23-13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hand washing practice among adolescent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15th~16th (2019~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7,303 and 54,948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2019 and 2020 study,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est, rao-scott 𝑥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7.0. Results: Changes in the hand washing practice rate were observed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all five behaviors; before eating in school, after using the toilet in school, before eating at home, after using the toilet at home, and after returning home. The study found that the hand washing practice rate increased by 1.21-2.43 tim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hand washing practice rate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was related to gender, region, school grade, school type, economic status, health status, and personal hygiene education experienc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hand washing education to improve the hand washing practice rate in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effective youth hand washing educat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various variables that appeared a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hand washing practice rate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칫솔질 지도여부에 따른 아동과 교사의 구강보건행태 (The Oral Health Behaviors for Children and Teachers by Teacher-Supervised Toothbrushing in Community Child Center)

  • 신선정;장정유;김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72-582
    • /
    • 2012
  •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개인의 행동 변화, 물리적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교사의 역할과 책임을 고찰하고자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양치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센터와 그렇지 않는 센터와의 구강건강증진에 대한 견해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상적으로 교사가 칫솔질을 지도하는 센터의 아동들이 급식 후 칫솔질 실천율이 높았고, 간식 후 칫솔질 칫솔질 또는 물양치를 실천하는 비율이 높았다(p<0.05). 또한 이를 교사가 지도하는 빈도는 일상적으로 칫솔질을 지도하는 센터의 경우 '항상 또는 자주 지도'하는 비율이 높았고, 더불어 치약의 사용량과 칫솔관리 및 보관 등 구체적인 구강건강관리 내용을 지도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일상적으로 칫솔질을 지도하지 않는 센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불량한 칫솔을 교체하지 못하는 아동의 비율이 40.0% 이상인 지역아동센터가 전체의 24.4% 수준이었고, 그 사유로는 대부분 부모의 관심부족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칫솔질 지도여부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건강관련 보건행동은 칫솔질 지도여부와는 상관없이 일 평균 간식은 1회 정도 제공하며, 간식의 종류는 우식성 식품과 비우식성 식품을 반반 정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아동의 착한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일상적 또는 때때로 단것을 제공하는 비율이 각각 47.0%, 52.3%로 나타났다(p>0.05). 4.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칫솔질을 지도여부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교사들의 구강보건지식 수순은 높았고, 본인들의 칫솔질 실천도 일 평균 3회 정도로 높았으며, 회전법으로 칫솔질을 실천하고 있었다(p>0.05). 5.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환경 개선에 대한 견해는 칫솔질 지도여부와 상관없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건강증진 주체를 아동복지교사로 생각하고 있었으며(73.4%), 칫솔질 및 손씻기 용의 세면대 개선(77.2%)을 요구하였고, 대부분의 보건 프로그램을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중 양치와 손씻기 등 개인위생에 관한 내용의 요구도(100.0%)가 높았다. 뿐만 아니라 치과검진과 치과치료 연계(100.0%) 등 직접적인 치과의료 서비스제공의 요구도도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의 올바른 구강건강관리 행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도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지역사회 내에서 교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마련뿐 아니라 사회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