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손상 폭

Search Result 18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Damage Assessment Technique for Bridges Using Conjugate Beam Theory (공액보 방법을 이용한 교량 손상도 평가기법)

  • Choi, Il Yoon;Choi, Eunsoo;Lee, Jun Suk;Cho, Hyo N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5 no.6 s.67
    • /
    • pp.603-610
    • /
    • 2003
  • A damage identification technique using static displacement data is developed to asses s the structural integrity of bridge structures.As such,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ic displacement and stiffness is derived, and the optimization technique utilized.Comparisons with numerical and experimental tests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Various damage scenarios are considered by varying damage-width as well as damage-degree. The influence of noise in identifying the damage is also numerically investigated.Finally, the applicability and limitation of the proposed method are discussed.

Quantitative Damage Index of RC Columns with Non-seismic Details (비내진상세를 가지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정량적 손상도 평가 기준)

  • Kim, Kyung-Min;Oh, Sang-Hoon;Choi, Kwang-Yong;Lee, Jung-Han;Park, By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7 no.6
    • /
    • pp.11-20
    • /
    • 2013
  • In this paper, the quantitative damage index for reinforced concrete (RC) columns with non-seismic details were presented. They are necessary to carry out the postearthquake safety evaluation of RC buildings under 5 stories without seismic details. The static cyclic test of the RC frame sub-assemblage that was an one span and actual-sized was first conducted. The specimen collapsed by the shear failure after flexural yielding of a column, lots of cracks on the surfaces of columns and beam-column joints and the cover concrete splitting at the bottom of columns occurred. The damage levels of these kinds of columns with non-seismic details were classified to five based on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by the test result. The residual story drift ratios and crack widths were then adapted as the quantitative index to evaluate the damage limit states because those values were comparatively easy to measure right after earthquakes. The highest one among the residual story drift ratios under the similar maximum story drift ratio decided on the residual story drift ratio of each damage limit state. On the other hand, the lowest and average ones among the respective residual shear and flexural widths under the similar maximum story drift ratio decided on the residual shear and flexural widths of each damage limit state, respectively. These values for each damage limit state resulted in being smaller than those by the international damage evaluation guidelines that are for seismically designed members under the same deformations.

Incidents Study in Pipelines (외국 배관손상 사례분석)

  • 김우식;김철만;홍성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12 no.3
    • /
    • pp.185-191
    • /
    • 1997
  • 현재 우리나라에는 상당량의 천연가스 배관 및 송유관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고 그 길이는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관은 배관건설공사 및 공사후 유지, 보수 관리시 배관의 파괴와 관련된 여러가지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작용하는 다양한 요인이나 배관 내부요인에 의해 배관이 완전한 파단까지는 이르지 않더라도 손상을 받는 경우가 생긴다. 배관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때 그 원인을 규명하고 처리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것들을 사전에 미리 예방하고 손상해석을 올바르게 하는데 필요한 것이 배관손상사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이다.

  • PDF

Development of Flood Depth-Damage Functions (침수피해시 공공건물에 대한 손상함수 개발)

  • Lee, Chang Hee;Kim, Sang Ho;Hwang, Shin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0-440
    • /
    • 2018
  • 홍수피해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발생 시기가 불규칙해짐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홍수위험관리가 요구되며, 최적의 홍수피해저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홍수피해저감 대책들에 대해서 비용대비 피해저감효과 분석이 필요하다(FLOODsite, 2007). 홍수피해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리 수문학적 분석을 통한 피해범위와 침수심 등 피해규모를 분석함과 함께 피해규모에 따른 홍수피해액 추정이 가능해야 하며, 이를 통해 홍수피해저감 대책에 대한 비용대비 효과분석 수행이 가능하다(Kim et al., 2014). 국내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 다차원법은 침수편입율을 산정하고 건물에 대해서 손상률에 해당하는 피해율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과 내용물에 대해 피해액을 추정할 수 있다(Choi et al., 2006a; Choi et al., 2006b; Yi et al., 2010). 그러나,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등 주택 이외 다른 용도의 건물에 대해서는 손상함수가 없어 우리나라 여건에 맞는 공공건물에 대한 손상함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피해지역의 자료들을 토대로 공공건물 용도별 침수심별 손상함수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공공건물에 대한 손상함수 개발을 위해서는 많은 피해자료의 수집이 필요하나, 실제 공공건물의 경우 다양한 건물유형으로 인하여 유형별 침수사례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로 인하여 현장조사에 의한 침수현황 조사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험가입자에게 사고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했을 때 그 손해액을 결정하고 보험금을 산정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손해사정사들을 통해 여러 가지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침수심별 손상률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건물에 대한 손상함수의 개발절차, 침수심별 손상함수의 개발결과, 보완과정 그리고 손상함수의 적용결과에 대한 국내외 기법과의 비교 결과를 제시하였다. 적용결과 본 연구에서 현장 조사 기반으로 개발한 손상률을 적용한 경우 국내 실제 피해액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다만 동일 건물용도(예컨대 공공업무시설)일지라도 바닥재 등 마감재 재질이 건물마다 다르며, 건물별로 공간 활용 여건이 다양하여 동일한 침수심에 대해서 피해액의 변동폭이 크게 발생 되어 동일한 침수심에 대한 피해내용이 달라져 변동폭이 크게 발생되는 한계가 발생하였다. 향후 보다 많은 피해사례를 지속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손상함수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oretical Analysis of Interface Debonding on the Strengthened RC Bridge Decks (성능향상된 RC 바닥판의 계면파괴 해석)

  • 오홍섭;심종성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5
    • /
    • pp.668-676
    • /
    • 2002
  • Especially, when orthotropic material such as uni-dierectionally woven Carbon Fiber Sheet, resisting only the unidirectional tension, is used to strengthening bridge deck, the direction and width of the strengthening material should be considered very carefully. Thus, analysis of the failure characteristics and the premature failure mechanism of the strengthened decks based on the test results are required. In this study, the premature failure due to the interface debonding of strengthening material of the strengthened deck slab are inquired into failure mechanism through both experiments results and analyses with prototype strengthened deck specimens using carbon fiber sheet. From the test results, interface debonding of strengthening material is occured at the crack face

Residual Seismic Capacity Evaluation of RC Frames with URM Infill Wall Based on Residual Crack Width and Damage Class (잔류균열폭 및 손상도에 기초한 무보강 조적벽체를 갖는 RC 골조의 잔존내진성능 평가)

  • Choi, Ho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13 no.5
    • /
    • pp.41-50
    • /
    • 2009
  • Following an earthquake, the major concerns for damaged buildings are their safety/risk in the event of aftershocks, and thus a quantitative damage assessment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ir residual seismic capacity and to identify necessary actions for the damaged buildings. Post-event damage evaluation is therefore as essential for the quick recovery of a damaged community as pre-event seismic evaluation and strengthening of vulnerable building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ost-earthquake seismic evaluation method for RC frames with URM infill wall for typical school buildings. For this purpose, full-scale, one-bay, single-story specimens having different axial loads in columns are tested under cyclic loadings. During the tests, residual crack widths, which can also be found in damaged buildings, are measured in order to estimate the residual seismic capacity from the observed damage.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residual crack width and the residual seismic capacity is discussed analytically and experimentally, and reduction factors are proposed to estimate the residual seismic capacity based on the observed damage level.

Numerical Analysis of Load Carrying Capacity of RC Structures Based on Concrete Damage Model (콘크리트 손상 모델을 적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구조내력 해석)

  • Woo, Sang Kyun;Lee, Yun;Yi, Seong 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6 no.5
    • /
    • pp.121-128
    • /
    • 2012
  • In this paper, nonlinear analysis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line is perform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ilure, which are depend on loading conditions and concrete material models. On the numerical evaluation for the failure behavior,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s applied. For the concrete material model, microplane model based on concrete damage is introduced. However, to describe the crack bridging effect of long and short fiber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C), tensile softening model is suggested and applied for SFRC. An numerical results by finite element technique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 results for box culvert specimen. Comparing on the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numerical analysis are investigated.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machine for upland-crop production (밭 농업 제초기 개발을 위한 기초설계)

  • Kim, T.W.;Lee, H.J.;LEE, S.H.;KIM, J.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2-82
    • /
    • 2017
  • 현대농업에서 잡초를 조기에 제거하지 못할 경우 작물의 성장에 장애를 초래하므로 제초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친환경 고품질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고품질 농산물에 대한 가격 차별화 등으로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재배가 주목을 받고 있다. 제초제는 농작물에 따라 분류가 되어있어 종류마다 효과가 다르고 사용방법이 종류에 따라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기가 쉽지 않아 이에 따른 피해 또한 무시 할 수 없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제초기는 굴곡이 있는 고랑의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워 밭작물 제초작업에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밭작물 재배 기간에 행해지는 고랑의 제초작업은 평지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하고 일반적인 제초기로는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렵다. 또한 제초 작업시 농작물 피해와 멀칭 비닐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 하고 있다. 따라서 밭작물에 효율적인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굴곡이 있는 지형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제초기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밭작물용 제초기를 개발하기 위해 굴곡이 있는 고랑의 잡초 제거가 가능한 제초날의 형상 설계가 우선되어야 하며, 고랑의 잡초제거를 위한 제초날 형상설계를 하기 위해 우리나라 주요 밭작물 재배지의 이랑 넓이, 고랑 깊이 및 고랑 폭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작물 대상은 양파, 마늘, 무, 배추, 고추, 당근, 감자 총 7가지 작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각 작물들의 이랑 넓이와 고랑 깊이 및 폭의 평균치를 구하여 제초날 설계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범위가 있는 수치는 높은 수치를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고랑의 평균 폭은 34.2cm이고, 고랑의 평균 깊이는 22.1cm가 나타났다.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제초날의 형상은 고랑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원형으로 설계를 하여야 한다. 형상 설계는 밭작물 고랑 평균직경 및 평균높이를 고려하고, 제초작업시 제초날이 작물 및 멀칭비닐의 손상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직경은 고랑 평균 폭의 75% 정도 치수로 형상을 설계하고, 제초날 깊이는 고랑의 굴곡형태을 고려할 때 제초날 반경의 70%정도로 설계하여 원형제초날 폭 250mm, 제초날 깊이 87.5mm로 설계해야 할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Crack Propagation Analysis Using the Concept of an Equivalent Plastic Hinged Length (등가소성힌지개념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균열진전해석)

  • Park, Si-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3 no.1 s.53
    • /
    • pp.115-124
    • /
    • 2009
  • In this study, a numerical analysis technique was newly developed to evaluate the damag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concrete structures. To do this, numerical techniques are incorporated for the concrete members up to the compressive damage due to the bending compressive forces after the tensile crack based on the deformation mechanism. Especially, for the compressive damage stage after the tensile crack, the crack propagation process will be analyzed numerically using the concept of an equivalent plastic hinged length. Using this concept, it can be established that section forces, such as axial forces and the moment cracks takes place, can be related to the width of the crack making it possible to analyze the crack extension.

Fatigue Analysis of Composite Materials (복합재료의 피로해석)

  • 이창수;황운봉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5
    • /
    • pp.372-383
    • /
    • 1994
  • 복합재료의 피로특성과 해석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복합재료의 피로현상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앞에서 소개한 방법외에 파단모드별 연구, 역학에 기초를 둔 해석법, 유한요소법의 적용, 혼성복합재료(hybrid composites)의 피로수명 예측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 행중이나, 아직 정립된 피로수명 예측식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재료의 손상을 나타내는 매개 변수로서 강성변화의 유용성이 밝혀진 상태이므로 앞으로 이를 이용하여 실제의 현상을 표현할 수 있는 손상함수의 구성과 피로수명 예측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