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상개시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9초

균온처리 냉동기법 - 식품냉동시 내부압력에 의한 조직 파괴에 관한 기초 연구 - (Thermal equalized freezing process - A basic research on the destruction of tissues by internal pressure during freezing of foodstuffs -)

  • 정진웅
    • 식품기술
    • /
    • 제25권2호
    • /
    • pp.116-128
    • /
    • 2012
  • 식품동결에 의한 품질손상에 있어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의 하나가 체적변화에 의한 조직 파괴이므로 식육 및 과채류의 냉동시 내부압력에 따른 조직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다양한 동결방법에 따른 내부압력 변화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급속 및 완만동결시 우육의 내부압력 변화 경향은 동결 직전에 급격히 상승한 후 동결 초기부터 최대빙결정생성대를 통과하는 동안은 급격히 감소하다가 다시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압력변화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여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고, 동결시의 내부압력 크기는 약 8~10 psig 수준이며, 내부압력의 변화 경향은 정지공기식보다 침지식에서 약 1 psig 정도 크게 나타났다. 냉동냉장시에 일어나는 내부압력의 상하변화는 돈육의 품온차가 ${\pm}1^{\circ}C$일 때, 시료중량에 따라 1.84~2.32 psig 정도의 내부압력 차가 반복적으로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돈육의 해동시 내부압력은 해동 개시 후 급격히 상승하여 5분 이내에 최고압력에 도달한 이후에는 서서히 하강하였으며, 해동시에 발생한 내부압력의 값은 동결시의 내부압력 값보다도 대부분 크게 나타났다. 또한, 균온처리한 우육의 동결시 내부압력 값은 약 1~4 psig 수준으로 균온처리하지 않은 우육에 비하여 매우 적게 나타났으며, 동결소요시간도 약 10~20% 정도 짧게 나타났다. 그리고 균온처리 및 다양한 동결방법에 따른 동결식육의 조직과 냉동냉장 중의 품질변화를 비교 검토한 결과, 동결방법에 따른 드립손실율은 우육의 경우 정지공기식으로 처리한 시료는 타 처리구에 비해 계속 높게 나타났으며, 돈육은 우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드립손실량이 적게 나타났으나 송풍식으로 처리한 시료에서 저장 40일째, 7.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동결 우육 및 돈육의 pH변화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VBN 및 TBA값에 있어서는 균온 처리한 시료가 완만 및 급속동결 처리한 타 시료에 비해 저장 200일까지 가장 변화가 없었다. 동결저장온도의 상하변동에 있어서는 온도변동 횟수가 증가할수록 pH 및 수분함량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드립손실율, VBN 및 TBA값은 온도 변동횟수가 증가할수록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 PDF

AE를 이용한 복합재료 T 조인트부의 파괴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acture Behavior of Composite Laminated T-Joints Using AE)

  • 김재훈;안병욱;사정우;박병준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7-287
    • /
    • 1999
  • 탄소섬유 복합재료 T 조인트 시험편에 대한 접착특성 및 파손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순인장 및 하중-제하 인장시험이 수행된다. 시험편은 스킨과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동시성형과 2차 접착법에 의한 두 종류의 시험편이 제작된다. 단순인장시험동안 시험편의 손상 개시 및 진전시에 AE 특성을 측정하였고, 하중-제하 인장시험동안 진전된 균열길이는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또한 시험편 내부의 크랙면 윤곽에 대한 조사는 초음파 C-scan이 사용된다. AE 신호가 급격히 증가하는 하중과 하중-시간 곡선에서 하중강하점은 5% 이내의 오차로 비교적 잘 일치한다. 두 종류의 시험편의 초기균열은 동일한 위치인 중앙 누들부에서 발생되나 최종파단은 동시성형의 경우, 누들부에서, 2차 접착의 경우, 스킨/프레임 끝단에서 일어난다. 이런 결과로부터 두 종류의 시험편은 성형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파손 모드를 보인다.

  • PDF

탄닌함량에 따른 도토리전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Effect of tannin conten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orn starch)

  • 안호경;최형택;김병용;오두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4호
    • /
    • pp.301-306
    • /
    • 1990
  • 탄닌함량이 도토리전분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탄닌함량을 달리한 도토리전분에서 비교 검토하였다. 탈탄닌 처리에 따른 전분 표면의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탄닌함량은 도토리전분의 호화개시온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최고점도값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모든 시료전분의 유동거동지수값은 1보다 작았고(0$2.19{\sim}2.69Kcal/g\;{\cdot}\;mol$, 탈탄닌전분이 $2.31{\sim}3.33Kcal/g\;{\cdot}\;mol$, 탈지 및 탈탄닌전분이 $2.09{\sim}3.58Kcal/g\;{\cdot}\;mol$이었다. 전분호화액의 시간 의존성에서는 전분시료 모두 전단속도의 연속적인 증가와 감소에 따라 전단응력이 변화하는 thixotropic 거동을 보여주었으며 두개의 유동곡선은 서로 일치하고 않고 hysteresis loop을 형성하였다.

  • PDF

지방함량 변화에 따른 도토리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Effect of lipid conten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orn starch)

  • 안호경;길훈배;유해의;오두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4호
    • /
    • pp.293-300
    • /
    • 1990
  • 토토리전분의 지방합량 변화에 따른 이화학적 성질 변화를 건조전분, 탈지전분 및 지방산재첨가전분을 제조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탈지와 지방산재첨가에 의한 전분 표면의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건조전분, 탈지전분 및 지방산재첨가전분의 팽화력과 용해도는 측정온도 범위내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증가하였으나 지방산재첨가전분의 경우 두 전분에 비해 그 값이 낮았다. 호화양상의 경우 전처리 조작에 따른 호화개시온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최고점도값과 breakdown값에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전분의 유동형태는 시료전분 모두 유동거동지수값이 1보다 작고(0$2.19{\sim}2.69Kcal/g\;{\cdot}\;mol$, 탈지전분이 $2.79{\sim}3.75Kcal/g\;{\cdot}\;mol$, 지방산재첨가전분이 $1.70{\sim}2.11Kcal/g\;{\cdot}\;mol$이었다.

  • PDF

파킨슨병 환자의 Handwriting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학습 전략에 대한 문헌 고찰 (A Review of the motor learning stratige to improve handwriting 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 유연환;박진혁;이주현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1호
    • /
    • pp.29-38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handwriting에서의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운동학습 전략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법 : 이를 위하여 파킨슨병 환자에게 발생하는 handwriting에서의 문제점인 소자증(Micrographia)을 치료한 국내 외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결과 : 소자증을 개선하기 위해 파킨슨병 환자에 적용하는 운동학습 방법 중 외적단서와 되먹임 전략을 주로 적용한다. 이는 기저핵 손상으로 인한 내적 동기체계의 문제와 운동 개시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외적단서는 시각적 청각적 언어적 단서 등을 이용하였고, 되먹임은 주로 시각적 자극을 이용하였다. 외적단서와 시각적 되먹임을 제시하는 동안 소자증을 가진 환자의 글자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일부 연구에서는 단서 제거 후 짧은 기간 동안 쓰기과제 수행이 유지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결론 : 앞으로 운동학습의 효과가 장기간 유지되는 전략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온 수침처리가 습식제분 쌀가루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vated Steeping Temperature on Properties of Wet-milled Rice Flour)

  • 김상숙;강경아;최소연;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14-419
    • /
    • 2005
  • 실온 이상의 온도(40, 50, 50℃)에서 햅쌀과 저장 쌀을 가온 수침하여 습식제분한 쌀가루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습식처리한 쌀가루는 모두 30% 이상의 수분을 지니고 있었으며, 60℃에서 수침을 한 쌀가루가 40℃, 50℃수침에 비해 수분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쌀가루의 L값은 햅쌀로 제조한 쌀가루에서 약간 높았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저장 쌀이 햅쌀 백미로 만든 쌀가루보다 높게 나타났다. 햅쌀과 저장 쌀 모두에서 쌀가루의 WAI, WSI 및 gel consistency는 수침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Amylograph peak viscosity, hot paste viscosity, 그리고 cold paste viscosity 모두 수침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저장 쌀 시료에서 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DSC호화개시온도 및 호화정점온도는 수침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호화엔탈피는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다. 쌀가루의 입도 분석 결과 저장 쌀이 햅쌀로 제조한 쌀가루에 비해 작은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햅쌀의 경우 수침온도가 60℃, 50℃, 40℃순으로 입도분포가 큰 경향을 보여주었다. SEM에 의한 쌀가루의 미세구조 관찰 결과 수침 온도의 증가에 따라 입자 크기의 증가와 손상된 쌀가루 표면이 관찰되었다.

몸통교정테이핑 융합치료가 뇌졸중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및 안정성, 팔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trunk correction taping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stability,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박신준;조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11-419
    • /
    • 2017
  • 본 연구는 어깨뼈 설정 운동과 몸통 교정 테이핑 융합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몸통 균형 및 팔 기능개선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환자 20명을 연구군(테이핑+어깨뼈 설정) 10명과 대조군(어깨뼈 설정) 10명으로 나눈 뒤 4주간 주당 30분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군은 몸통 교정 테이핑을 적용받았고 동시에 어깨뼈 설정운동을 받았다. 측정은 몸통 근활성도, 몸통손상척도(Korean version Trunk Impairment Scale, K-TIS), 팔 기능검사 (Manual Function Test of upper extremity, MFT)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 연구군에서 몸통 근활성도, K-TIS, MFT 점수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5), 대조군 보다 K-TIS와 MFT 점수에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어깨뼈 설정 단일 운동 보다 몸통 교정테이핑 융합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몸통 균형 및 팔 기능개선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개별 근수축 개시시간(onset time)에 관한 변화를 확인한다면 더욱 임상적 의의가 있겠다.

파괴인성의 축소모형실험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Fracture Toughness for Scaled Model Test)

  • 김종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0권1호
    • /
    • pp.87-97
    • /
    • 2020
  • 암석의 파괴인성은 발파, 굴착 등으로 인한 균열의 개시와 전파를 나타낼 수 있는 상수이다. 터널의 거동, 석회석 광산의 안정성 평가 등에 축소모형실험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축소모형을 통해 발파로 인한 손상영역평가도 이뤄지고 있는데, 파괴 관련 인자에 대한 축소율 적용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CT(diametral compression test) 값과 유한요소법인 ATENA2D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암석의 파괴인성에 축소율을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암석의 파괴인성에 이론적으로 계산된 축소율을 적용한 값과 DCT 시험결과 및 수치해석 결과가 각각 0.21~0.46, 0.40, 0.99MPa ${\sqrt{m}}$ 로 편차가 있으므로 암석의 파괴인성에 축소율을 적용 시에는 이 세 가지 값을 고려하여 적합한 축소율을 도출해야 하고, 축소모형 제작 시 축소율 적용 대상이 되는 길이, 시간, 질량과 함께 이로부터 산출되는 일축압축강도, 밀도 등의 주요 설계인자들의 축소율이 적용된 값을 함께 검토해야 할 것이다.

내열성 불소수지 코팅막의 열 안정성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into the Thermal Stability of Fluoropolymer Coating for Heat-Resistant Application)

  • 조혜진;류주환;변두진;최길영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96-101
    • /
    • 2005
  • PTFE 및 PFA 등의 불소수지는 최대 연속 사용 온도가 260$^{\circ}C$에 달하는 고온 내열성 고분자 소재로서, 본 연구에서 수행된 280 $^{\circ}C$, 7주 간의 열노화에 의해서도 충분한 열적 안정성이 유지됨을 관측하였다. 그러나 기계적 강도, 융점 및 열분해 개시 온도 등의 소재적 물성이 유지됨을 의미하는 상기한 열적 안정성은 본 연구에서 수행된 코팅막으로서의 표면접촉각, 미세 모폴로지, 내스크래치성 분석에 의한 방법을 기준하면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공기 치환율이 제어되는 기어식 노화시험기로 진행된 불소수지 코팅막의 280 $^{\circ}C$ 열노화에 대한 분석의 결과는 심각한 표면 모폴로지의 손상과 금속기재에 대한 접착력의 손실을 지적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확률론적 탄산화 예측 모델 개발 및 내구성 해석 (Durability Analysis and Development of Probability-Based Carbonation Prediction Model in Concrete Structure)

  • 정현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4A호
    • /
    • pp.343-352
    • /
    • 2010
  • 최근에 탄산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량적인 사용수명과 장기적인 성능을 확보하고 예측하기 위해서 확률론적인 내구성 해석 및 설계를 수행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확률론적 내구성 설계 개념을 도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탄산화 콘크리트 구조물의 통계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Fick의 첫 번째 법칙에 근거한 탄산화 예측 모델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확률론적 내구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예측모델에 관련된 설계변수인 $CO_2$ 확산계수, 대기중의 $CO_2$ 농도, $CO_2$ 흡착량, 시멘트 수화도 등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확률론에 기초한 탄산화 예측모델은 여러 환경에 위치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탄산화 깊이와 잔존수명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로 본 연구에서 합리적인 탄산화 예측모델을 이용한 적용 방법은 탄산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확보 및 구조물의 손상 개시시기를 예측하고 구조물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유연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