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속속곳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조선후기 여자속옷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men′s Underwear in the Later Chosun Dynasty)

  • 윤현진;조우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69-183
    • /
    • 2004
  •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women's underwear culture in the Later Chosun Dynasty, by investigating the kinds and constructions of them, which formed bulky and puffed silhouette of the lower half of the body. In the middle 17th century in Chosun, Confucianism settled down as fundamental idea of society, while whole country achieved considerable economic growth. As a result for upperclass women, female virtues was demanded more than any other period in Chosun. On the other hand, lower-class women including Kisaengs, had more freedom on their cloth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on women's dress institutions and restrictions of the extravagance, the use of kinds of high-quality silk and false hair was criticized, compared to women's clothes in China. From this, one can see the luxury and affluence of women's clothes at that time, which also reflected in luxurious underclothes. Also, the movement of class, by economic development, led to changes in the costumes of middle-to-lower class women, relaxing restrictions on clothes. Underclothes included Bosomband(가슴띠; long sashes for bosom to wrap), Sokjucksam(속적삼), and Sokchogori(속저고리; Korean blouse, worn under the chogori) for upper garment, and Darisokkok(다리속곳; basic underwear like the panty), Soksokkot(속속곳; underwear paji to be wide of hem), Sokpaji(속바지;trouser front and back opening), Tansokkok(단속곳; large size underwear like Soksokkot), Noronpaji(너른바지; paji like the skirt or paji bulky than tansokkot,), Mujigi무지기; tiered skirt for underwear), and Daeshumchi'ma(대슘치마; Korean underskirt, shape hem as a pad into form) for lower clothes.

  • PDF

설화에 나타난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인물 형상 (The Character Figuration of Yeoheon Jang Hyungwang in the folk tales)

  • 장정수
    • 동양고전연구
    • /
    • 제57호
    • /
    • pp.41-66
    • /
    • 2014
  • 본고에서는 여헌을 주인공으로 한 설화를 대상으로 하여 설화 전승의 주체인 민중들이 여헌을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현전하는 여헌 관련 설화는 무례한 관찰사 아들을 너그럽게 용서한<장현광의 소탈한 성품>, 의성 현령(縣令) 시 오월비상(五月飛霜)을 예견해 냉해를 막아낸 <여헌 선생의 예언>, 충북 보은의 '치마바위'와 청송 '여헌대'의 지명 유래 설화인 <치마바위>와 <여헌대> 4종밖에 되지 않는다. <장현광의 소탈한 성품>은 초라한 행색을 한 자신을 몰라보고 무례하게 군 젊은이를 너그럽게 용서하고 '검소함'과 '겸손'을 깨우쳐 주는 대학자의 소탈하고 너그러운 인품을 보여 준다. <여헌 선생의 예언>에는 백성들을 유교적 도덕으로 교화시키며, 백성들의 생업을 진작하기 위해서 힘쓰는 애민의식이 투철한 목민관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치마바위>는 아내가 백성들로부터 전별 선물로 받은 비단 속곳마저 돌려주도록 한 청렴결백한 관리의 모습을 형상화하였으며, <여헌 선생의 예언>과 <여헌대>에는 앞날을 예견하는 비범한 도학자의 모습이 그려지고 있다. 이들 설화는 대체로 그의 성품이나 행적, 실제 사건 등을 토대로 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데, 설화 속의 여헌의 형상은 '검소하고, 겸손하며, 도량이 넓고, 주역에 통달하였으며, 도덕적 경세관(經世觀)을 실천한' 그의 실제 모습에 근접해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