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속도 분포

Search Result 4,889,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Effect of turbulence intensity and settling velocity on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부유사의 입도분포에 난류 강도와 침강속도가 미치는 영향)

  • Byun, Jisun;Son,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8-308
    • /
    • 2020
  • 유사는 이동 형태에 따라 소류사와 부유사로 구분된다. 하천의 흐름을 통해 이동하는 유사의 대부분은 부유사의 형태로 이동하며, 부유사의 부유 거동은 난류 강도와 유사 입자의 침강 속도로 인해 결정된다. 이에 따라 부유사의 부유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침강 속도의 산정과 난류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유사의 침강 속도는 밀도와 크기로 대표되는 유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하천에서 부유사가 여러 크기를 갖는 유사 입자들이 혼재된 형태로 이동하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침강 속도의 분포를 이해하기 위해서 입도 분포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 입자의 입도 분포에 난류 강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모래의 입도 분포가 로그 정규 분포를 따를 것이라는 가정을 적용하여 난류의 영향을 고려하는 부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이 개발되었다. 부유사의 입도 분포는 흐름의 유사 이송 능력에 따라 분포의 표준 편차와 같은 물리량이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흐름 내 유사의 이동과 흐름의 유사 이송 능력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개발되는 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은 유사 이동 모형과 결합된다.

  • PDF

선박접안속도 실측값의 확률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 Lee, Sang-Won;Jo, Jang-Won;Jo, Ik-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20-322
    • /
    • 2018
  • 선박이 부두의 계류시설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접안에너지는 해당선박의 접안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접안속도가 과다할 경우 부두에 접촉하는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각각의 부두 특성에 맞는 적절한 접안속도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박접안속도의 경우, 일반적으로 대수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검증이나 연구가 없어 해외의 사례를 바탕으로 설계접안 속도를 설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두의 선박접안속도를 설계하기 위한 통계학적인 접근으로 접안속도의 실측데이터를 토대로 그 빈도수를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하여 각각의 확률분포도와 비교 분석하고, 확률분포에 대한 검정법으로 K-S (Kolmogorov-Smirnov Test) 검정, A-D(Anderson-Darling) 검정, Q-Q(Quantile-Quantile) Plot 등을 이용하여 접안속도 분포에 적합한 확률분포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선박접안속도의 빈도분포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대수정규분포 뿐만 아니라 Weibull 분포와 적합한 형태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과확률 개념에서의 접안속도의 예측치를 구하여 구해진 1/1000, 1/10000의 접안속도 예측치를 설계접안속도의 참고자료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Features of the Velocity Distribution and the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of Oil on a Low-velocity Piston (저속용 피스톤에 가해지는 오일의 속도분포와 정압분포 특성)

  • Park, Hei-Jae;Choi, Jae-Wook;Kim, Sang-Do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8 no.4
    • /
    • pp.450-45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sign a piston, part of a shock absorber, and the findings after examining the features of the velocity distribution and the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of oil on a low-velocity piston are as follow. The compression speed of oil passing through an 0.9 mm orifice was 0.0156~0.0642 m/s, and the velocity vector of the velocity distribution and the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had a greater tendency to rotate when the velocity increased. In case of the velocity vector of the velocity distribution and the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with an 0.8mm orifice, the speed changed secondarily, the second pressure-drop was observed and as for the distribution of the streamline around the orifice, a vortex was produced around the center. As for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oil passing from the compression cylinder to the compact pipe, the velocity was greater in orifice of small diameter. Also, the greater the pressure difference was between the compression cylinder and the compact cylinder, the greater the force it was upon the piston.

Effect of turbulence on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난류 강도에 따른 부유사의 입도 분포 변화)

  • Son, Minwoo;Byun, Jisun;Park, Byeo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48-248
    • /
    • 2019
  • 유사는 이동 형태에 따라 소류사와 부유사로 구분된다. 하천의 흐름을 통해 이동하는 유사의 대부분은 부유사의 형태로 이동하며, 부유사의 부유 거동은 난류 강도와 유사 입자의 침강 속도로 인해 결정된다. 이에 따라 부유사의 부유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침강 속도의 산정과 난류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유사의 침강 속도는 밀도와 크기로 대표되는 유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하천에서 부유사가 여러 크기를 갖는 유사 입자들이 혼재된 형태로 이동하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침강 속도의 분포를 이해하기 위해서 입도 분포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 입자의 입도 분포에 난류 강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모래의 입도 분포가 로그 정규 분포를 따를 것이라는 가정을 적용하여 난류의 영향을 고려하는 부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이 개발되었다. 부유사의 입도 분포는 흐름의 유사 이송 능력에 따라 분포의 표준 편차와 같은 물리량이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흐름 내 유사의 이동과 흐름의 유사 이송 능력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개발되는 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은 유사 이동 모형과 결합된다.

  • PDF

Comparison of the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genus Megaleranthis Ohwi with those of its relative genera (Ranunculaceae) (모데미풀속과 근연속들의 형태 및 분포 비교 (미나리아재비과))

  • Son, Dong Chan;Cho, Kyung Jin;Ko, Sung Chu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1 no.4
    • /
    • pp.315-323
    • /
    • 2011
  • To elucidate the taxonomic status of the genus Megaleranthis Ohwi, a monotype in Korea, its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and a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Megaleranthis was separately clustered from Trollius and Calathodes. Megaleranthis is morphologically different from Calathodes Hook.f. et Thomson in having petals, and from Trollius L. in having an involucre instead of a caulescent leaf under the flower and follicles with simple veins. The three genera above are distributed independently within Asia, although they can be found together at the boundaries where their distributions overlap: Trollius and Calathodes occur together between the Sichuan and Yunnan provinces in China, and Megaleranthis and Trollius can both be found on the northern edge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both a morphological and a distributional viewpoint, Megaleranthis should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genus different from both Trollius and Calathodes.

Statistical property of the velocity dispersion profiles of elliptical galaxies : dark matter versus MOND

  • Gong, In-Taek;Chae, Kyu-Hy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1
    • /
    • pp.44.2-44.2
    • /
    • 2015
  • 운동학적으로 측정된 질량과 측광으로 측정된 질량이 불일치하는 질량 불일치 문제는 현대천문학의 중요한 문제이다. 현재 이러한 질량 불일치에 대한 두 가지 해결책이 제시 되었다. 하나는 현대 표준우주론인 ${\Lambda}CDM$ 패러다임의 핵심 요소인 암흑물질, 다른 하나는 Milgrom에 의해 제시된 수정된 뉴턴역학(Modified Newtonian dynamics: MOND)이다. 두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나선형 은하의 회전속도 윤곽은 MOND와 잘 부합한다. 여기서 우리는 타원형 은하의 속도분산 윤곽을 분석한다. 속도분산 비등방성의 다양한 가정 하에 거의 구형인 2000여개의 SDSS 은하들의 예측되는 속도분산 윤곽을 계산하고, 이들로부터 얻어진 속도분산 기울기 분포를 15개의 $ATLAS^{3D}$ 구형 은하들의 관측된 분포와 비교하였다. 잘 정의된 하나의 interpolation function을 사용하는 MOND 모형에 의해서 단지 관측된 은하의 항성 질량 분포만으로 관측된 속도 분산 윤곽의 기울기 분포가 잘 설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표준 패러다임의 경우 관측된 속도 분산 윤곽을 설명하기 위해 개별적인 암흑물질의 양과 밀도 윤곽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향후 타원형 은하들의 개별적 속도분산 윤곽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Shel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3 Species Belonging to Genus Mytilus (Mytilidae: Bivalvia) in Korea (한국산 홍합속 (Mytilus) (홍합과 : 이매폐강) 3종의 형태 특성과 분포)

  • 제종길;장창익;이수형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6 no.1
    • /
    • pp.22-32
    • /
    • 1990
  • 홍합감시(Mussel Watch) 연구의 일환으로 1988년과 1989년에 남한 연안의 24곳에서 홍합(Mytilus)속에 속하는 종들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표본들의 패각의 형태 특성과 분포를 조사 분석한 결과 3종-홍합, 진주담치(M. edulis galloprovincialis), Mytilus sp. 로 밝혀졌다. 이 3종은 패각의 형태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지리분포와 서식지 수직분포에서도 나름대로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리분포에서는 수온이 수직분포에서는 종간 경쟁이 분포의 제한 요인인 것 같다.

  • PDF

Velocity Distributions Calculated from the Fourier Transforms of Ramsey Lineshapes (램지 신호의 푸리어 변환을 이용한 세슘 원자빔의 속도 분포 계산)

  • 박영호;오차환;김필수;권택용;신은주;이호성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52-53
    • /
    • 2003
  • 세슘 원자 주파수 표준기에서 사용되는 램지 방법은 세슘 원자 빔을 U-자형 마이크로파 공진기로 지나게 하여 마이크로파와 시간 간격을 두고 두 번 상호작용하게 함으로써 간섭형 원자 공진 신호를 얻는 방법이다(그림 1). 이 방법을 사용하면 그림 2와 같은 공진 신호를 얻는데 이를 램지 신호라 한다. 원자 주파수 표준기의 정확도 평가를 위해서는 사용된 세슘 원자 빔의 속도 분포를 알아야 하는데, 이 램지 신호를 이용하여 속도 분포를 구할 수 있다. (중략)

  • PDF

Change of Velocity Profile due to Introduction of Suspended-Sediment Particles in Turbulent Open-Channel Flow (부유사 입자에 의한 개수로 난류 유속 분포의 변화)

  • Yu, Kwon-Kyu;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357-361
    • /
    • 2005
  • 부유사 입자를 난류 흐름 중에 투입하면 유속의 연직 분포를 다소간 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1946년에 Vanoni가 Karman 상수의 감소를 제안한 이후 이것은 상당한 논쟁을 불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입자 추적유속계(PTV)를 이용하여 개수로 중의 난류와 유사의 속도를 직접 측정하고, 이 자료를 분석하여 부유사 입자가 개수로 난류의 유속 분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구명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의 측정 자료들과 그들의 주장을 재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부유사 입자는 Karman 상수를 다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감소 현상은 물과 유사의 상대적인 속도 분포로 설명할 수 있다. 다만 Karman상수의 감소 정도는 종래의 연구자들이 주장한 것보다 상당히 작다. 이처럼 차이가 나는 이유는 종래의 연구들이 Karman 상수의 산정 방법이나 이용한 자료의 선택에서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난류 중에 투입된 부유사는 마찰 속도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stimating Distribution of Human Mobility Speed (인간 이동속도의 분포 추정)

  • Lee, Jun-Seok;Song, Ha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309-312
    • /
    • 2014
  • 학문적 및 사회적으로 인간의 위치 예측이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 위치 예측을 실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의 기본으로 인간 이동 속도의 분포가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 단순위치, 장소 데이터 분석이 아닌 위치 데이터에서 파생된 인간의 이동속도를 전체구간, 즉 정지상태의 속도부터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최대속도까지가 아닌 이동 시 나올 수 있는 유효한 속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간 속도의 빈도를 계산하여 속도가 어떠한 확률분포를 따르는지, 그리고 확률 분포들 중 비교적 계산이 용이한 지수 분포와 어느 정도의 유사도를 가지는지 분석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