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화제

검색결과 514건 처리시간 0.033초

옥내소화전의 관리실태 조사연구 (A Study of on management of indoor fire hydrant)

  • 문석진;심규형;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8
    • /
    • 2011
  • 현재 국내 건축물은 일반주택, 빌라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에 소방시설을 적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소방시설의 활용은 이천물류창고 화재, 코리아 냉동창고 화재, 대구지하철 참사와 최근 부산의 고층 오피스텔 화재 등을 볼 때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이처럼 실제 화재시 소방설비가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아 인명과 재산피해 등이 계속해서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방시설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초기 소화에 중요하게 사용되는 옥내소화전의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그것에 대한 문제점을 데이터화하여 실제 화재시 소방시설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해결점을 찾고자 한다.

  • PDF

음식찌꺼기의 발효사료화시 수분조절제와 발효방법이 화학적 조성분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Chemical Compositions and Digestibilities of the Bulking Agents as a Moisture Control and fermentation Methods of food Waste)

  • 배동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4호
    • /
    • pp.100-110
    • /
    • 2000
  • 음식찌꺼기의 사료화를 위한 발효처리시 수분조절제로 이용되는 재료 (톱밥, 버섯폐재, 밀기울, 야자박 등)와 발효방법 (호기성파 혐기성)및 발효기간이 음식찌꺼기 사료의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일련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험설계는 농가 지도자료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참나무 톱밥과 소나무 톱밥의 NDF(중성세제 불용성 섬유)함량은 각각 건물기준 93.5%와 95.4%로써 사료로 이용하기는 어려운 재료라고 할 수 있다. 톱밥을 수분조절제로 50% 혼합하여 $30^{\circ}C$에서 2일간 호기성발효를 했을때 NDF 함량은 발효 전 재료에 비하여 12% 증가했고 in vitro DDM (인공반추위 건물소화율)은 48% 감소했다. 참나무 톱밥은 소나무 톱밥에 비하여 양호하였으며, 버드나무 톱밥(80%)과 밀기울(20%)을 혼합하여 팽이버섯재배의 배지로 이용된 후의 폐재는 톱밥류에 비하여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된 사료의 NDF함량과 건물소화율은 이용된 수분조절제의 NDF함량에 주로 관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버섯폐재를 밀기울로 대체 했을때 밀기울의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발효된 사료의 NDF함량은 직선적으로 감소했고 소화율은 직선적으로 증가했다. NDF함량이 높은 수분조절제를 이용한 호기성발효는 발효기간이 길어질수록 NDF함량은 증가되었고 건물소화율은 감소되었다. 그러나 밀기울 만을 이용하거나 밀기울이 함유된 수분조절제는 발효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다. 혐기성발효는 호기성 발효에 비해 전 처리구에서 NDF함량은 감소되었고 건물소화율은 향상되었다. 버섯폐재와 밀기울을 수분조절제로 이용하여 실온에서 30일간 혐기적으로 발효한 사료를 유기산 조성과 pH가를 기준으로 발효상태를 판정할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능성 소화불량증 (Functional Dyspepsia)

  • 송경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3-8
    • /
    • 2016
  •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우리나라 성인인구의 7.7%가 이환되어 있는 흔한 소화기 기능성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불편한 식후 충만감, 조기 포만감, 상복부 통증, 상복부 쓰림이다. 이런 증상들이 증상을 설명할 만한 기질적인 문제 없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대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위식도역류질환, 과민성 장증후군, 변비)과 공존할 때 더욱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과의 공존을 '중복 증후군'으로 칭한다. 중복 증후군 환자에서 불안, 신체화장애, 불면 등의 정신건강의학적인 문제가 보다 흔히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진료의는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이 공존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기저 정신건강의학적 문제를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위약효과는 40% 안팎으로 매우 큰 편이며, 위약대비 효과가 증명된 위장관 운동촉진제는 네 가지이다. 간혹 이러한 위장관 운동 촉진제의 장기간 투약은 비가역적이거나 치명적인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처방의사는 위장관 운동촉진제의 가능한 부작용과 연관된 위험인자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병적 위산역류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드물지 않으며, 위산분비억제제는 많은 부분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위장관 운동촉진제 만큼 효과적이다.

지속적인 생균제의 첨가가 돼지의 성장, 영양소 이용율, 혈중 요소태 질소 및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inuous Feeding of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Urea Nitrogen and Immune Responses in Pigs)

  • 길동용;임종선;전경철;김법균;김경수;김유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39-48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생균제의 지속적인 첨가에 의한 돼지에게 있어 성장능력, 영양소 소화율, 혈중 요소태 질소량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처리는 대조구, 대조구 사료에 0.1%의 생균제 첨가구(P-O.I), 대조구 사료에 0.2%의 생균제 첨가구 (P-0.2)로 하였다. 사양실험에서는 21 일령에 이유한 총 60마리 의 돼지(펑균 체중 6.17 $\pm$ 0.45 kg)를 공사하여 성별 빛 체중에 따라 난괴법에 의해서 배치하였다. 옥수수 대두박 위주의 실험사료에 전 기간에 걸쳐 항생제는 첨가하지 않고 생균제만을 처리별로 첨가하였다. 0${\sim}$8주간의 사양설험에서는 처리간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9${\sim}$20주에서는 P-O.I과 P-0.2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일당증체량이 증가하였으며 (P<0.05)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그 경향은 더욱 뚜렷하였다. 전체 사양 실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은 생균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균제에 의한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을 조사하기 위해 자돈기와 육성기에 두번에 결쳐 대사실험을 실시하였다. 자돈기(평균 체중 17.93 $\pm$ 1.45kg )에서는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의 소화율이 P-O.I 과 P-0.2 생균제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P<0.05), 조회분의 소화율은 P-0.2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칼슐의 소화용은 P-0.2 처리구가 P-O.I 및 대조구에 비해 유의 하게 높았지만(P<0.05), 인의 소화율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소 축적율에서는 P-O.2와 P-O.1 생균제 처리구가 분내 질소 함량을 유의하게 낮추었으나( P<0.05), 뇨내 질소 함량 및 질소 축적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육성기(평균체중 41.80 $\pm$2.68kg)에서는 처리간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혈중 요소태 질소농도 및 혈액내 액혈구, IgG, IgA의 함량도 전 기간에 걸쳐 처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하여 사료내 지속적인 생균제의 첨가는 돼지의 성장과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육성돈에 있어 복합생균제 첨가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및 분뇨내 악취물질 발생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etary Complex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Growing Pigs)

  • 유종상;진영걸;김인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266-1272
    • /
    • 2007
  • 본 연구는 육성돈에 있어 복합생균제 급여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및 분뇨내 악취물질 발생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육성돈 48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개시시 체중은 20.12kg이었다. 시험설계는 1) CON (basal diet), 2) Pro1 (basal diet + 0.1% complex probiotics) and 3) Pro2 (basal diet + 0.2% complex probiotics)으로 총 3처리를 하여 처리당 8반복, 반복당 2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사양시험은 6주간 실시하였다 전체 시험기간동안 일당증체량은 생균제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생균제 급여는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복합 생균제 급여는 건물 소화율을 증가시켰다(linear effect, P<.0.05). 또한 질소 소화율을 개선시켰으며, Pro 1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linear and quadratic effect, P<0.05). 생균제 급여는 혈액내 WBC, RBC, lymphocyte 및 BUN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생균제 첨가 수준의 증가함에 따라 분뇨내 $NH_3-N$ 발생량은 감소하였으며(linear and quadratic effect, P<0.05), $H_2S$ 발생량은 감소하였다(linear and quadratic effect, P<0.05). 결론적으로 사료내 복합생균제의 첨가 급여는 생산성을 증가시켰으며, 분뇨내 악취물질 발생량을 감소 시켰다.

  • PDF

방재뉴스 - 2000년도 특수건물 안전점검 결과 분석

  • 정광제
    • 방재와보험
    • /
    • 통권92호
    • /
    • pp.48-53
    • /
    • 2002
  • 본 고는 한국화재보험협회가 2000회계연도(2000. 4. 1~2001. 3.31) 중 실시한 특수건물에 대한 화재안점점검 결과를 종합.분석한 내용 가운데서 주요 부분을 요약한 것이다. 제1절에는 안전점검 결과 분석의 근거, 목적 및 대상을, 제2절에는 특수건물 일반현황, 잠재위험, 방재사항 분석 및 소화설비할인 적용사항을, 제3절에는 안전점검 결과 분석을 토대로 한 개선, 건의사항을 각각 언급하였다.

  • PDF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급여가 비육돈의 생산성, 아미노산 소화율, 혈액성상, 육질특성 및 분내 휘발성 지방산과 NH3-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d Flat Bacteria Origin Proteas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mino Acid Digestibility, Blood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Fecal VFA and NH3-N Concentration in Finishing Pigs)

  • 김해진;민병준;조진호;진영걸;유종상;김인호;장정순;이운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49-58
    • /
    • 2006
  • 본 연구는 비육돈 사료내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를 첨가하였을 때 성장률, 아미노산 소화율, 혈액성상, 육질 특성 및 분내 휘발성 지방산과 NH3-N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 비육돈 8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60.08±2.69kg이었다. 시험설계는 기초사료내 영양소 함량과 효소제의 첨가 유뮤에 따라 high nutrient density diet 처리구, high nutrient density diet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high nutrient density diet+0.1% protease), low nutrient density diet 처리구, low nutrient density diet 처리구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low nutrient density diet+0.1% protease)로 4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은 고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DM과 N의 소화율은 고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 및 저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필수 아미노산 소화율은 저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비필수 아미노산 소화율에서는 고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고 영양소 사료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BUN 함량은 고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육색에서는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이 고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비육돈 사료내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첨가는 성장률을 향상시켰고 아미노산 소화율 개선하였으며, BUN 함량과 육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색인어:성장률, 아미노산 소화율, 혈액성상, 육질 특성, 휘발성 지방산, NH3-N)

-소화계질환(消化系疾患)에 관(關)한 한의학원리(韓醫學原理)의 고찰(考察)- (A STUDY OF PRINCIPLES OF ORIENTAL MEDICINE CONCERNING THE DISEASE OF DIGESTIVE SYSTEM)

  • 이종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9
    • /
    • 1976
  • 소화계질환(消化系疾患)이라고 하면 그 범위(範圍)가 매우 넓으나 대체로 크게 두가지로 구분(區分)할 수 있다. 하나는 소화기계통장기(消火器系統臟器)의 기질적(器質的) 질환(疾患)이고 다른 하나는 음식물(飮食物)의 섭취(攝取) 소화(消火) 흡수(吸收) 및 영양화(營養化)에 관계(關係)되는 기능적(機能的)인 질환(疾患)이다. 한의학상(韓醫學上) 소화계질환(消化系疾患)은 다분(多分)히 후자(後者) 즉(卽) 기능적(機能的) 질환(疾患)쪽을 많이 연구(硏究)한 경향(傾向)이 있으며 이것을 [비위내상(脾胃內傷)]위장병(胃腸病)이라고 부르고 있다. 한의학상(韓醫學上) 음식물(飮食物)과 질병(疾病)에 관(關)한 관찰(觀察)은 일찍이 상고시대(上古時代)로부터 매우 고조(高潮)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내경(內經)(B. C200)에 의(依)하면 인간(人間)이 그 수명(壽命)을 다함에 있어 무엇보다도 음식(飮食)의 절제(節制)를 잘해야 한다는 설명(說明)이 있고, 천금방(千金方)(AD682)에는 신체(身體)를 강건(强健)케 하는 기본(基本)은 음식(飮食)에 있으며 의자(醫者)가 질병(疾病)을 치료(治療)함에 있어 마땅히 먼저 식치(食治)(식이요법(食餌療法))를 하되 식치(食治)로 낫지 않거던 용약(用藥)하라고 하였고, 삼인방(三因方)(AD1174)는 질병(疾病)의 삼대원인(三大原因) 중(中) 음식(飮食)으로 일어나는 원인(原因)을 가장 중요(重要)한 것으로 보았고 1250년대(年代) 이동원(李東垣)은 [비위론(脾胃論)]을 저술(著述)하여 소화계(消化系)에 관(關)한 이론(理論)을 특별(特別)히 천명(闡明)하였다. 이와 같이 한의학(韓醫學)은 음식(飮食)과 양생(養生), 영양(榮養)과 질병(疾病), 그리고 소화기능(消火機能)에 관(關)하여 고대(古代)로부터 중요시(重要視)해온 것이다. 그러나 그 이론(理論)들이 다분(多分)히 현상적관찰(現象的觀察)과 경험적추리(經驗的推理)로서 설명(說明)되었기 때문에 현대의학(現代醫學)(서양의학(西洋醫學))과 같은 조직해부학(組織解剖學) 및 생화학적(生化學的)인 이론(理論)과는 상위(相違)한 점(點)이 많다. 더욱이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이라는 다분(多分)히 형이상적(形而上的)인 학(學) 사유(思惟)로서 관찰추리(觀察推理)되였기 때문에 현대의학(現代醫學)과의 비교설명(比較說明)이 거의 불가능(不可能)하며 또한 한의학이론(韓醫學理論)의 과학적근거제시(科學的根據提示)도 현재(現在)로서는 어려운 형편(形便)이다. 그러나 이 의학(醫學)은 이미 2,000여년간(餘年間) 동양(東洋)에서 전래(傳來)한 경험의학(經驗醫學)으로서 동양인(東洋人)들은 이 의학(醫學)으로 소화계질환(消化系疾患)을 포함(包含)한 여러 가지 인간(人間)의 질병(疾病)을 치료(治療)해 왔고 현재(現在)도 이 의학(醫學)으로 치료(治療)를 하고 있고 실제적(實際的)으로 많은 치효(治效)를 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의학(醫學)속에는 아직도 현대과학(現代科學)으로서 해명(解明)되지 못하는 어떤 요소(要素)들이 깃들여 있는 것이 확실(確實)하며 이것을 밝혀내기 위해서 우리 의학자(醫學者)들은 이 의학(醫學)에 관(關)한 모든 것을 연구(硏究)해 보아야 한다. 이런 뜻에서 본고찰(本考察)은 한방(漢方)의 역대제문헌(歷代諸文獻)을 섭렵(涉獵)하여 소화계질환(消化系疾患)에 관(關)한 제이론(諸理論)들을 발췌(拔萃), 한방(漢方)에서 보는 (1) 소화기관(消化器官)의 생리(生理) (2) 병리(病理), 증후(證候) (3) 치법원리(治法原理)을 조사고찰(調査考察)해 본 것이다.

  • PDF

Hybrid Foam을 이용한 탱크화재 진압용 포 소화시스템의 개발

  • 김홍;정기창;연두희;함상근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03-108
    • /
    • 2000
  • 현재 국내에 설치되어 사용중인 위험물 저장 탱크는 총 152,370 개로 이중 1만 리터미만의 저장 용량을 가진 탱크가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화재나 폭발 시 진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5만 리터 이상의 대형 탱크도 2만개 이상이 된다. 이러한 대형 탱크의 방호를 목적으로 설치된 기존의 포 소화시스템은 기로제로 공기를 이용한 기계 포 소화시스템으로써 설비 구성상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높아 경제적으로 불리하며 화재 진압에 적용된 포가 열적, 물리적 요인들로 인하여 파괴될 때 방출되는 것이 공기이므로 이는 화재를 성장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여 소화성능 면에서도 불리하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