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하

Search Result 561,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 Measuring Technique for Hydraulic Information in Small and Medium Sized Streams by an Image Analysis (영상분석기법을 이용한 중소하천의 수리량 계측 및 정보화 기술)

  • Lee, Nam-joo;Yu, Kwonkou;Kang, Ta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5-15
    • /
    • 2017
  • 하천의 수위와 유량 등의 수리량 자료는 치수, 이수, 환경 등에 관한 하천 계획과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따라서 체계적인 하천 관리를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하천 수리량 자료의 확보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하천에 수위 관측소를 설치하여 실시간 수위를 측정하고 있다. 하지만 유량의 측정은 국가하천 등 주요 대규모 하천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우리나라 대부분의 홍수 피해는 중 소하천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중 소하천에 대한 수문조사는 상대적으로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이러한 중 소하천에 대한 수리 정보 조사의 가장 큰 어려움은 대부분의 중 소하천이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고 있어 예산과 인력 지원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 소하천에 산재한 보와 같은 하천 횡단 구조물의 유량 측정 기능을 이용하고, 급성장하고 있는 영상 분석 기술과 IT를 하천공학 분야에 접목하여 중 소하천의 수리 정보를 저비용, 실시간으로 원격 측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저가형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하천 횡단구조물 주변의 흐름 영상을 원격으로 확보하고, 해당 영상을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하는 장치인 WIA 시스템(wireless image acquisition system)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수위를 도출하는 영상 분석 프로그램, 수위-유량 관계 곡선(rating curve), 미계측 지점에 대한 하천 수리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HEC-RAS를 포함하는 River-HQ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WIA & River-HQ 시스템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내 직선 수로(실규모 하천) 구간에 대하여 정확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WIA & River-HQ 시스템은 실제 하천에 대한 적용성과 안정성 검토를 통해 향후 중 소하천의 환경 관리와 홍수예경보 업무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bility Analysis of SWAT Model for a Small Basin (소유역에 대한 모형의 SWAT 적용성 분석)

  • Park, Sung-Chun;Cho, Dong-Jin;Roh, Kyong-Bum;Jin,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42-2045
    • /
    • 2008
  •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유출량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소하천에서의 수문자료의 측정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대부분의 소하천 유역을 미계측 유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관측 자료가 없는 소하천에서의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의 적용가능성을 판단하였다. 남원에 위치하고 있는 지방 2급 하천인 광치천을 대상지점으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일유출량을 모의하였다. 모의 값의 정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2004년의 저 평수기 측정 자료와 SWAT 모형으로부터의 모의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SWAT 모형에 의한 결과와 면적비유량법에 의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모의 결과 SWAT 모형에 의한 결과는 RMSE가 0.189이고, 면적비유량법에 의한 결과는 0.207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SWAT 모형에 의한 유출량 모의가 소하천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판단할 수 있었다.

  • PDF

Restoration Technics of Aquatic Ecosystem for Stream Through Alluvium (충적층을 통과하는 소하천 수중생태계 복원기법)

  • Seo, Young Min;Lee, Young Min;Lee, Seung Yun;Jee, Hong Kee;Lee, Soon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40-1344
    • /
    • 2004
  • 우리나라는 계절에 따라 수량의 변화가 커서 하천에 흐르는 유량의 변화가 심하지만 대부분의 하천은 갈수기에도 각각 일정량의 유량을 가지고 흘러간다. 그러나 충적층을 통과하는 소하천의 경우에는 계절에 상관없이 하천수가 지하로 침투하여 지표수가 감소한다. 소하천의 하천수량이 갈소되거나 건천화 될 경우 수질이 악화되거나 하천의 바닥이 드러날 경우 수중생태계는 파괴됨 것이다. 현재 지하수를 개발하여 부족한 하천수를 보충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나 하천수의 지하침투가 심각한 경우에는 지하수만으로는 하천수의 부족분을 보충하는데 한계가 있다. 충적층을 통과하는 소하천의 침투수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충적층에 불투수 매트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하천의 건천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충적층의 침투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충적층위에 점토층을 설치하여 투수계수를 저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면 부족한 하천유지용수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적층을 통과하는 소하천의 건천화를 방지하고 자연형 하천으로 개발할 경우 수중생태계 복원성이 우수하며, 자연경관의 복원에도 효과가 있다.

  • PDF

Monitoring before and after Nature-Friendly River Construction in Bongwhang Stream (봉황천의 자연형 하천공법 시공전후 모니터링)

  • Park, Eui-Jung;Kim, Yoon-Hwan;Lee, Jong-Pil;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70-1075
    • /
    • 2007
  • 과거의 이수나 치수기능에 역점을 둔 하천개발이 국민의 하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인공화 된 하천을 원래의 자연스러운 하천상태로 되돌리고자 하는 다각적인 노력이 모색되어 하천에 대한 복원계획을 세우고 자연형 하천공법을 개발, 적용하기 위하여 여러 기관에서 각각의 연구목적에 맞게 시험유역에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소하천은 지역적인 특성이 두드러지고 공간적 분포와 기후적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소하천 특성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자료구축을 위해 유출 및 하도형상등 수리 수문학적 변화특성과 하천환경 특성을 분석하고 모니터링 함으로써 자연형 하천의 시공 후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검증과 설계 시에 세운 목표에 대해서 목표의 달성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하천정비후의 정확한 변화 상태를 검토하여 적용된 공법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여야 하며 각 분야별 세부평가 기준도 작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행정자치부 선정 소하천정비 시범지구로 지정된 봉황소하천에 대해 유역의 시공전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소하천의 환경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하천 정비공법 개발을 위한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수리 수문 자료의 축적과 하천환경 개선과 향후 자연형 소하천정비 공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지역인 봉황천은 전라남도 강진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범구간 약 1km에 대해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수질, 수리, 생태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시공전후로 비교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flow nomograph auto-calibration method based on real-time measured data for small stream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소하천 홍수 예·경보를 위한 실시간 계측자료 기반 노모그래프 자동보정 기술 개발)

  • Kang Min Koo;Seojun Kim;Yoonsung Lim;Kyoungsik Lee;Tae Sung 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8-58
    • /
    • 2023
  • 전 세계 홍수 피해에 노출된 인구가 20년 만에 약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재해 복구에 드는 비용이 수재해 예방을 위한 비용에 6배에 달했다. 수재해는 비용적인 손실과 아울러 인명피해가 크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국내에서 근래 10년간 전체 수재해 중 약 40%가 소하천에서 발생했는데,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행정안전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CCTV 기반 자동유량계측기술을 제시했다. 소하천은 홍수도달시간이 매우 짧고 하상이 불규칙하며 표고차가 커 일반적인 수리모형을 이용해 실시간 홍수 예·경보를 위한 홍수량 예측이 어렵다. 또한 대부분의 소하천은 수문 계측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하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해 홍수량을 산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CTV 기반 자동유량계측기술로부터 수집된 자료들을 이용해 노모그래프를 작성하고 예측강우량만으로 홍수량을 추정해 실시간 홍수 예·경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때 실시간으로 계측 유량 자료를 반영해 노모그래프를 자동으로 갱신해 예측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CCTV 기반 자동유량계측기술 검증을 위한 시범 소하천 4개소에 적용한 결과 실시간 자동보정 노모그래프를 이용하면 정확도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홍수 예·경보를 위한 홍수량 산정에 도움을 줘 수재해를 경감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al-Time Automatic Discharge Measurement System in Small Stream (실시간 소하천 자동유량계측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Kim, Seojun;Yoon, Byungman;Cheong, Taesung;Im, Y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82-82
    • /
    • 2019
  • 최근 사물인터넷 등의 IT기술의 발전과 함께 수리 계측 분야에서도 자동 유속 및 유량 측정장비들에 대한 연구와 적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개발된 자동 유속 측정 장비들은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쉽게 적용하기가 어려워 극히 소수의 지점에서만 운영 중에 있으며 전국 2만2,823개소에 달하는 소하천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인 유속 측정 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방법이 표면영상유속계이다. 표면영상유속계는 일반 동영상 촬영 장비와 분석 소프트웨어만 있으면 유속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고, 비접촉식으로 유속을 측정하기 때문에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을뿐만 아니라 홍수 시 유속 측정의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유량과 수위가 급격하게 변하는 국내 소하천의 유량측정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표면영상유속계를 실시간 자동유량계측이 가능하도록 시스템화 하여 개선하였다. CCTV 기반의 실시간 소하천 자동유량계측 시스템의 구성은 CCTV, 초음파수위계, 현장제어함체 및 조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현장제어함체에는 CCTV 영상분석 S/W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시간으로 산정한 유속자료와 초음파수위계로 측정한 수위자료를 이용하여 유량을 자동으로 산정하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울주군에 위치한 중선필천에 설치하여 적용성 여부 및 현장검증을 실시하였으며, 2018년 홍수사상에 대한 유량계측을 실시한 결과 표면영상만으로 소하천의 유속을 매우 짧은 시간에 계측할 수 있어 소하천의 급격한 유량 변화를 매우 안정적으로 계측하여 온전한 홍수 사상을 확보 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장 계측 인력 없이도 CCTV 영상으로 현장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홍수대응 지원도 가능한 장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ssessment for Applicability Medium and Small Streams of Distributed Flood Inundation Model Based on GIS (GIS기반 분포형 홍수범람모형의 중소하천 적용성 평가)

  • Jeong, Gil-Seob;Choi, Seung-Yong;Cheong, T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04-404
    • /
    • 2012
  •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와 같은 강우양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집중호우의 빈도 및 규모 또한 커지면서 이에 따른 인명 및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국지성 호우의 형태로 집중될 경우 중소천에서는 범람이 순식간에 일어나 피해가 가중될 수 있다. 하지만 소하천에서의 홍수발생특성을 고려한 홍수방재시스템의 구축과 같은 대책 수립은 국가하천이나 지방하천에 비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실제 상황에서 효과적인 홍수범람 예측평가 및 실시간 경보발령을 기반으로 한 방재시스템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소하천 유역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나 시스템에 대한 정리와 적절한 대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하천에 적용하기 위한 GIS기반 분포형 홍수범람모형을 개발하고 연구대상지역의 지형자료(수치고도모델, 토지이용도, 토양도)와 기상자료(강우, 기온)를 입력자료로 하여 홍수범람모형을 모의 한 후 일강우(200mm/day, 300mm/day)시 발생 가능한 침수예상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모의 결과 침수예상도와 개발 모형의 침수해석 결과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향후 소하천정비사업 지구 우선선정을 위한 기준제시 및 피해예상지역의 선정을 통해 재해예방효과를 거두기 위한 선정 기준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Damage Fuctions for Damage Estimation of Small Stream (소하천 피해예측을 위한 손상함수 개발방안)

  • Kim, Yeon Su;Hwang, Shin Bum;Lee, Chang hee;Kim, Sa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0-150
    • /
    • 2016
  • 지구온난화에 따른 전 세계적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태풍을 동반한 집중호우로 지역별 피해가 속출하는 등 자연재해로 인한 많은 인명피해와 경제적 비용의 부담률이 증가하고 있다. 국민안전처에서 발간한 재해연보에 의하면 10년간 전체 종목 중 공공시설물들의 피해액이 매년 비교적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공공시설물중에서도 하천과 소하천의 피해가 최근 5년(2010~2014년)간 평균 32.91%로 피해율이 가장 높았다. 국외에서는 미국(HAZUS-MH), 일본(피해경제조사메뉴얼), 영국(MCM) 등 공공자산의 홍수피해 예측방법을 개발하여 각 국가의 특성에 맞는 재난손실에 대한 추정을 실시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방법론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자연재해로 발생한 피해의 규모와 이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예측하기 위해 피해율과 피해액 추정 기술을 개발하였다. 미국의 HAZUS-MH와 피해복구지침, 새주소 시스템 DB, 건축법 내 용도별 건축물 종류 등을 활용하여 국내 공공자산 인벤토리(안)을 제시하고 이 중 소하천에 대한 2010~2014년 5개년의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재해 자료를 기반으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손상함수를 개발하였다. 함수개발은 강원도 일부 시군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과거 피해자료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군단위의 재해로 인한 소하천 피해 정도를 산정하고 한국형 피해예측시스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ield application assessment of observation methods and gauging instruments for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discharge measurement at ice cover (Review of small mountainous catchment) (하천결빙시 유량측정 정확도 제고를 위한 관측방법 및 기기 현장적용평가(산지 소하천 유역을 중심으로))

  • Kim, Dong Phil;Hwang, Seok Hwa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82-1085
    • /
    • 2004
  • 산지 소하천 유역에서 하천결빙이 발생하는 시기의 유량측정은 평상시의 유량측정 방법으로는 정확한 유량측정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하천결빙시의 유량측정 자료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측방법의 개발과 다양한 관측기기의 현장적용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관측방법의 새로운 기준 적용과 다양한 관측 기기를 이용하여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측정성과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현장적용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현장평가의 적용을 통해 산지 소하천 유역특성에 적합한 유량측정기술 및 기기의 개발을 이루고자 하였다.

  • PDF

Urban Stream Velocity Measurement System Utilizing Ubiquitous Floaters and GIS (Ubiquitous Floater와 GIS를 활용한 도시하천 유속계측 시스템 개발)

  • Yi, Jae-Eung;Ji, J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4-218
    • /
    • 2007
  • 최근 들어 기상이변 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가뭄 및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가뭄과 홍수는 농촌지역에서도 피해를 발생시키지만, 특히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에서 막대한 피해를 유발시킨다. 도시유역 소하천에서 가뭄과 홍수로 인한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하천유황 자료의 획득이 시급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집되고 있는 유황자료는 자료의 수집이 대하천에 편중되어 있고, 관측소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원하는 시점과 지점의 자료를 획득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언제 어디서나 쉽게 유황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관측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소하천 지리정보시스템과 ubiquitous floater로부터 발생된 유황자료를 결합하여 PC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도시 소하천 흐름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홍수, 갈수와 같은 하천흐름의 이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도시 소하천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