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3초

IoT 기반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연구 동향 (The Research of Software Defined Network at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s)

  • 이정준;김경태;정성민;윤희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83-84
    • /
    • 2016
  • IT 산업의 발달에 따라 기기간의 네트워크 구조도 단순한 중앙 제어 방식에서 필요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복잡화는 유지 보수의 어려움을 발생시켰고, 이를 완화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정의 기법을 활용한 이더넷 장비의 효율성이 입증되자 해당 기법을 센서 네트워크 분야에 적용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더넷과 센서 네트워크는 주소 체계나 프로토콜 등 통신 및 구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기존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를 단순히 적용하기만 해서는 구현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Internet of Things 분야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요소들과 관련 연구의 동향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 PDF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에서 제어기 배치 문제를 위한 타부 서치 알고리즘 (A Tabu Search Algorithm for Controller Placement Problem in Software Defined Networks)

  • 장길웅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91-498
    • /
    • 2016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제어 기능을 데이터 전송 기능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다. 광범위한 지역으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중의 제어기가 요구되며, 제어기의 배치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제어기 배치를 위한 메타 휴리스틱 알고리즘인 타부 서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보다 좋은 결과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 새로운 타부 서치의 이웃해 생성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에서 최소 전송지연과 실행속도 관점에서 성능을 평가하며, 유전 알고리즘 및 랜덤방법과 비교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술의 보안 분석을 위한 F(I)MEA 기법 적용 (An Adaptation of F(I)MEA Technique for security analysis on Software Defined Network Technology for IoT services)

  • 김그린;한근희;김기천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7-21
    • /
    • 2016
  • 사물인터넷의 급격한 발전은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형태의 새로운 서비스를 이끌어내었고, 이는 곧 기존 네트워크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술을 이야기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술은 네트워크의 유연성 및 확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이는 곧 보안의 취약점으로 악용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술의 보안 분석을 위한 F(I)MEA 기법 적용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플랫폼 개발동향 (Trends on Development of the Open Platform for Network Functions Virtualisation)

  • 박종근;윤승현;이범철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9권6호
    • /
    • pp.93-101
    • /
    • 2014
  • 기존 하드웨어 중심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진화시켜 서비스 유연성과 비즈니스 민첩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과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Network Functions Virtualisation) 기술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빠르게 상용화 단계에 접어든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기술과 달리,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기술은 표준화 단체를 통한 기술 논의 및 상위 표준문서 작업에 많은 노력이 집중됨에 따라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기술을 개발하고 검증하며 운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플랫폼 개발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최근 Linux Foundation의 Collaborative Project로 발표된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플랫폼 개발 프로젝트인 OPNFV(Open Platform for NFV)의 목적과 개발범위 그리고 향후 개발방향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 PDF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반 위협 대응 프레임워크 (Threat Response Framework based on Software Defined Network)

  • 이승현;신승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73-375
    • /
    • 2015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의 등장은 학계와 산업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SDN은 물리적인 장치를 변경하지 않고 네트워크 관리자의 의도대로 대상 네트워크를 관리 할 수 있기 때문에, 능동적이고 유연한 관리환경을 제공한다. 보안측면에서 SDN 기반의 네트워크는 다양한 공격을 탐지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하지만 대부분의 SDN을 이용한 보안 연구는 네트워크에만 집중되어 있고, 호스트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와 더불어 SDN 기반의 보안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SDN을 운용하는 컨트롤러와 다양한 지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SDN 기반의 호스트와 네트워크를 모두 고려하는 보안 애플리케이션 제작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반 위협 대응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Software-Defined WAN and Exchange for Edge-to-Edge Network Softwarization

  • 김동균;조현훈
    • 정보와 통신
    • /
    • 제32권7호
    • /
    • pp.17-26
    • /
    • 2015
  • 최근 네트워크 기술 동향에 있어서 이른바 핫 이슈 중 하나인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은 바야흐로 데이터센터, 기업, 캠퍼스 등의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환경을 넘어서 통신망 사업자(캐리어)와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원거리 데이터 네트워크 (WAN, Wide Area Network)로 진화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종단간 SDN 프로덕션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정의 원거리 네트워크(SD-WAN, Software-Defined WAN)의 개요 및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 SD-WAN의 핵심 서비스 기술로 인식되고 있는 네트워크 최적화, 가상화, 자동화, SDX(Software-Defined Exchange) 등의 요소 기술과 연구 동향을 알아본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의 기능 확장을 위한 슈퍼 컨트롤러 설계 (Design of Super Contoller for Extended Software Defined Networking)

  • 신민수;장인선;이기원;백상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421-423
    • /
    • 2012
  • 새로운 네트워크 아이디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대규모 트래픽 상황에서 실험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네트워크 구조는 네트워크 벤더들에 의해서 제어부분이 개방되지 않은 장치들로 구성 되어 있기 때문에 검증과정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SDN 연구들은 플로우 테이블에 국한한 제한된 인터페이스만을 정의하고 있고 이러한 이유로 여러 SDN간이나 일반적인 네트워크들까지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슈퍼 컨트롤러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SDN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오픈플로우(OpenFlow)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의 기능 확장을 위한 슈퍼 컨트롤러 설계를 제안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기술의 보안 위협 및 보안 요구사항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ecurity Threats and Security Requirements of Software Defined Networking Technology)

  • 강용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1-562
    • /
    • 2017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기술은 네트워크 처리 부분과 제어 부분을 분리하여 중앙집중적이고 강력하게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기술은 강력함과 함께 보안 위협이 크고 영향도 크다.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에 대한 보안 연구는 네트워크 취약점을 발견하고 방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 자체에 대한 보안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킹 기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들을 분석하고 보안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제안한다. 가장 큰 위협은 컨트롤러에 대한 서비스 거부 공격 및 보안 위협들이며 컨트롤러와 스위치간 신뢰성 문제도 있으며 설정 정보를 조작하여 오동작하게 하는 공격을 탐지하기 위한 기법도 필요하다.

  • PDF

대규모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이슈 및 연구동향

  • 신민수;이기원;백상헌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3호
    • /
    • pp.36-42
    • /
    • 2013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Software Defined Network: SDN)은 기존 네트워크의 구축/운용/관리에서의 높은 비용 및 복잡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현재 SDN은 연구/개발의 초기 단계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캠퍼스 네트워크, 그리고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와 같은 중소규모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향후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의 망과 같은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도 SDN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운용 및 관리의 효율성을 도모할 것이고, 이를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규모 SDN 구축을 하는데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이슈를 정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적인 방안과 프로토콜적인 방안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본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 이슈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를 대상으로 한 퍼즈테스팅 관련 연구 조사 (A Study on Fuzzing Tools for Testing Software-Defined Networks)

  • 위성일;손수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81-184
    • /
    • 2018
  •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Software-Defined Networks)는 기존 네트워크 운용의 비효율성과 복잡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개방형 네트워크 인프라이다. SDN 시스템이 점차 상용화, 개방화 되는 시점에서, 내재되어있는 보안적 위협을 줄이기 위하여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취약점 탐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된 소프트웨어 테스트 기법 중 하나인 퍼즈테스팅이 SDN에 적용되어야 할 이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기존에 관련된 연구의 분석을 통해 현재 학계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