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음감소

Search Result 49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f Noise-control Implementation and Cost-effectiveness in a Workplace (사업장에서의 소음개선 적용 효과와 비용편익 분석에 대한 연구)

  • Park, Mijin;Yoon, Chungsik;Paek, Domyung;Hwang, Gyu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 /
    • v.22 no.2
    • /
    • pp.149-155
    • /
    • 2012
  • Objectives: 이 논문의 목적은 한 사업장에서 수십 년 동안 진행된 소음감소계획이 실제적이고, 경제적인 것을 증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음의 공학적 개선방법과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실제 작동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Methods: 1967년도에 설립된 다국적 전자회사에서 1987년부터 2002년까지 실행된 각종 소음 감소 노력, 요소,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 기간 동안 소음감소가 어떻게 실제로 일어났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회사가 다른 여러 가지 노력을 한 후에도 실질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공학적 개선과 같이 도입한 Action Learning Team (ALT) 활동에 초점을 두고 개선 효과를 파악하였다. Results: 실제 소음의 감소노력은 산업안전보건법의 변화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실행되었다. 주된 효과는 ALT활동이 있고 나서 이루어졌는데 평균 소음 노출수준이 86.9 dBA에서 79.8 dBA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소음 지역 (85dBA 이상 )도 10개 지역에서 3개 지역으로 70% 감소하였다. ALT 활동의 결과로 나타난 7개 지역의 소음 감소를 위해 투입된 총 비용이 6,767 달러였다. ALT 활동을 처음 시작한 첫해에 소음 감소지역을 줄임으로써 이 지역의 근로자가 청력검사를 받지 않아서 초기 396명의 근로자가 청력검사를 받던 것을 활동 후 130명만 받아 266명의 근로자가 청력검사를 받지 않아도 되어 청력검사 비용이 6,650 달러 절약되었다. 따라서 장기간으로 보면 매우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증명되었다. Conclusions: 실제 소음감소가 현저히 일어나고, 비용효과적인 소음 감소가 일어나려면 기기 설비 공정담당자가 소음감소의 중요성을 잘 알고, 그 기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실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관리자 층의 권한을 위임 받아 활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공학적 개선 태스크포스팀을 운영하여 ALT활동을 하였을 때 실제적이고, 비용효과적인 소음 감소를 증명하였다.

Performance Development of the Silencer for a Vortex Tube (볼텍스 튜브용 소음기 성능 개발)

  • Jo, Young-Ho;Kim, Chang-Su;Park, S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659-661
    • /
    • 2012
  • 볼텍스 튜브란 압축가스의 흐름을 뜨거운 공기와 차가운 공기로 전환 시켜주는 냉각 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볼텍스 튜브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2in 소음기와 3/8in 소음기는 소음기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 보다 평균8~10dB 감소되었고, 1/4in 소음기는 약15dB정도 감소하였다. 출구를 가공한 1/2in 소음기의 소음은 소음기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와 비슷하고 3/8in 소음기는 소음 감소폭이 적었다. 1/4in 소음기기의 소음은 압력이 커질수록 소음이 급격히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소음기와 출구를 가공한 소음기를 비교 하였을 경우 1/2in 소음기에서는 평균 9dB정도 기존 소음기의 성능이 좋고, 3/8in 소음기에서는 평균 7.5dB정도 성능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1/4in 소음기에서는 평균 9.5dB정도 기존 소음기가 소음 감소폭이 크며 압력에 따른 소음의 감소폭이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n active noise controller for duct systems (공조덕트용 능동소음제어기 개발)

  • 이종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0.10a
    • /
    • pp.47-50
    • /
    • 1990
  • 종래에는 공조덕트의 소음 감소를 위하여 주로 흡음재료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흡음재료를 이용한 소음감소대책은 500HZ 이상의 고주파 영 역에서는 효과가 있으나 500HZ 이하의 저주파 영역에서는 효과가 적다. 이 러한 500HZ이하의 저주파 소음은 각종 구조물의 진동을 야기시켜 정밀작업 이 요구되는 작업환경을 파괴하고, 심지어는 구조물에 손상을 입힐수도 있 다. 또한 이러한 저주파 소음에 노출된 사람의 심리를 불안하게 하여 일의 효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청력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청정환경이 요구되는 곳에서의 소음감소를 위하여 흡음재료를 사용할 경우 흡음재료로 부터 떨어져 나오는 미세분에 의해 청정환경의 보존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흡음재료를 이용한 수동소음제어 대책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음을 그 소음과 동일한 진폭을 갖으며 위상차가 180도인 인위적인 음파로 상쇠시키 는 능동소음제어대책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논문은 덕트 또는 이와 유 사한 음향환경내에서의 적응필터기법(adaptive filtering technique)을 이용한 능동소음제어방법의 개발, 실제구현 및 성능평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 수의 에러 마이크로폰과 다수의 소음제어용 스피커를 사용하여 제어계통의 가관측성(Observability)및 가제어성(Controllability)을 향상시켜 평면파로 전 달되는 소음의 감소를 증대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차모드(Higher-order mode)로 전달되는 소음의 제어도 가능케하는 능동소음제어 방법에 관하여 논하였다.

  • PDF

Study on noise attenuation according to hedge species (생울타리의 종에 따른 소음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 Oh, Kwang-Il;Kim, Dong-Pil;Choi, Song-Hy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3 no.3
    • /
    • pp.272-27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ise attenuation according to hedge species and thickness of their leaves. The order of their decrease effects was as follows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Osmanthus asiaticus, Camellia japonica, Pyacantha angustifolia, Photinia glabra, Pittosporum tobira, Nandina domestica, Euonymus japonica, Chaenomeles lagenaria, Aucuba japonica for. Variegatar.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for noise atteunation has shown that woody plant with thicker leaves were better than those with thinner leav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Y = 7.653 + 26.530 X ($R^2$= 0.385). The order for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effects on noise attenuation is as follows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Camellia japonica, Nandina domestica, Pittosporum tobira, Taxus cuspidata, Chaenomeles lagenaria. The noise attenuation level of Camellia japonica was the highest (14.70[dB]), while that of Chaenomeles lagenaria was the lowest (6.80[dB]), and its difference between them was 7.9[dB].

저소음 도로 표면 개발의 필요성

  • 박철희
    • Journal of KSNVE
    • /
    • v.5 no.2
    • /
    • pp.147-152
    • /
    • 1995
  • 본 글에서는 현재 유럽과 우리나라와 유사한 도로사정을 가진 일본, 홍콩 에서 행해지고 있는 타이어/도로 소음에 관한 연구 실태와 그 자료를 소개함으로써 자동차 자체의 소음뿐 아니라 환경 소음 관절에서 간과할 수 없는, 타이어/도로 소음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를 제시하였다. 본문에서 살펴본 각 국의 노력과는 별도로 유럽 공동체(EC)는 1991년에 타이어/도로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제한 할 수 있는 기준이 1995년 10월 이전에 결정될 수 있다고 발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 표면과 자동차의 종류에 따른 소음 측정 방법에 대한 표준을 연구하기 위하여 ISO내에 ISO/TC 43/SC 1/WG 33라는 그룹이 1991년 설립되었다. 이와 같이 유럽에선 과거부터 행해온 실제도로 표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미래를 내다본 제도적인 측면에 까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언급한 바와 같이 다공성 도로 표면에 따른 초기 소음 감소량이 5dB(A) 이상이고 도로 수명이 다함에 따라 그 감소량은 0dB(A)가 된다. 그러나, 이 소음 감소량은 저소음 도로 표면에 대한 연구 동기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제 국내에서도 자동차 자체의 소음의 제어나 차음벽의 설치뿐 아니라 조소음 도로 표면에 대한 연구 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Loss of Water-Borne Noise Silencer in a Sea-Connected Piping System (해수연결 배관계 소음감소기의 투과손실 측정에 관한 연구)

  • Park, Kyung-Ho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6
    • /
    • pp.286-292
    • /
    • 2007
  • The dominant source of noise in a sea-connected piping system is usually due to a seawater cooling pump which circulates seawater to operate onboard equipments normally, and so its water-borne noise with some tonal frequencies should be reduced using proper silencers. In order to obtain the transmission loss of water-borne noise silencers experimentally the present paper suggests a transfer function technique that acoustic wave in the piping system is decomposed into its incident and transmitted components when the reflection at the termination of the system exists. Good agreement in the interested frequency range with theory and the proposed technique shows the validity of the technique.

Noise reduction in thermal power stations (화력발전소에서의 소음감소)

  • 신강석;윤호식;안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83-88
    • /
    • 1995
  • 인간의 문화생활은 기계문명의 발달과정과 같이 성장해왔다. 기계문명의 발달에 따라 각종 산업기계의 사용은 점점 증가하게 되었고, 사회는 산업 기계 및 각종 소음으로 인한 피해도 더해가고 있다. 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소음원에서 방사되는 소음을 줄이는 것이다. Austria소재 Glaunach GmbH사와 기술 제휴하여 화력 발전소에서의 효과적인 소음 감소 방안으로 다음고 같은 공업용 소음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공조덕트용 능동소음제어 장치

  • 이종식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3
    • /
    • pp.262-267
    • /
    • 1992
  • 이 글은 평면파 소음의 감소 성능을 향상시키고 고차모드로 전달되는 소음의 감소도 가능한 공 조덕트용 능동소음제어장치의 개발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실험결과 개발된 능동소음제어장치의 성능 및 안전성이 기 상품화되어 있는 외국의 제품에 비해 손색없이 뛰어남을 발견하였다. 능 동소음제어장치는 앞으로 고도의 청정, 정숙환경이 요구되는 반도체공장, 방송국 등에 폭넓은 적용이 기대되며, 기존의 흡음처리 대책보다 설치, 보수 및 유지가 간편하다. 특히 덕트내 주요 소음원인 블로워의 소음특성이 저주파 부근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능동소음제 어기술의 공조덕트내 소음제어에의 적용은 매우 효과적이며 경제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Warm-Mix Quiet Pavement Using Fine-Size Aggregate (소입경 골재를 이용한 중온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의 적용 연구)

  • Jo, Shinhaeng;Baek, Yujin;Kim, Nakse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1
    • /
    • pp.56-64
    • /
    • 2013
  • The study examines the quiet pavement using fine-size aggregates and warm-mix technique to reduce traffic noise.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pavement, mix design and laboratory tests were carried out. Test results showed that using 10mm aggregates can reduce the cantabro loss compared with 13mm aggregates due to increase contact area between aggregates. Mixing and compaction temperatures of warm mix quiet pavement should be determined by gyratory compactor test because it is used high viscosity asphalt binder. Using warm-mix additive could reduce compaction temperature by about $15^{\circ}C$. Noise measurement and permeability tests were conducted at the test road for evaluation of the field performance. All of quiet pavements meet the standard of permeability and have sufficient porosity. Noise reduction of the quiet pavement using fine-size aggregates is more effective than that using 13mm aggregates. In particular, the effect of noise reduction was noticeable at low speeds.

고속철도의 소음발생과 그 대책

  • 박진모;최강윤
    • Journal of KSNVE
    • /
    • v.3 no.2
    • /
    • pp.95-102
    • /
    • 1993
  • 고속철도를 포함한 철도운행에 있어서 소음문제는 중요한 환경문제의 하나 이다. 지금까지 철도소음에 관한 국내에서의 연구는 철도소음 기준과 관련된 일부 연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앞으로 고속철도의 성공적인 운행을 위하 여는 선로변에서의 소음저감 대책으로 지형과 궤도조건에 따른 소음피해 예측과 소음원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방음설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경부고속 철도 노선에 터널이 많으므로 터널 미기압파의 발생과 그대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국산화 차량 개발을 위하여 차체와 판토그래프에서의 공력소음감소를 위한 공력해석, 전동소음과 구조물 소음 감소를 위한 차륜과 쾌도의 개선, 추진장치와 보조장치의 소음제어설계 등 각각의 소음발생원에 대한 이해와 소음저감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