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유집중도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How Does the Concentration of Ownership Impact R&D Investments? Evidence from Korean Pharmaceutical Firms (소유 집중도가 기업 연구개발 투자에 미치는 영향: 국내 제약 산업을 중심으로)

  • Han, Kyul;Moon, Seongwuk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2 no.2
    • /
    • pp.157-183
    • /
    • 2014
  •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oncentration of ownership in firms influences the R&D investment decision and whether the type of a firm's management (i.e, the owner-manager or professional manger) different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wnership concentration and R&D investments by using data of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between 2004 and 2008. The results show that the share of the largest shareholder and R&D investment have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and whether a CEO is an owner or a professional manager affects the curvature of the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Specifically, when a firm's CEO is a professional manager and the share of his stock is small, increase in the CEO's share increases the R&D investment in the larger amount than when a firm's CEO is an owner. This is because the increase in ownership reduces agency cost; However, when the share of his stock is large, the increase in CEO's share decreases R&D investment in the larger amount than when a firm's CEO is an owner. This is because a professional manager gets concerned over excessive risk exposure more than an owner-manager does.

The Effects of Corporate Governance on Internationalization in Korean Firm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wnership Concentration (기업지배구조가 한국기업들의 국제화수준에 미치는 영향: 소유지분 집중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Yang, Young-Soo;Park, Young-Ryeol;Lee, Jae-Eu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7 no.4
    • /
    • pp.23-42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corporate governance on internationalization in Korean firms. Using the data from 454 Korean manufacturing firms listed in the Korean Stock ExchanFge (KSE) from 1999-2006, we analyzed the role of corporate governance on internationalization in Korean firms, including Chaebols (Korean business groups) and family firm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centration of ownership on internationaliz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 Chaebols and family firms and internationalization. Interestingly, the influence of ownership concentration overpowered the ambivalent behaviors of Chaebols, leading to less internationalization. We conclude that corporate governance in Chaebols and family firms is important to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우리나라 재벌기업의 소유구조 결정요인

  • Jeong, Gyun-Hwa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2
    • /
    • pp.339-368
    • /
    • 1998
  • 우리나라 재벌기업은 소유집중에 의한 소유경영과 비관련사업다각화를 경영의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정부는 경제력집중의 완화와 재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공정거래법 등을 통하여 소유분산과 업종전문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부의 재벌정책에 방향을 제시코자 재벌기업의 기업지배형태를 고찰하고 30대 재벌기업의 1997년 자료를 이용하여 그룹차원과 개별기업차원으로 나누어 재벌기업의 소유구조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그룹차원에서 소유구조결정요인은 상장비중을 제외하고는 뚜렷한 요인이 식별되지 않아 그룹차원에서는 대주주가 지분관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기업차원에서는, 먼저 대주주의 총지분은 개별기업의 특성과는 거의 무관하게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의 지분은 상장후 경과년수 및 기업규모와 부의 유의적인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법인지분은 기업규모와는 무관하나 상장후 경과년수와는 오히려 정의 유의적인 관계를 보였다. 또한 주력기업에 대하여는 대주주가 개인지분을 높게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음도 드러났다. 또한 총지분을 종속변수로 사용한 경우의 모형의 설명력이 개인지분이나 법인지분을 종속변수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나 향후의 소유구조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종속변수로서 총지분을 사용하고자 하려면 면밀한 사전분석이 필요함이 시사되었다.

  • PDF

The Ownership Structure of Korea's Big Business Conglomerate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우리나라 기업집단(企業集團)의 소유(所有)·경영구조(經營構造)와 정책대응(政策對應))

  • Yoo, Seong-mi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4 no.1
    • /
    • pp.3-36
    • /
    • 1992
  • "Corporate control by owners" characterizes the current structure of ownership, control and management of big business groups in Korea. It has become an ever more serious obstacle for the Korean economy to end its distinctive "personal capitalism" and to transform the current system into people's capitalism. The current issue, the deconcentration of ownership, through the course of heated debates should be treated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is, the debate should center on th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and it effects on national economy, instead of sticking to the issue of ownership-control issue per se. This paper, by referring to the historical experiences and development paths which advanced countries have already traveled, analyzes the respective aspects of the concentration issue in a rather descriptive and taxonomist manner - market concentration, business diversification, ownership concentration, integrated management of conglomerates, i.e., managing in groups' unit, and the roles of financial institutions. The government policies against th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have so far focused on the size of big business groups and their diversification activities. The two major policy measures are restrictions on cross-ownership and excess capital investment by big business groups, and controls on their credit deals. This paper strongl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should change its current priorities in targeting its policies against concentration. The government should reduce the regulations on size and diversification, and focus its policies on substantial dispersion of corporate ownership. The efficacy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business enterprises seems quite dubious and even anachronistic given the extent of maturity of Korean firms.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urrent regulation-oriented stance taken by the government against the management style of big business groups should be suppressed, as it has assumed some a priori and typical pattern in advance in directing big business groups, such as independent and specialized management in respective firms' unit. This paper, also, raises the need for introducing new regulations on inter-sectoral diversifications between finance, industry and the press.

  • PDF

아리안스페이스사의 새로운 발사체 ; 소유즈와 베가

  • Kim, Bang-Yeop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2
    • /
    • pp.33-39
    • /
    • 2006
  • 지난 수년간 중소형 발사체의 부재로 중소형 저궤도 및 정지궤도 위성 발사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어왔던 유럽의 발사 서비스 관련 업체들은 이제 러시아의 소유즈와 새로운 중소형 저궤도 위성 발사체 베가를 도입하여 기존의 아리안-5 발사체로는 지원하기 힘든 중소형 위성 발사 서비스 부문을 집중 육성하려 하고 있다. 기아나 우주센터에서의 소유즈의 발사와 신형 고체로켓 베가의 개발은 2010년 이후를 겨냥한 유럽 발사체 분야의 미래 발전 계획의 한 부분이며, 이러한 계획을 구체화하여 실현하고 있는 기업이 프랑스의 아리안스 페이스사이다. 본 논고에서는 두 발사체 소유즈와 베가의 간략한 역사와 성능을 소개하였다.

  • PDF

The Political Economy of Cross Ownership of Newspaper and Broadcasting (미디어 교차소유의 정치경제학적 비판)

  • Kim, Seung-Soo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45
    • /
    • pp.113-150
    • /
    • 2009
  • Attempts to relax cross-media ownership have been made by conservative Party and leading dailies. A concern with the cross-ownership of media is predominant in media and political spheres. This article is about the media market concentration created by cross-media ownership. This essay is a response to the demand of the ruling camp that attempts to concentrate on media market, and to increase their influence. I have outlined issues of cross ownership.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supported the rationale of ban on cross ownership of newspaper and broadcasting outlet.

  • PDF

The impacts of foreign institutional investors and governance mechanism on the cost of debt (외국인 기관투자자와 기업지배구조가 차입비용에 미치는 영향)

  • Kim, Choong-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
    • /
    • pp.143-147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on the cost of debt. Total sample is divided into the small sample, the medium sample and the large sample of equity concentration, based on the equity ownership of large shareholders. Our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foreign investors are not associated with the cost of debt in the small and medium samples of equity ownership, whereas foreign investor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cost of debt in the large sample of equity concentration. Academic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re that as the ownership of dominating shareholders rises, they seek their private interests of perks causing an increase in agency costs and a decrease in firm's economic value, thus expanding borrowing costs. Practical business implications are that foreign investors may alleviate agency problem of dominating large shareholders in the firm through monitoring activities, thu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business decision-makings.

Comparative Study of Lumped Model and Semi Distributed Model for Flash Flood Index Estimation (돌발홍수지수 산정을 위한 집중형 및 준분포형모형의 유출해석)

  • Kwon, Young-Soo;Lee, Keon-Haeng;Kim, Soo-Ju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58-2263
    • /
    • 2008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하여 국지성 집중호우의 형태를 띠는 강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강우는 돌발 홍수가 발생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지수산정을 위한 강우-유출모형 적용시, 집중형모형과 분포형모형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안양천 유역을 대상으로 HEC-HMS모형의 Clark 및 ModClack방법을 이용하여 돌발홍수지수를 산정하여 보았다. 2003년, 2004년, 2005년 각 연도별로 하나씩의 호우를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집중형 모형에 대해서는 유역면적평균강우량을, 준분포형 모형에 대해서는 Kriging 기법을 통하여 공간분포된 강우량을 이용하였다. 돌발홍수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유역에 많이 발생하므로 소유역 분할시 결정한 소유역의 크기가 돌발홍수 지수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돌발홍수지수의 산정은 유역의 크기에 따라 집중형 모형, 준분포형 모형 모형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강우-유출관계를 유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돌발홍수지수의 산정이 돌발홍수예보를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을 감안할 때 준분포 모형이 강우레이더에 의한 강우예측자료를 활용하는 데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pplication of the CAT Model for a Small Watershed (소유역에서의 CAT 모형의 적용성 평가)

  • Hwang, Soon-Ho;Kang, Moon-Seong;Song, In-Hong;Chang,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0-290
    • /
    • 2011
  • 수문모형은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공간적 분포에 따라 집중형 모형과 분포형 모형으로 나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nalysis Tool) 모형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하게 판단되는 범위를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토지이용, 하도특성에 따라 집중형인 링크-노드 구성을 통해 침투, 증발, 지하수 흐름 등의 모의가 가능하며, 개발전후의 유출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CAT은 다양한 물순환 개선 시설을 평가하고 사용자 편의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입력자료가 적고 지표수와 지하수의 상호작용 해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CAT은 개발 초기 단계로서 현재도 모형의 보정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유역에서의 강우-유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상유역을 선정하여 유역수문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CAT 모형을 적용하여 장기 유출량을 추정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대상지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CAT 모형을 이용하여 소유역의 장기 유출을 모의하여 실측자료와 비교함으로서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대상지구는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발안저수지 유역의 HP#6 ($3.84km^2$) 소유역을 선정하였다. 발안 저수지 유역은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6년부터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에서 수문/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해오고 있다. 대상유역의 기상자료 및 유역 특성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고,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997년과 1999년의 일 유출량 실측 자료와 CAT을 통해 모의된 값을 비교하여 보정하였고, 2000년 자료를 이용하여 검정을 수행하였다. 모형의 적용성은 모형의 보정과 검정에 대한 결과에 대한 통계적 변량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Flash Flooding in Small Watersheds for Design Rainfalls (설계강우량에 대한 소유역에서의 돌발홍수특성 고찰)

  • Jang, Ho-Yun;Song, Jae-Ha;Choi, Hyun-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30-430
    • /
    • 2011
  • 최근 지구온난화, 엘리뇨 및 라니냐 등 지구환경 변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짧은 시간에 매우 높은 강도를 가진 이상호우에 의해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90년대 후반부터 과거와 달리 국지적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집중호우에 의한 홍수는 우리나라의 가장 빈번한 자연재해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성격의 홍수는 소유역 규모의 좁은 지역과 급경사지역에서 짧은 지속시간과 집중적인 강우강도에 의해 발생하고, 빠른 유속과 토사를 동반하는 빠른 수문반응으로 홍수에 대비할 시간이 부족한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기존의 홍수예보모형을 이용하여 발생홍수의 특성을 예측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유출수문곡선의 특성을 분석하여 홍수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Kyiamah (1996)가 유출수문곡선의 기초적인 상승곡선, 지체시간, 첨두홍수량을 이용하여 돌발홍수사상에 대한 크기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Bhaskar 등 (2000)은 유출수문곡선의 상승부 기울기, 첨두 홍수량비, 홍수 반응시간을 이용하여 돌발홍수지수(Flash Flood Index)를 산정하고 이 지수에 의해 돌발홍수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는 정재철 (2000)이 보청천을 대상으로 단 몇 개의 사상만을 대상으로 Bhaskar 등 (2000)이 제시한 돌발홍수지수를 적용한 바가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서는 소수의 수문사상만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상대심도를 산정하는데 있어 문제가 있으며 상대심도를 산정하는데 있어 각 심도계수들의 임의적인 도수분포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매우 주관적이라고 할 수 있다. 김병식 등 (2008)은 한강유역의 과거 101개의 홍수사상에 대해 돌발홍수의 상대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돌발홍수지수를 산정하고 2006년 7월의 집중호우에 의해 발행한 홍수사상의 돌발홍수 심도를 시간 및 공간적으로 정량화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는 홍수심도 산정시에 필요한 유출수문곡선을 실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나 국내의 소유역의 경우 실측된 유출수문곡선 자료가 그다지 많지 않은 관계로 인해 홍수심도를 산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소유역중 시범유역을 선정하고 30년 이상 장기간 실측 강우의 기왕최대 시강우량 자료에 대하여 강우-유출모형을 통한 홍수유출수문곡선을 모의한 후, 빈도별 확률강우량에 대한 수문곡선 특성인자들의 비를 무차원 지수화하여 극한홍수사상에 대한 설계강우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홍수위험지수 (Flood Hazard Index)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