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셜 큐레이션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FGI분석을 통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Educational Use of Social Curation Service Using the FGI Analysis)

  • 오미자;김미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267-276
    • /
    • 2016
  • 본 연구는 관심사형이라고 불리우는 3세대 SNS인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해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9명의 대학생을 선정하여 약 50일간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를 사용하게 한 후 Focus Group Interview(이하 FGI)를 실시하여 그 답변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NVivo 1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는 다양한 정보 수집, 나만의 카테고리 생성을 통한 분류 및 정리, 관심사에 대한 지속적 업데이트 가능, 기존 SNS에 비해 상대적 박탈감 감소가 장점으로 도출되었다. 보완 및 개선 사항으로는 한국어 콘텐츠 부족, 서비스의 단조로움이 제시되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지속적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는 개인, 팀별로 구분하여 개인은 자발적 정보 검색 및 활용, 나만의 자료 구성 가능, 자기주도적 학습 촉진이 가능하며, 팀별로는 공유를 통한 토론 활동, 발표 활동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송콘텐츠의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Social quration service with broadcasting contents)

  • 권재광;최성우;유제현;정인영;정병희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87-190
    • /
    • 2015
  • 현재를 '빅데이터' 시대라 부른다. '빅데이터', 그 용어가 주는 의미대로 우리가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매우 많다는 것을 의미 하며, 과거의 데이터 정제 기술로 유의미한 정보로 가공하려면 상당한 자원이 필요하다. 현재, 장비의 고성능화 등으로 가능성이 검증되고 있고, 일부 비즈니스에 활용되는 단계이나 여전히 혼돈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소셜 큐레이션'이라 할 수 있다. 본 개발 서비스1)는 시청자들이 방송 콘텐츠를 소유하고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를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TV를 보면서 방송 프로그램을 캡처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한다. 방송콘텐츠에 관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이며, 이는 각 사용자들이 캡처하여 생성한 수많은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사용자들의 사회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의 개발 방향과 시스템 구성 등을 설명한다.

  • PDF

TVzzik : 방송콘텐츠의 실시간 캡처 및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TVzzik : Social curation service with broadcasting contents captured in real-time)

  • 권재광;최성우;유제현;정인영;정병희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2-185
    • /
    • 2014
  • 현재를 '빅데이터' 시대라 부른다. '빅데이터', 그 용어가 주는 의미대로 우리가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과거의 데이터 정제 기술로는 유의미한 정보로 가공하기에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현재 장비의 고성능화 등으로 가능성이 검증되고 있고 일부 비즈니스에 활용되는 단계이나, 여전히 혼돈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소셜 큐레이션'이라 할 수 있다. 본 'TVzzik' 서비스는 시청자들이 방송 콘텐츠를 소유하고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를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TV를 보면서 방송 프로그램을 캡처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한다. 방송콘텐츠에 관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이며, 이는 각 사용자들이 캡처하여 생성한 수많은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사용자들의 사회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TVzzik' 서비스의 개발 방향과 시스템 구성 등을 설명한다.

  • PDF

비휘발적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가능한 대화형 상거래 플랫폼 개발 (Chatting-based Commerce Platform Enabling Non-Volatile Social Curation Service)

  • 유기동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5-157
    • /
    • 2018
  • 동일한 관심사를 갖는 개인 또는 그룹에서 생성 및 공유한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소셜큐레이션 서비스는,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SNS 기반 채팅 기능과 접목될 경우 시너지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술이 제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에 적용될 경우, 구매자는 채팅을 통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판매자는 자사 제품 및 서비스에 관심을 갖는 고객에게 차별적이고 풍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를 채팅 기반으로 제공하는 대화형 상거래 플랫폼을 제시한다. 제시된 상거래 플랫폼은 상점 및 상품별로 채팅 채널을 구성하여 상점 및 브랜드, 그리고 세부 상품에 대한 신규 및 기존 고객의 문의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고, 해당 채널에 가입된 고객에게 차별화된 판매전략을 지속적으로 구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MongoDB를 이용하여 채널별 수록된 정보와 채팅 내역이 반영구적으로 저장 및 보관되도록 하여, 구매자가 언제든 해당 채널에 수록된 제품 정보와 채팅 내역을 검색 및 참고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뮤지엄에서의 크라우드 큐레이션 및 알고리즘 기반 전시 큐레이션 모델 (Crowd-Curation and Algorithmic Curation Models for Museum Exhibitions)

  • 이정선;여운승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5-26
    • /
    • 2019
  • 소셜 미디어(social media)가 급속히 발달하고 대중화되면서, 뮤지엄(museum)의 관람객은 시 공간의 제약 없이 뮤지엄의 콘텐츠를 향유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관람객의 역할을 넘어 매개자(mediator), 프로슈머(prosumer), 그리고 크리에이터(creator)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뮤지엄도 고유의 업무 수행에 다수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며 관람객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기반으로 사전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작품에 대한 설문 참여자의 반응을 수집한 후 이를 바탕으로 큐레이션에 대중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관람객 참여전시'를 개최하였다. 더 나아가 알고리즘 기반 전시 큐레이션 모델도 개발하였는데, 이 모델은 앞의 관람객 참여전시에서 얻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컴퓨터가 일반 관람객의 개인적 취향에 부합하는 작품을 자동으로 추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 관람객에게 '개인적으로 최적화된' 전시를 구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의 최신 전시활동을 소개하며, 초연결, 초지능화의 시대에 관람객들이 뮤지엄에 다양하게 참여하고 함께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서 사용자 행동에 기반한 상품 추천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User's Behavior in Social Curation Service)

  • 최진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387-1392
    • /
    • 2015
  • SCS(Social Curation Service)는 소셜 서비스를 인터넷 쇼핑몰과 결합하여 소비자의 선호 경향을 지능적으로 파악하여 판매와 소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서비스이다. 이 논문은 SCS를 위한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의 소비 성향과 선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분석한다. 개발한 알고리즘은 구현을 통해 효능을 검증한다.

소셜 큐레이션 웹사이트의 기능적 특성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뜻밖의 발견"을 중심으로 (Serendipity: The Effect of Technological Features in Social Curation Websites)

  • 김형진;강수언;이호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3-156
    • /
    • 2015
  • 소셜 큐레이션 웹사이트의 흥미로운 특징 중 하나는 개인 사용자들이 구체적인 정보를 매번 검색하여 얻기 보다는, 제공되는 정보들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정보들을 우연히 발견하게 된다는 것이다. "뜻밖의 발견(Serendipity)"이란 정보 탐색 과정에서 가치있는 무언가를 우연히 발견하는 것으로, 이때 얻은 새로운 시각이나 통찰력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놀라움, 참신함, 흥미로움이 동반된다. "뜻밖의 발견"은 사용자가 처한 문제 상황을 명료하게 해주거나 새로운 해결책을 도출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정보검색 과정의 중요한 현상이지만 그동안 관련된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는 소셜 큐레이션 사이트의 기능적 특성들이 어떻게 "뜻밖의 발견"을 높여줄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뜻밖의 발견"이 많을 때 사용자의 긍정적인 반응이 증가하는지, 웹사이트에는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구조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소셜 큐레이션 웹사이트의 세 가지 기능인 탐색 기능, 수집 기능, 상호작용 기능 모두가 "뜻밖의 발견"을 높여주며, 나아가 사용자의 재방문 의도는 물론이고 웹사이트에 대한 기여 의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 가지 기능 중 상호작용 기능이 "뜻밖의 발견"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학습 지원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콘텐츠 큐레이션 전략 (Content Curation Strategies of University Libraries for Research and Learning Support)

  • 오선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87-31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학습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대학도서관의 콘텐츠 큐레이션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콘텐츠 큐레이션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후 대학도서관과 국가도서관, 콘텐츠 기업 등의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학도서관의 성공적인 콘텐츠 큐레이션을 위한 전략으로 양질의 콘텐츠 제공, 선제적 정보서비스 역할 수행, 콘텐츠의 최신성 확보, 이용자 참여를 통한 상호작용성 확보, 개인화 알고리즘 개발의 다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웹셀에 안전한 디지털 융합 큐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e Digital Convergence Curation System to WebShell)

  • 신승수;김정인;이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87-195
    • /
    • 2015
  • 정보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도래한 지식정보사회는 급변하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지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창의성과 인성을 강조하는 패러다임에서 교육 목표와 내용의 변화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의 선진화를 위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ICT 기술을 적용한 연구가 지속적, 장기적으로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부합되는 창의 인성 교육을 확대 적용, 분석을 통해 창의 인성 교육에 기반한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은 최근 들어 웹 해킹들이 급증하는 시점에서 웹 해킹 중 하나인 WebShell에 안전하다. 본 논문에서는 웹 해킹 중 하나인 WebShell에 안전한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을 분석하고 WebShell에 대한 대응 방안에 대하여 분석한다.

도서관에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이해: 참고서비스의 혁신인가? 진화인가? (Understanding the Curation Service in Libraries: Is it a Revolution or an Evolution of Reference Service?)

  • Ranasinghe, W.M. Tharanga Dilruk;Chung, Jun Min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15-235
    • /
    • 2019
  •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유래된 것으로 잘 알려진 큐레이션은 오늘날 큐레이션 커머스에서 큐레이션 데이터베이스까지 다양한 다른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서관도 데이터 큐레이션,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큐레이션, 북 큐레이션, 소셜 큐레이션 등 다양한 형태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서비스의 관계는 적절히 연구되지 않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서비스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두 서비스의 이질감을 해소하는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관계에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광범위한 문헌 검토와 몇 가지 실제 사례를 살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도서관 참고서비스가 직면한 과제와 큐레이션의 적용가능성, 두 개념의 유래와 의미를 분석하고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본 논문은 큐레이션이 도서관의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변화하는 정보환경과 이용자 요구에 대응한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자연스러운 진화라고 제안한다. 게다가 도서관은 디지털 시대의 정보 환경의 변화 및 이용자 기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큐레이션 서비스를 혁명으로 생각하지 않고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자연스러운 진화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결론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