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셜이슈

Search Result 155,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소셜 데이터에서 재난 사건 추출을 위한 사용자 행동 및 시간 분석을 반영한 토픽 모델

  • ;Lee, Gyeong-S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6
    • /
    • pp.43-50
    • /
    • 2017
  • 본고에서는 소셜 빅데이터에서 공공안전에 위협되고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재난사건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행동 분석과 시간분석을 반영한 토픽 모델링 기법을 알아본다. 소셜 사용자의 글 수, 리트윗 반응, 활동주기, 팔로워 수, 팔로잉 수 등 사용자의 행동 분석을 통하여 활동적이고 신뢰성 있는 사용자를 분류함으로써 트윗에서 스팸성과 광고성을 제외하고 이슈에 대해 신뢰성 높은 사용자가 쓴 트윗을 중요하게 반영한다. 또한, 트위터 데이터에서 새로운 이슈가 발생한 것을 탐지하기 위해 시간별 핵심어휘 빈도의 분포 변화를 측정하고, 이슈 트윗에 대해 감성 표현 분석을 통해 핵심이슈에 대해 사건 어휘를 추출한다. 소셜 빅데이터의 특성상 같은 날짜에 여러 이슈에 대한 트윗이 많이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트윗들을 토픽별로 그룹핑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LDA 토픽모델링 기법에 시간 특성과 사용자 특성을 분석한 시간상에서의 중요한 사건 어휘를 반영하고, 해당이슈에 대한 신뢰성 있는 사용자가 쓴 트윗을 중요시 반영하도록 토픽모델링 기법을 개선한 소셜 사건 탐지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Social WISDOM: A Issue Detection/Monitoring System (소셜위즈덤: 소셜미디어 이슈 탐지/모니터링 시스템)

  • Lee, Chung-Hee;Kim, Hyun-Jin;Oh, Hyo-Jung;Hur, Jeong;Ryu, Pum-Mo;Kim, Hyun-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431-43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소셜 빅데이터에 대한 심층적 언어분석을 통해 이슈를 탐지하고 모니터링하는 소셜위즈덤 시스템을 소개한다. 소셜위즈덤은 키워드의 단순 빈도 정보 외에도 이슈의 신규성, 중요성, 파급력, 관심도, 신뢰도 등을 수치화한 이슈성지수에 기반한 이슈성 측정이 가능하여 정확한 이슈탐지가 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인 정보로 단순 긍부정 분석이 아닌 17 개의 세부감성을 분석해서 제공하고 긍부정에 대한 호불호의 원인분석 정보도 제공하므로, 소셜미디어 분석에 기반한 깊은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A Case Study of the Issue detected Analysis on Social Media Big Data (소셜 빅 데이터를 이용한 이슈 감지 사례분석)

  • Song, Eun-Jee;Kang, Min-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682-683
    • /
    • 2014
  • 최근 IT업체들은 온라인 상에서 소비자들이 평소에 쏟아내는 의견들을 수집, 축적해서, 원하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특정 주제에 대해 어떤 여론이 형성되고 있으며, 여론이 어떻게 전파되고 있는지 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소셜 빅데이터 분석 툴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빅 데이터를 분석함에 있어 이슈를 감지하고 예측하는 기술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소셜 미디어 데이터 패턴을 비교 분석하고 부정이슈 감지를 위해 부정 여론을 확산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내용과 작성자를 독립변수로 하고, 평균 이슈 도달 시간 및 속도를 종속변수로 정의한다. 부정 여론 형성의 영향력은 트윗수, 리트윗 수를 기준으로 이슈 감지한다. 분석결과 전체 트윗 중 리트윗 메시지가 큰 비중 차지하고 이슈에 대한 버즈가 증가할수록 리트윗 비중이 증가하였으며 크게 확산될 때는 리트윗량이 크게 증가하여 짧은 시간 안에 넓게 확산하였다.

  • PDF

Hot issue extraction method using FOAF and Social Network Analysis (FOAF및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핫 이슈 추출 기법)

  • Wang, Qing;Sohn, Jongsoo;Chung, I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531-534
    • /
    • 2010
  • 웹 2.0의 적극적인 도입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기반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관련된 콘텐츠를 적절하게 추천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들의 동향 및 이슈 추출 기법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러기 위해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 매칭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사용자들 간의 연결 관계와 키워드의 중요도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OAF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와 del.icio.us에서 제공하는 소셜 북마크 데이터를 기초로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보이며 이를 통한 사용자들 사이에서 중요하게 부각되는 핫 이슈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핫 이슈 추출 방법을 활용하면 사용자들의 관심 분야 동향파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맞춤형 마케팅 및 콘텐츠 추천이 가능해 진다.

Technology Trends of Issue Detection and Predictive Analysis on Social Big Data (소셜 빅데이터 이슈 탐지 및 예측분석 기술 동향)

  • Lee, C.H.;Hur, J.;Oh, H.J.;Kim, H.J.;Ryu, P.M.;Kim, H.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1
    • /
    • pp.62-71
    • /
    • 2013
  • 최근 빅데이터 시대를 맞이하여 소셜미디어가 중요한 정보의 소통수단으로 급부상함에 따라 소셜웹 이슈 탐지 및 예측분석 기술이 큰 주목을 받고 있고, 기업 정부 등에서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이슈들에 대한 온라인 동향 분석 및 이슈 예측 기술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미디어에 대한 온라인 동향 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의 국내/국외 상용화 및 연구 현황을 소개한다. 또한, 사회적 동향을 분석해서 만들어진 예측모델에 기반해서 이슈의 향후 전개 과정에 대해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기술 현황을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소개한다.

  • PDF

The Sensing Model of Disaster Issues based on Relevance to Disaster from Social Big Data (재난 관련도에 기반한 소셜 빅데이터에서의 재난이슈 탐지 모델)

  • Choi, Se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829-832
    • /
    • 2014
  • 최근 사람 간 소통채널인 소셜미디어는 매스미디어 중심의 정보유통의 흐름을 바꿔놓으며 기업, 공공기관 등에서 가치를 찾는 핵심자원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재난관리도 기존의 정부중심 대응에서 벗어나 소셜미디어, 즉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민 참여형 재난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관리를 위해 실시간 소셜 빅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인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소셜 빅보드(Social Big Board)를 소개하고, 이 시스템의 재난이슈 탐지의 정확성 향상을 위해 새롭게 개발된 재난유형별 관련도에 기반한 재난이슈 탐지기법을 설명하며 실험 및 평가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Continuous Issue Event Analysis in Social Media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연속성 이슈 이벤트 분석)

  • Oh, Hyo-Jung;Kim, Hyunki;Yun, Bo-Hy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2
    • /
    • pp.31-38
    • /
    • 2014
  • This paper reveals continuity of related events which are occurred and changing from moment to moment accident/events collected from various social media channels. Among them, we especially define the events which have big social influence as "issue event" and investigate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issue event for each domain. We also introduce a automatic issue detection system in social media text. Based on the extracted issue event results in a particular domain, we analyse the continuity of those events by illustrating in time and place-axis. Furthermore, we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in terms of issue events propagation.

  • PDF

Automatic Generation of Issue Analysis Report Based on Social Big Data Mining (소셜 빅데이터 마이닝 기반 이슈 분석보고서 자동 생성)

  • Heo, Jeong;Lee, Chung Hee;Oh, Hyo Jung;Yoon, Yeo Chan;Kim, Hyun Ki;Jo, Yo Han;Ock, Cheol Young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3 no.12
    • /
    • pp.553-564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ystem for automatic generation of issue analysis report based on social big data mining, with the purpose of resolving three problems of the previous technologies in a social media analysis and analytic report generation. Three problems are the isolation of analysis, the subjectivity of experts and the closure of information attributable to a high price. The system is comprised of the natural language query analysis, the issue analysis, the social big data analysis, the social big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automatic report generation. For the evaluation of report usefulness, we used a Likert scale and made two experts of big data analysis evaluate. The result shows that the quality of report is comparatively useful and reliable. Because of a low price of the report genera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social big data and the objectivity of social big data analysis, the proposed system will lead us to the popularization of social big data analysis.

Social Issue Risk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Social Bigdata (소셜 빅데이터 기반 사회적 이슈 리스크 유형 분류)

  • Oh, Hyo-Jung;An, Seung-Kwon;Kim, 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8
    • /
    • pp.1-9
    • /
    • 2016
  •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d political and social utilization of social media, demands on online trend analysis and monitoring technologies based on social bigdata are also increasing rapidly. In this paper, we define 'risk' as issues which have probability of turn to negative public opinion among big social issues and classify their types in details. To define risk types, we conduct a complete survey on news documents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ssue domains. We also investigate cross-medias analysis to find out how different public media and personalized social media. At the result, we define 58 risk types for 6 domains and developed automatic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machine learning algorithm. Based on empirical experiments, we prove the possibility of automatic detection for social issue risk in social media.

Project Schedule Notification and Issue Tracking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on a Smartphone (스마트폰 상에서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기반의 일정 통지 및 이슈추적 시스템)

  • Kang, Dae-Ki;Chang, Won-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3
    • /
    • pp.669-677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project schedule notification and issue tracking system based on a social networking service for project management on a smartphone. The proposed system has a server subsystem and a client subsystem. The server is in charge of enabling a deadline notification and an issue tracking of the project to project participants by exploiting a legacy social networking service. The client running on a smartphone displays timelines of the project schedule using Gantt chart and let the project participant edit their schedule. The proposed system combines the mobility of smartphones and the connectivity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and apply them to schedule notification and issue tracking, which demonstrates a novel usage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