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세포암종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8초

기관지표면상피의 미세침윤성 편평세포암과 동반된 혼합성 소세포암종 -1례 보고- (Combined Small Cell Carcinoma Associated with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Bronchial Surface Epithelium - A case report -)

  • 김윤정;심정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9호
    • /
    • pp.1031-1035
    • /
    • 1996
  • 폐의 편평상피암종에서 기관지표면상피의 화생에 대해서는 많은 이들에 의해서 밝혀진 바 있지만 그 외의 다른 종류의 폐암과 연관된 기관지 표면상피의 변화에 대해서는 그 예가 많지 않고 소세포폐암종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한편 소세포암종의 조직학적 분류와그아형에 대해서 지난수십년 간많은 관심이 모아져 왔다. 이 종량의 아형을분류하는기본적인 근거는 그 형태학적 판정 기준에 있다. 1967년 WHO폐암종 분류법이 제긍된 이후 3여러 기관에서 SCLC의 임상경과나 치료에 대한 반응, 그 아형을 연구하였다. 1988년 IASLC에서는 소세포암종을 그 형태학적 구분으로 세가지 아형 : Small cell carcinoma (2) Mixed small cel1/1arge ceil carcinoma (3) Combined small cell carcinoma로 분류하고 예후와 치료에 대한 반응의 차이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최근 저자들은 68세 남자환자에서 소세포암종에서 국소적으로 편평양분화를 보이는 세포가 함께 혼합되어 있는 주종괴와 분리되 어서 존재하는 기관지 상피세포에 편평상피암종이 동반된 예를 전폐 절제 술을 하고 조직 검사상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쇄골상부 림프절의 전이성 종양 - 125예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분석 - (Metastatic Tumors in Supraclavicular Lymph Node - Pathologic Analysis of 125 Cases -)

  • 김동석;남혜주;최원희;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70-75
    • /
    • 1991
  • 저자들은 최근 8년 3개월동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서 진단된 쇄골상부 림프절의 전이성 종양 125예를 병리조직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원발병소는 폐와 위가 각각 54예(43%), 28예(23%)로 가장 많았다. 2) 전이성 쇄골상부 림프절의 조직학적 유형은 선암종이 71예(57%)로 가장 많았고 그외 편평상피암종, 미분화암종, 소세포암종 등은 각각 15예(12%), 11예(9%), 9예(7%)로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3) 조직학적 유형이 선암종일 경우 원발병소는 위가 27예(49%)로 가장 많았고 폐 19예(34%), 담도계 6예(11%) 순이었다. 4) 조직학적 유형이 편평상피암종, 미분화암종, 소세포암종 및 분화도가 불량하여 유형을 판별할 수 없는 암종의 원발병소는 폐가 가장 많았다. 5) 원발병소를 전혀 알 수 없었던 암종 14예의 조직학적 유형은 선암종이 12예(86%)로 가장 많았다.

  • PDF

후두에 발생한 원발성 소세포암종 1예 (Primary Small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 A Case Report)

  • 최주열;박성호;김남영;김경헌;최익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2-26
    • /
    • 2015
  • Small cell carcinoma of larynx has been reported as a rare disease occurring in 0.5% of larynx cancer. This tumor is known as one of the most lethal of all malignancies and associated with early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leading into death. We experienced a case of a 70-year old male patient, who had admitted for sore throat and dysphagia and diagnosed as small cell carcinoma of larynx. We present small cell carcinoma of larynx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PDF

편평상피세포암종과 선암종이 동반된 복합형 소세포암종(Combined Small Cell Carcinoma) 1예 (A Case of Combined Small Cell Carcinoma with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Adeno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 박혜정;문영철;유성근;신경철;정진홍;이관호;김미진;이정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1호
    • /
    • pp.72-77
    • /
    • 2000
  • 저자들은 기침과 전신 쇄약감으로 내원하여 기관지내시경에 의한 조직생검에서 편평상피세포암종으로 진단되었으나 수술 후 소세포암종이 편평정상피세포암종과 선암종을 포함한 복합형 소세포암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자궁경부 소세포암종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in Small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정은지;이용희;김귀언;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69-377
    • /
    • 1997
  • 목적 : 자궁경부 소세포암종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조직병리학적인 재검사를 시행하여 조직병리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환자 및 종양의 특징, 방사선치료 후의 치료 성적등을 조직병리학적 유형에 따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81년 10월부터 1995년 4월까지 연세의대 연세암센터 치료방사선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총 2890명 중 조직학적 유형이 소세포암종이었던 환자는 60명으로 $2.08\%$였다. 타병원예서 조직검사 및 병기 결정 후 방사선치료 만을 위해 전과되었던 36예에서는 자궁경부 생검 조직을 확보할 수 없었고, 이들을 제외한 24명에서 조직에 대한 병리학적 재검사가 가능하여 H&E 염색 및 신경내분비 표지인 neuron-specific enolase(NSE), chromogranin, synaptophysin, Grimelius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이들 24예의 환자 및 종양좌 특성,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치료 실패 양상, 5년 생존율 및 5년 무병 생존율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H&E 염색 및 4가지 neuroendocrine marker 검사 후 13예는 신경내분비암종으로 진단되었고 11예는 소세포 유형의 편평상피암종으로 진단되어 병리학적으로 크게 2가지 군으로 분류하였다. 신경내분비암종으로 분류된 13예 중 5예는 중등도 이상으로 분화가 좋은 편아었으나 8예는 분화가 나쁘거나 미분화되었다. 전체 24예 대상 환자들의 연령은 23-79세로 중앙 연령치 54세였으며 FIGO 병기 분포는 Ib 8예$(33.3\%)$, IIa 1예$(4.2\%)$, IIb 11예$(45.8\%)$, IIIa 2예$(8.3\%)$, IIIb 1예$(4.2\%)$, IV 1예$(4.2\%)$로 병기 I-II가 20예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골반 림프절에 전이가 있었던 환자가 5예(20.8%) 있었는데 이 중 3예는 수술후 조직학적으로 확인되었고(2예는 근치적 수술, 1예는 골반 림프절 생검) 다른 2예는 전산화 단층 촬영상 골반 림프절이 커져 있어 전이로 판단되었다. 이들 2가지 병리학적 분류군에 따라 환자 및 종양의 특성을 비교해 보았는데 특별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치료 실패 양상, 5년 생존율 및 5년 무병 생존율 등의 치료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치료 실패 양상에 있어서 소세포형의 편평상피암종에서는 원격 전이가 2예$(18.2\%)$인데 반해 신경내분비암종에서는 6예$(46.2\%)$로 신경내분비암종(neuroendocrine carcinoma)에서 원격 전이율이 높았으나 환자 수가 적어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결론: 병리조직학적 재검사가 가능하였던 24예의 자궁경부 소세포암종 환자 중 13예가 신경 내분비암종으로 진단되었으며 나머지 11예는 소세포형의 편평상피암종으로 분류되었는데 환자 및 종양의 특징, 방사선치료 성적을 비교해 볼 때 신경내분비암종에서 원격 전이가 호발하였으나 $(46.2\%\;vs.\;18,2\%)$,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이런 결과로 자궁경부에서 발생한 소세포암종 중 신경내분비암종의 경우는 원격 전이가 맡으므로 방사선치료, 수술 등의 국소 치료와 더불어 적절한 항암화학요법을 추가하여 치료 결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PDF

하인두에 발생한 신경내분비성 소세포암종 1예 (A Case of Neuroendocrine Small Cell Carcinoma Arising from the Hypopharynx)

  • 고윤우;이종대;변장열;이재용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8-201
    • /
    • 2004
  • Neuroendocrine carcinomas are rare neoplasms of the hypopharynx. Neuroendocrine neoplasms are divided into four main types : carcinoid, atypical carcinoid, small cell carcinoma and paraganglioma. The diagnosis is primarily based on light microscopy and should be confirmed by immunohistochemical investigation. Small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of the hypopharynx is extremely uncommon tumor and surgical results for this tumor have been disappointing.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currently appear the most effective forms of therapy. We report our case of small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of the hypopharynx with the brief review of literatures.

방광의 소세포암종의 요 세포 소견 -1예 보고- (Voided Urine Cytology of Small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A Case Report-)

  • 이원애;이승하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3-156
    • /
    • 2007
  • Primary small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is an extremely rare but important entity. We experienced a case of small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diagnosed by urine cytology. A 59-year-old man presented with gross hematuria and dysuria, and a calcified mass was detected at the left ureterovesical junction by cystoscopy. Abdominal ultrasonography revealed focal wall thickening at the left lateral side of the urinary bladder, and urine cytology findings were of an inflammatory background and atypical small round cells with minute hyperchromatic or pyknotic nuclei, scant cytoplasm, and rare nucleoli. In addition, atypical cells were scattered in an isolated single cell pattern or in small loose clusters with prominent nuclear molding. Subsequent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s confirmed a diagnosis of small cell carcinoma.

방광에 발생한 원발성 소세포암종의 세포학적 소견 -1 예 보고- (Cytologic Findings of Primary Small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 A case report -)

  • 권미선;안긍환;정진행;이승숙;고재수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125
    • /
    • 2001
  • Primary small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is a rare malignant tumor. A more rapidly fatal course may be seen in advanced stages of small cell carcinoma as compared to similar stages of urothelial carcinoma. It is very important to recognize this distinct form of bladder cancer by urinary cytology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mall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includes metastatic small cell carcinoma, urothelial carcinoma, and primary or secondary malignant lymphoma. This article highlights the urinary cytologic diagnosis of a case of primary small cell carcinoma. A 59-year-old male presented with gross hematuria for five months. Urinary cytology showed high cellularity consisting of tiny monotonous tumor cells in the necrotic background. The tumor cells occurred predominantly singly, but a few in clusters. The cytoplasm was so scanty that only a very narrow rim of it was seen. The nuclei were oval or round and had finely stippled chromatin. Rarely, the nuclei contain visible nucleoli. Frequently cell molding was noted in clusters. Many single cells demonstrated nuclear pyknosis or karyorrhexis. The histologic findings of transurethral resection and partial cystectomy specimen were those of small cell carcinoma. Cytologic distinction may be very difficult but careful attention to clinical features and cellualr details can classify these neoplasms correc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