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비 지출

Search Result 23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Forecasting Model of Korean Retail Industry (우리나라 유통 업태별 성장 예측 모형 연구)

  • 서용구;배상근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6 no.2
    • /
    • pp.41-64
    • /
    • 2002
  • Since its market opening in the year 1996, Korea's retail sector has witnessed the emergence of various new retail formats such as discount stores and Internet shopping malls. Given the competition among various retail formats, it is needed to analyze the previous trends and to measure the future potential of the market with more careful economic models. Using Time Series Analysis on Korean economy and distribution industry, we aim to economic models to follow the trends and to measure the future growth of competing retail formats such as department stores, discount stores and convenience stores. We have found that the growth of department stores, convenience stores and specialty store format is very closely related with the 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 On the other hand, 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 is not a good variable to explain the growth of discount stores and the supermarket sector. Following an extensive data analysis, three year forecasting of Korean distribution market including six different retail sectors is proposed. In addition, several discussion points including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retail formats are argued.

  • PDF

Input-Output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of R&D Expenditure in the Atomic Anergy Industry (원자력부문 연구개발투자지출의 경제파급효과 산업연관분석)

  • Jeong, Kiho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4 no.4
    • /
    • pp.839-866
    • /
    • 2005
  • This study addresses the effects on the economy of atomic sector's R&D by considering how much KAERI's R&D expenditures in 2000 affect on the production and value-added of each industry and the whole economy. This study answers to the question using competitive import input-output tables and both supply driven and demand driven IO models, which are frequently employed in evaluating economic impacts of R&D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areas.

  • PDF

A Real-time Revenue Management Research Based on Smart Phone (안드로이드폰 기반 실시간 수입관리 연구)

  • Cho, Ga-Won;Yu, Wan-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85-287
    • /
    • 2011
  • 본 논문은 실시간으로 수입이 발생되면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수입을 관리하도록 개발된 논문으로 실시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DB를 추가하고 발생데이터를 추가하도록 처리하였다. 수입에 대한 분석을 위해 입력된 전체리스트를 검색할 수도 있고, 검색조건을 이용하여 해당되는 건으로도 조회가 가능하다. 또한, 지출 건의 비용 발생시 여러 사람이 나누어 낼 경우, 각자 내기 기능을 두어 1인당 지출할 비용를 계산하기 쉽도록 설계하였다. 본 관리프로그램을 사용한다면 수입에 따른 지출을 예상하여 체계적인 소비생활이 기대되며, 사용자에 따라 필드를 추가하고 메뉴의 기능을 다양화 한다면 상용 프로그램으로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소비자전망지수의 유용성 검토

  • Park, Won-R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13-119
    • /
    • 2005
  • 경제적성과는 생산자, 소비자, 정부 등과 같은 경제주체들이 생산, 투자, 소비 등의 활동을 얼마나 유기적이며 효율적으로 잘 하느냐에 달려있고, 소비자전망조사는 경제주체 중 소비자의 향후 경기 및 소비에 대한 심리를 조사하고 이를 지수화하여 소비 및 경기 예측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렇게 작성된 소비자기대지수와 소비자평가지수는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움직이며, 이들의 차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보다 3개월 정도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기대지수는 계절성 검토결과 계절성이 있으며, 원계열보다 계절조정계열이 움직임이 뚜렷하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비교결과 선행성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소비자기대지수는 소비관련 지표인 GDP 민간소비와 가계소비지출과도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변수로서의 유용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2007년 일본 아마추어 사진 시장의 전망과 예측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09
    • /
    • pp.58-67
    • /
    • 2007
  • 2007년 일본 사진업계는 안정적인 경기 회복의 기조를 보이는 가운데 경제지표에서 보면 소비지출은 오를 것으로 전망되지만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사진소비 수준은 감소 경향이 계속되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었다. 디지털카메라는 일안리플렉스(DSLR)의 보급과 함께 디지털 서비스에 있어서도 디지털카메라 프린트의 신장으로 은염사진 프린트 영역의 회복이 기대되지만, 은염카메라의 각 기종은 대폭적인 감소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스틸필름의 수요 수준도 각 타입 모두 합쳐 30% 이상 감소가 예측되고, 컬러 DP 전체 수요도 2자리수 대의 감소가 예상되는 등, 마이너스 성장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전망이다. 따라서 사진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무엇보다 디지털 비즈니스의 확대가 큰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 PDF

재정적자가 저축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

  • Go, Yeong-S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2 no.1_2
    • /
    • pp.193-283
    • /
    • 2000
  • 외환위기 이후 재정적자가 급격히 확대되면서 재정적자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재정적자가 거시경제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분석은 많지 않은 편이다. 본고는 재정적자가 민간저축률과 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축률과 재정적자 사이에는 리카도 동등가설이 예측하는 것과 같은 관계가 표면적으로 발견된다. 즉, 재정지출이 변하지 않을 때 재정적자의 증가는 민간저축률을 증가시켜 국민경제 전체의 저축률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둘째, 재정수지가 변하지 않더라도 재정지출의 증가는 민간저축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재정수지가 변하든 변하지 않든 정부소비나 이전지출의 증가는 국민저축률을 감소시킨다. 셋째, 재정적자는 물가에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가운데 첫째와 셋째의 결과는 별로 새삼스러운 것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둘째의 결과는 지금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특히 1980년대 말 이후 GDP 대비 재정규모가 추세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의 외환위기 이후에는 금융구조조정 지원 등에 따라 재정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국민연금급여 등 사회보장지출의 증가가 예상됨을 고려할 때, 재정규모 증가를 억제하는 일에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된다. 한편 본고에서의 한국은행의 준(準)재정활동을 고려하지 않았으나, 이를 고려할 때에도 재정수지가 물가상승률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Changes in the Clothing Expenditure Patterns of Korean Households (90년대 이후 도시가계 피복비 지출 패턴의 구조적 변화)

  • Lee, M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4 no.6 s.220
    • /
    • pp.163-17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level and trends in household clothing expenditure in Korea. Raw data sets produc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from 1991 to 2004 were used to support time-series and cross-sectional analyses. The clothing expenditures decreased severely and quickly during the economic crisis of late 1997 through 1998, then increased slowly after the economic crisis until 2003, only to slightly decrease again in 2004. The ratio of clothing expenditure to total household expenditure decreased from 8.03% in 1991 to 5.11% in 2004. This decrease in relative clothing expenditure was greater in the lower income group than in the middle and high income groups. Clothing expenditure patterns were unique and differed from other household expenditures. Although the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affected Korean consumers' clothing expenditure, clothing expenditure patterns showed a more fundamental and structural change from 1991 to 2004, with the overall decrease in such expenditure resulting from the concurrent increase in educational and information-communication related expenditures. Clothing expenditure was shown to be luxurious through cross-sectional analysis, but necessary through time-series analysis.

Analysis of drought impact on domestic water consuming pattern (가뭄이 생활용수 소비 패턴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oi, Hanju;Ryu, Mun-Hyun;Kim, ShangMoon;Lee, B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1-131
    • /
    • 2016
  • 본 연구는 지난 12월(12월 10일 ~ 12월 23일) 충청남도 서부권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515개)를 대상으로 2015년 하반기에 발생한 가뭄으로 인한 물 소비 패턴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수돗물 소비 특성과 소비 구조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물 공급 상황, 가뭄의 심각성, 용도별 가구 내 수돗물 소비 실태와 수돗물 절약에 대한 인식 및 노력 정도를 조사하였다. 수돗물을 절약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우리 지역의 가뭄 극복에 동참하기 위해서'가 73.2%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수도요금 절약으로 가계 지출을 절감할 수 있어서'(55.9%), '정부의 물 절약 홍보'(52.4%) 등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 PDF

Cash-Receiving Households' Responses to Covid-19 Transfers (긴급재난지원금 현금수급가구의 소비 효과)

  • Lee, YoungWook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44 no.1
    • /
    • pp.135-167
    • /
    • 2021
  • This paper studies how households who received Covid-19 transfers in cash used their one-time transfers. The transfers were paid in cash for welfare recipient households, which accounted for 12.9% of all households. Using a survey data, it is found that the cash transfers are mostly used for consumption expenditure, and 21.7 percent of the cash transfer used are spent on additional consumption not originally planned. The consumption response to cash transfers is greater in households that experienced job or income loss because of Covid-19.

  • PDF

The Consumption Structure of Korean Elderly Households Depending on Poverty Status and Family Type (빈곤지위와 가구유형에 따른 노인가구의 소비특성 차이 분석)

  • Baek, Hakyoung
    • 한국노년학
    • /
    • v.30 no.3
    • /
    • pp.911-931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objectives to assess consumption structure of the elderly households in Korea, focusing on the difference of consumption structure depending on the poverty status and family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oor elderly households have primarily consumed the necessary goods for health care, food, clothing, and shelter. Especially, the poor single elderly living alone and married couples living independently(or alone) have been in the serious unbalanced consumption statu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the support schemes to help the consumption of necessary goods should be introduced to improve their economic well-being. The support schemes to promote their social role as consumers should be also introdu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