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비자-브랜드 관계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25초

소비자-브랜드 관계 품질 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ing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 강명수;김병재;신종칠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1-131
    • /
    • 2007
  • 브랜드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다양한 브랜드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최근 들어서는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브랜드 연구의 중심이 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있어서 높은 품질과 지속적인 연대를 가능하게 하는 브랜드 관계 품질의 측정을 다루고 있다.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Fournier(1994, 1998)가 제시한 6개 구성요소 또는 하위 차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에서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구성하는 6가지의 요소 또는 하위차원들이 소비자-브랜드 관계 품질이라는 하나의 단일차원을 이루고 있는지 확인하지 못한 채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이들 하위차원들을 결합하여 점수를 계산하고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브랜드 관계 품질을 구성하고 있는 상호의존, 몰입, 사랑/정열, 자아연관, 친밀감, 브랜드 파트너 품질 등의 6개의 차원들이 단일차원의 개념인가를 검토하였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구성개념들의 하위차원들이 단일차원의 구성개념인가를 검토한 선행연구들(Naver & Slater, 1990; Cronin & Taylor, 1992; Chang & Chen, 1998)에서 사용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구성하는 하위차원들이 단일차원을 이루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증연구를 통해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구성하고 있는 6개 차원들의 신뢰성, 수렴타당성, 판별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소비자-브랜드관계를 구성하는 6개의 하위차원들이 단일차원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구성하는 6개의 하위차원을 결합하여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연구하였던 기존 연구들, 소비자-브랜드관계를 구성하는 하위차원을 통합하여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려는 여러 연구들에 있어서 방법론상의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 PDF

옴니채널 브랜드체험이 옴니채널 브랜드 관계형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mni-Channel Brand Experience on Omni-Channel Brand Relationship Formation and Achievements)

  • 옥정원;윤대홍;강열우
    • 서비스연구
    • /
    • 제8권3호
    • /
    • pp.97-114
    • /
    • 2018
  • 본 연구는 본 연구의 목적인 옴니채널 브랜드체험이 옴니채널 브랜드 관계형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옴니채널 브랜드인 SSG.닷컴 이용경험이 있는 210명의 부산지역 대학생과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SPSS 25.0과 LISREL 8.30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총 12개의 가설 중 1개의 가설(가설 5)을 제외하고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옴니채널 브랜드 체험 및 관계형성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옴니채널 브랜드 체험은 브랜드 신뢰(가설 1), 브랜드 동일시(가설 2), 소비자-브랜드 관계(가설 3)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신뢰는 브랜드동일시(가설 4)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소비자-브랜드 관계(가설 5)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동일시는 소비자-브랜드 관계(가설 6)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소비자-브랜드관계는 재구매의도(가설 7), 구전의도(가설 8), 브랜드확장 수용성(가설 9)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옴니채널 브랜드 브랜드 성과간 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재구매의도는 구전의도(가설 10)와 브랜드확장 수용성(가설 11)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전의도는 브랜드확장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체험 및 개성이 소비자-브랜드 관계, 브랜드 애착,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외 브랜드 커피전문점 비교 - (The Effects of Brand Experience and Personality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s, Attachment, and Loyalty - A Comparison of Domestic and Global Brand Coffee Shops -)

  • 홍주영;김성수;한지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31-251
    • /
    • 2016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접 브랜드 체험 및 개성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애착도,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커피전문점 국내 브랜드와 국외 브랜드를 비교하여 커피전문점 브랜드의 성공적인 마케팅전략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기기입방식을 활용하였으며, 서울, 경기 지역의 20~40대의 커피전문점을 이용해 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500부를 배포하여 495부를 회수했으며 그 중 493부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피전문점 브랜드 체험 중 인지적 체험이 감각적 감성 체험에 비해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더욱 크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개성 중 세련이 흥미에 비해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더욱 크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체험 중 인지적 체험만이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감각적 감성 체험은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개성 요인 중 흥미만이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세련은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브랜드 애착에 비해 브랜드 충성도에 더욱 크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내 브랜드와 국외 브랜드를 비교분석한 결과, 국내 브랜드의 경우, 브랜드 개성 요인 중 세련만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 브랜드 경우, 브랜드 개성 요인 모두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전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성과관련 변수들의 역할 및 관계 (The Roles and Relationships of Consumer Brand Relationship and Brand Performance-Related Variables)

  • 김문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4호
    • /
    • pp.121-139
    • /
    • 2015
  • 본 연구는 연구문제 1로 소비자-브랜드 상호의존성, 소비자-브랜드 동일시, 브랜드향수, 브랜드 사랑의 4개 항목으로 크게 나누어 브랜드 신뢰 및 충성도와 항목의 중복성을 검토하였다. 고유값(eigen-value) 1이상을 기준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상했던 것과 달리 요인은 6개가 아니라 4개로 분류되었다. 이는 이전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브랜드 체험, 소비자-브랜드 관계, 브랜드 사랑 등 매우 정교화된 항목으로 나누어진 변수들이 여러 논문에서 검증되는 과정을 거치다보니 타당성 평가결과 상당히 중복되거나 기존 논문의 결과와 다른 항목들이 수렴되는 경우가 많이 존재했듯이 본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브랜드 사랑은 브랜드 충성도 보다 더 달성하기 힘든 개념이라는 것을 결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단순한 관계, 즉 브랜드 신뢰${\rightarrow}$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검증하였던 모형 1은 적합도가 매우 낮게 나타나 새로운 모형을 만들어 검증하였는데 대체로 본 연구는 브랜드 동일시${\rightarrow}$브랜드 신뢰${\rightarrow}$브랜드 충성도${\rightarrow}$브랜드 사랑의 과정으로 구성된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임을 밝혔다. 무생물인 브랜드를 인간과 같이 사랑한다는 것은 반복적 구매의지를 나타내는 기존의 행동적 충성도 보다 더욱 달성하기 어려운 개념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 PDF

자동차 브랜드 잠재소비자의 소비자-브랜드 관계 품질 형성에 대한 연구: 네이티브 광고의 효과를 중심으로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Formation of Potential Consumers for an Automotive Brand: Effectiveness of Native Advertising)

  • 김유승;최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56-67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차 브랜드 잠재소비자의 소비자-브랜드 관계 품질 형성에 있어서 네이티브 광고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1) 네이티브 광고의 유형에 따라 광고인지 여부와 광고가치의 차이, (2) 네이티브 광고의 광고가치가 브랜드 태도를 매개로 하여 소비자-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네이티브 광고를 목적에 따라 제품광고, 브랜드 광고, 비상업적 광고로 분류하고, 네이티브 광고의 형태로 제작한 후에 해당 자극물을 잠재소비자들에게 제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345부의 유효표본으로부터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은 비상업적 광고에 대해 낮은 광고인지 반응을 보이지만, 제품광고와 브랜드 광고에 대해서는 대부분 광고인 것을 인지하였다. 둘째, 응답자들은 네이티브 광고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은 불편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상업적 광고에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셋째, 네이티브 광고의 유희성, 정보성은 브랜드 태도를 매개하여 소비자-브랜드 관계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편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뉴미디어 광고환경에서 광고를 활용한 관계 형성 및 유지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uilding and Maintaing with Advertising in New Media Advertising Environment)

  • 최민욱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27-3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 및 소비자 대상 표적집단면접(FGI)을 중심으로 뉴미디어 광고환경에서 광고를 활용한 관계 형성 및 유지에 관해 연구하였다. 광고는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에 있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변화시키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광고로 인하여 브랜드와의 관계가 손상되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었다.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광고모델, 음악, 광고집행 프로그램 등이 광고의 주요 관련 요소로 기능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소비자 조절초점이 명품브랜드의 가치와 브랜드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s on The Luxury Brand Preference Depending on Consumers' Regulatory Focus)

  • 서용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73-92
    • /
    • 2011
  • 명품브랜드의 대중화는 소비자가 명품브랜드를 이용하는 방식과 소비하는 목적과 동기가 다양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품브랜드 시장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다양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명품 브랜드의 가치와 브랜드 선호도간 관계에서 조절초점 조절효과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명품 브랜드에 대한 지각된 가치는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에 따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품질가치와 경제적 가치는 향상초점 소비자집단보다 예방초점 소비자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난 반면에 심리적 가치는 예방초점 소비자 집단보다 향상초점 소비자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향상초점 소비자일수록 과시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가 명품브랜드 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예방초점 소비자일수록 품질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 마케팅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Message Framing Types of Sustainable Marketing Campaigns of Luxury Impacting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Brand Trust)

  • 김민정;이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245-252
    • /
    • 2024
  • 본 연구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소셜미디어 지속가능 마케팅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이라는 개인의 인지적 특성이 갖는 상호작용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은 소비자로 하여금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을 높였으며, 수용자의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은 각각 해당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단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메시지 프레임이 직접적으로도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를 형성하는데 있어 긍정적 효과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격특질, 브랜드 트라이벌리즘, 브랜드 몰입의 관계: 브랜드 신뢰성과 지각된 전환비용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Traits, Brand Tribalism, and Brand Commitment: Mediating Effects of Brand Trust and Perceived Switching Cost)

  • 최건;양병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53-161
    • /
    • 2020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성격특질과 브랜드 트라이벌리즘의 기본적 관계를 탐색하고, 브랜드 트라이벌리즘과 브랜드 몰입의 관계에 작용하는 브랜드 신뢰성과 지각된 전환비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젊은 소비자가 선호하는 중저가 의류 브랜드를 대상으로 대학생 표본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394명의 데이터(여자 213명, 남자 181명)를 타당한 자료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성격특질 가운데 외향성, 성실성, 정서안정성은 브랜드 트라이벌리즘의 형성과 유의미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트라이벌리즘은 브랜드 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브랜드 신뢰와 전환비용도 브랜드 몰입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브랜드 신뢰성은 브랜드 트라이벌리즘과 브랜드 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각된 전환비용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브랜드 트라이브의 강한 정서적 유대감이 전환장벽과 비용을 높여 브랜드 이탈을 막고 브랜드 관계에 대한 몰입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브랜드 개성,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 재구매 의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국내 피자 시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rand Personality, Custo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Domestic Pizza Market)

  • 김민정;서경화;이수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0-148
    • /
    • 2013
  • 국내 피자 시장은 성숙기에 있는 상태로, 시장 내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이에 쉽게 모방할 수 있는 제품이나 기술보다는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브랜드 개성이 기업의 이미지를 차별화 시킬 수 있는 적합한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는 Aaker JL(1997)의 브랜드 개성척도(BPS)를 바탕으로 피자 브랜드의 개성,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 재구매 의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91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SPSS 16.0과 AMOS 5.0 을 사용하여 연구의 타당성과 이용성을 검토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chi}^2$=394.809(p<0.001), ${\chi}^2$/df=1.747, RMR=0.087, GFI=0.900, NFI=0.920, CFI=0.964, RMSEA=0.051 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브랜드 개성 중 진실함 (${\beta}$=0.220), 유능함 (${\beta}$=0.167), 세련됨 (${\beta}$=0.420)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인 친밀함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실함 (${\beta}$=0.269), 유능함 (${\beta}$=0.185), 세련됨 (${\beta}$=0.179), 강인함 (${\beta}$=0.114)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인 브랜드 파트너 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인 친밀함(${\beta}$=0.515)과 브랜드 파트너 품질(${\beta}$=0.155)은 재구매 의도에 정(+)의(p<0.001)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향후 실무적인 관점에서, 해당 기업은 마케팅에서의 경쟁 우위를 점하기 위해 본 연구의 피자 브랜드 개성에 대한 연구의 결과들을 이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