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비자 행위

Search Result 27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ATV 홈쇼핑에서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Park, Jong-Hui;Kim, Do-Il;Choe, U-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3-215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의 CATV 홈쇼핑에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소비자들의 비윤리적인 행위에 관한 연구로서 소비자들의 비윤리적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심리학 분야에서 소비자들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와 오프라인 상의소비자 비윤리적인 행위에 관한 연구에서의 요인들을 홈쇼핑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홈쇼핑에 적용시켜보았다. 비윤리적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신뢰와 전환비용, 그리고 충성도로 보았다. 설문조사를 통해서 분석한 결과 홈쇼핑에 대한 신뢰와 전환비용은 소비자들이홈쇼핑에 대한 충성도를 만드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단계의 충성도는 소비자들의 비윤리적인 행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홈쇼핑 사들은 소비자들과의 관계를 보다 탄탄하게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환비용을 지각하도록 하는 것보다 소비자 스스로가 홈쇼핑 사를 신뢰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면 소비자들의 비윤리적 행위는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디지털시대의 소비자행위

  • Seol, Bong-Sik
    • Digital Contents
    • /
    • no.6 s.109
    • /
    • pp.90-99
    • /
    • 2002
  • 디지털시대의 소비자행위는 디지털과 온라인에 의한 새로운 유통구조의 생성으로 인해 소비자의 행위도 그 패턴이 변화되고 있다. 즉, 소비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시점에 즈음하여 소비자의 새로운 행위패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김성언;나선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9.12a
    • /
    • pp.613-62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 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하여분석을 하였다. 전자상거래는 거래활동의 주체에 따라 기업내 거래, 기업간거래, 기업과 소비자간거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기업과 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과 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 관점에서 소비자들이 전자상거래에서 제품이나 서비스 구매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하여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 PDF

The Effect of Korean Company Image on the Chinese Consumers' Evaluation of Korean products and Behavioral Responses -In terms of Beijing region and Samsung/Nongshim product- (한국기업 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평가 및 행위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북경지역과 삼성/농심제품을 중심으로-)

  • Yoon, Seong-Hwa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3 no.1
    • /
    • pp.189-217
    • /
    • 2009
  • This study is to learn if and how company-consumer identification in regard of Chinese consumers influences the consumers' behavioral responses with their evaluation on Korean products. To be learned also is differential influences on company-consumer identification generated by two different factors of corporate image, which are corporate a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btained by actu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oth corporate a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urn out to be positively influential on company-consumer identification. Second, the company-consumer identification as to the Korean companies displayed by Chinese consumers induces positive influences on Korean products, which in turn induces positive influences on Chinese consumers' behavioral respon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future the Korean companies already settled in China not only need to enhance corporate ability but also have to give effort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ir continuous and long-term relationship with Chinese consumers.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Buying Behavior Under The E-commerce Environment. (전자상거래의 소비자 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Han, Kyung-Il;Son, Won-I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7
    • /
    • pp.321-33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nsumer's buying behavior under the e-commerce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vendor characteristics, securities of transaction, concern for privacy, shopping orientation and perceived channel utiliti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indings of study indicated that the concerns for abusing individual information, perceived securities of transaction, consumer's recreational orientation, consumer's convenience orientation, perceived distribution channel are the robust predictors of buying behavior of internet users.

  • PDF

A Cross-Cultural Study of Value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onsumerism: The Case of Korean and United States Consumers (가치구조와 환경소비주의에 관한 타 문화간 비교연구: 한국과 미국 소비자사례)

  • Kim, Yeonshin;Choi, Sejung Marina;Nora Rifon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0 no.4
    • /
    • pp.35-64
    • /
    • 2009
  • In an effort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green buying behavior, the present study proposes and tests a comprehensive model of how values influence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nd preferences for green products in a cross-cultural setting.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with consumers in two cultures, diametrically different on values salient to environmental consumerism, the U.S. and Korea. As a result of model testing both at the national and multi-group levels, a refined, final model is presented. While the core human values were found to relate to environmental attitudes and green buying behavior, the pattern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emerged to differ between the two cultur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ross-cultural investigations in this area. Results suggest that biospheric values significantly influence environmental attitudes and green consumption in both countries. However, the effects of egoism were significant among American respondents whereas altruism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 and behavior in the Korean sample.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aid international marketers in their understanding of what drives consumers' green buying behavior in different cultural settings.

  • PDF

An Effect of Consumers' Types of Buying Behavior Values and Types of Price Discount on Product Attitude (소비자들의 구매행위 가치관 유형과 제품의 가격할인 유형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 Kim, Eun Hee;Kim, Hwa D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0
    • /
    • pp.135-144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consumers' product attitude according to the type of buying behavior values and the type of price discount among their lifestyle. First, the factors of values comprising consumers' buying behavior were derived as frugal buying, impulse buying, quality buying, and principle buying.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types of buying behavior value included high quality impulse buying, reasonable buying and practical buy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product attitude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umers' buying behavior values. Third,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the type of price discount and consumers' product attitude according to the type of buying behavior values. Fourth, among the factors of value comprising consumers' buying behavior, frugal buying factor has an effect on the product attitude with price discount of 50% and quality buying and impulse buying factors have an effect on the product attitude with bundle price discount (1+1). The above mentioned result of study suggests that when a company establishes a strategy of price discount, it should consider sales promotion strategy taking account of consumers' buying behavior values and type of product price discount.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Customer-Brand Relationship of Fashion Social Brand on Brand Equity (패션 사회적 브랜드-소비자 관계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Na, Youn Kue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8 no.2
    • /
    • pp.1-14
    • /
    • 2016
  • 사회적기업의 브랜드를 추구하는 패션 소비층은 개인적인 가치 기준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중시하고 자신만의 감도를 찾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패션 사회적 브랜드는 새로운 각도에서 소비자들을 이해하며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 사회적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세부적 요인이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들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대해 규명하며, 연구결과를 기준으로 패션사회적 브랜드가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예측하여 보다 효율적인 브랜드 전략을 진행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bigcirc}{\bigcirc}$ 패션 사회적 브랜드 상품구매경험자를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0.0, AMO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을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행위적 몰입, 인지적 믿음은 브랜드 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감성적 유대는 브랜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행위적 몰입, 감성적 유대, 인지적 믿음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PDF

Modeling Consumers' WOM (Word-Of-Mouth) Behavior with Subjective Evaluation and Objective Information on High-tech Products (하이테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정보 구전 활동에 대한 연구)

  • Chung, Jaihak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1 no.1
    • /
    • pp.73-92
    • /
    • 2009
  • Consumers influence other consumers' brand choice behavior by delivering a variety of objective or subjective information on a particular product, which is called WOM (Word-Of-Mouth) activities. For WOM activities, WOM senders should choose messages to deliver to other consumers. We classify the contents of the messages a consumer chooses for WOM delivery into two categories: Subjective (positive or negative) evaluation and objective information on products. In our study, we regard WOM senders' activities as a choice behavior and introduce a choice model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oice of different WOM information (WOM with positive or negative subjective evaluation and WOM with objective informa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formation source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by developing two bivariate Probit models. In order to consider the mediating effects of WOM senders' product involvement, product attitude, and their characteristics (gender and age), we develop three second-level models for the propagation of positive evaluations, of negative evaluations, and of objective information on products in an hierarchical Bayesian modeling framework.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WOM senders' information choice behavior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ources on WOM activities differ according to the types of WOM messages (subjective evaluation (positive or negative) and objective information). Therefore, our study concludes that WOM activities can be partially managed with effective communication plans influencing on consumers' WOM message choice behavior. The empirical results provide some guidelines for consumers' propagation of information on products companies want.

  • PDF

소비자 주권시대의 광고 규제 - 자율성 보장하되 소비자의 피해를 에방하는 대책 마련해야

  • Na, Gyeong-Su
    • The Monthly Technology and Standards
    • /
    • s.101
    • /
    • pp.38-40
    • /
    • 2010
  • 사업자는 소비자와의 관계해서 물품과 용역을 공급함에 있어 소비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며 소비자의 생명과 신체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주의를 행할 의무가 있다. 단적으로 말해서, 광고 행위가 표현의 자유이든 영업상의 권리이든 간에 소비자의 권리를 침해할 자유만은 결코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