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비에너지 최적화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Low Power Scheduling Based On Device Characteristics (디바이스 특성을 고려한 저전력 스케줄링)

  • Yang, Hea-Beck;Ha, R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121-123
    • /
    • 2003
  • 현재 사용되는 PDA, 핸드폰 등의 이동기기는 보다 좋은 성능과 향상된 기능에 대한 시장의 지속적인 요구로 고성능을 요구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점차 추가되고 있다. 이에 고성능 프로세서의 탑재가 일반화 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전력 소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시스템 전력 사용량의 증가 문제를 해결하고자 DVS기법, DPM기법 둥이 제시되었으나 모바일 기기에 저전력 프로세서의 탑재가 일반화 되면서 전체 에너지 소비측면에서 디바이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증대되어 기존 스케줄링 기법은 하나의 시스템 요소만을 위한 최적화 방법을 제시할 뿐 전체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시키지는 못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동기기에서 프로세서의 속도를 결정하는 과정과 스케줄러가 태스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 단위 시간당 디바이스의 에너지 소비가 프로세서의 단위 시간당 에너지 소비보다 큰 현실을 반영하여, 태스크의 실행 중 필요한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량을 기준으로 스케줄러가 프로세서 최적화 정책과 디바이스 최적화 정책 중 올바른 스케줄링 정책을 선택하여 프로세서의 속도를 결정하고 실행순서를 조절함으로써 시스템의 가용시간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Energy-aware Dalvik Bytecode List Scheduling Technique for Mobile Applications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에너지-인식 달빅 바이트코드 리스트 스케줄링 기술)

  • Ko, Kwang Man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3 no.5
    • /
    • pp.151-154
    • /
    • 2014
  • An energy of applications had consumed through the complexed inter-action with operating systems, run-time environments, compiler, and applications on various mobile devices. In these days, challenged researches are studying to reduce of energy consumptions that uses energy-oriented high-level and low-level compiler techniques on mobile devices. In this paper, we intented to reduce an energy consumption of Java mobile applications that applied a list instruction scheduling for energy dissipation from dalvik bytecode which extracted Android dex files. Through this works, we can construct the optimized power and energy environment on mobile devices with the limited power supply.

Global Optimization Techniques for Power Consumption Optimization (전력 소비 최적화를 위한 전역 최적화 기술)

  • Kim, Seong-Jin;Youn, Jong-Hee M.;Ko, Kw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282-284
    • /
    • 2012
  • 임베디드 분야에서 전력 에너지 소비 문제는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휴대성이 강조되는 모바일 장치의 제한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하드웨어적인 관리 못지않게 소프트웨어적인 관리 기술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전력 소비 관리를 위한 최적화된 컴파일러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장치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한 전역 코드 스케줄링 기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재목적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인 EXPRESSION의 컴파일러인 EXPRESS의 코드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전력 에너지 효율적인 전역 코드 스케줄링 모델을 설계하고 성능평가 방법을 제시한다.

Energy Optimized Management algorithms base on Environment in Home Area (댁내 에너지 관리 최적화를 위한 환경센싱 기반 제어 방법)

  • Eun, Soon-Ki;Choi, Won-Seok;Choi, Seo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221-224
    • /
    • 2015
  • 최근 전력수요의 급증으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기 위한 연구가 급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물인터넷 서비스들은 사람의 편의성을 위한 방향으로 발전해왔기 때문에 에너지의 효율화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내 환경 상태 센싱을 통한 에너지 관리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에너지 관리 최적화 알고리즘은 실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온도, 조도, 습도 등 센싱된 정보는 주어진 임계값 내에서 사용자 환경에 적응적으로 최적화하여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킨다. 성능분석결과 기존의 소비전력환경 대비 LED조명의 경우 하루에 약 180W의 대기전력을 절약하였고, 에어컨의 정우 한달에 약 38,550kW의 대기전력을 절약하여 환경에 따른 에너지 절약효과를 보였다.

최신 에너지 절약 기술

  • Jeon, Yong-Seon;Yu, Sang-Bong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19 no.11
    • /
    • pp.24-27
    • /
    • 2000
  • 최근 건물의 조명설비 사용전력이 전체 소비전력의 30% 이상을 상회하여 조명설비 소비전력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로 조명설비 전력을 환경에 맞게 최적화하여 에너지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것이 조명절전제어 시스템이다. 이러한 조명절전제어장치는 각 층 분전반에 설치하여 건물내에 조명설비를 각종 Program-mable Switch 등으로 수동 및 원격 제어하는 System이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된다.

  • PDF

Energy-oriented Dalvik Bytecode Scheduling Technique (에너지-지향 달빅 바이트코드 스케줄링 기술)

  • Ko, Kwang-Man;Park, Hee-Wan;Youn, Jong-Hee;Choi,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01-102
    • /
    • 2012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 보급이 급증하면서 안드로이드 가상머신인 달빅(dalvik)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전력 공급이 제한적인 모바일 기기에서 효율적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플랫폼의 성능 향상과 더불어 전력 에너지의 최적화된 소비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 논문은 달빅에서 실행되는 dex 파일의 바이트코드를 에너지 소비 중심으로 스케줄링하여 Java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에너지 지향적인 스케줄링 기법은 전통적인 리스트-인스트럭션 스케줄링 기법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스케줄링 전 후의 실험 결과를 제시하여 이 연구의 효과를 입증한다.

WoO기반 스마트 홈의 지능형 에너지 관리 기능 구조

  • Kim, Yeong-Jun;Jeon, Yong-Geun;Jeong, Il-Y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5
    • /
    • pp.69-78
    • /
    • 2013
  • 본 논문은 스마트 홈 내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에너지 사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WoO 기반의 효율적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구조를 제안한다. 스마트 홈 주변 다양한 디바이스와 상황 정보를 오브젝트화하며, 홈 내의 에너지 소비 상황 및 환경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에너지 흐름과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를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와 기능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사용자 프로파일 및 다양한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시맨틱 온톨로지를 이용한 사용자 정책 기반의 에너지 관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의 에너지 관리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하여 시시각각 변하는 다양한 콘텍스트 정보에 따라 홈 에너지 흐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낭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여 사용자 중심의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velopment of Wide Area Electric Energy Saving Management System for SMEs (광역 중소기업 전력 저감 관리 시스템 개발)

  • Cho, Hyun-Sang;Seo, Sang-Hyun;Kim, Yo-Hee;Jang, Hong-S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80-181
    • /
    • 2011
  • 에너지 절약 최적화를 위한 녹색 기술개발은 지속가능경제와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세계적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중소기업은 다양한 품목에서 자체적인 생산활동을 수행하며 대기업 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실질적으로 공급하고 전체 근로자의 85%이상을 고용하는 등 국가적인 부가가치 창출에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인적자원과 관리 인프라의 부족과 부재로 인해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를 통한 에너지 사용 절감을 위한 최적화 활동 수행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향후 직접적인 에너지 절감을 통한 원가 경쟁력 향상은 물론 향후 탄소 거래제와 생산 공정과 결과물에 대한 정량적인 탄소배출량 관리제도의 법제화에 대비하여 이러한 제한상황에 대한 해결안 제시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해안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전력저감센터에서 개발중인 중소기업을 위한 energy saving management system (ESMS)에 대해 기술한다. ESMS는 개별 공장에서 소비되는 전체전력과 대표 부하에서의 소비전력의 전력품질과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부하특성에 맞는 전력저감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자체적인 과거 소비전력 경향과 광역 공단의 전체 소비 데이터와의 비교 데이터를 통해 자체적인 전력 소비 현황 및 절감대책을 수립하도록 지원한다.

  • PDF

The model of Smart City based on Smart Grid and internationalization scheme (스마트그리드 기반의 스마트시티 구축모델과 국제화 방안)

  • Lee, Hu-young;Hwang, Woohyun;Lee, J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1-42
    • /
    • 2015
  • 도시에서의 에너지는 주로 인력에 의해 관리되고 소비된다. 전력이나 물, 가스 등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화석연료로 생산되거나 만들어진다. 따라서 전력 등과 같은 에너지의 소비가 많을수록 이산화탄소 배출이나 지구온난화가 심화된다. 도시의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의 공급체계는 건축물과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통합적 관리를 통해 사용량을 최적화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그리드 시티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홈, 타운, 시티를 거쳐 최종적으로 스마트 에너지 국가를 완성하게 된다.

  • PDF

Energy-Efficient Operation Simulation of Factory HVAC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 기반 공장 HVAC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화 운영 시뮬레이션)

  • Seok-Ju Lee;Van Quan Dao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2
    • /
    • pp.47-54
    • /
    • 2024
  • The global decrease in traditional energy resources has prompted increasing energy demand, necessitating efforts to replace and optimize energy sources. This study focuses on enhancing energy efficiency in manufacturing plants, known for their high energy consumption. Through simulations and analyses, the study proposes a temperature-based control system for HVAC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operations, utiliz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predict and optimize factory temperatu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is approach, particularly the prediction-based free cooling algorithm, can achieve over 10% energy savings compared to existing systems. This paper presents that implementing an efficient HVAC control system can significantly reduce overall factory energy consumption, with plans to apply it to real factori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