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비비젼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의복 구매 의사 결정에 관련된 소비 비젼에 관한 연구 (Consumption Vision in Apparel Buying Decision Making)

  • 박은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4호
    • /
    • pp.336-34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vision related to the apparel buying decision-making. They propose that consumers form mental images of future consumption situations and that these consumption visions influence their decision-making. Consumers can imagine themselves consuming apparel products and experiencing the consequences of this consumption. By imagining the likely outcomes, they are able to identify the salient characteristics of each alternative and develop beliefs about their outcomes. Also, they can experience affective reactions to the outcomes they imagines. In this way, they form the cognitive and affective basis for their preferences and construct several consumption visions in the apparel buying decision-making. A consumption vision is "a visual image of certain product-related behaviors and their consequences....(they consisted of concrete and vivid mental images that enable consumers to vicariously experience the self-relevant consequences of product use"(Walker & Olson, 1994). We conducted unstructured, depth interviews with 9 groups participating 48 students at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 visions related to the apparel buying decision-making are characterized as self-image, reactions of others, affection and mood, visual imagine, and self-satisfaction. By constructing consumption visions based on the various perspectives, consumers are influenced in the apparel buying decision-making. Many subjects reported experiencing positive affect when imagining positive outcomes of product use. Other subjects mentioned using consumption visions for purely hedonic reasons. With no intention of purchasing apparel products, consumers may evoke consumption visions to escape from the daily life, to fantasize and daydream about pleasurable consumption situations, and to enhance the mood. That is, the consumption vision related to the apparel buying decision-making helps consumers anticipate an uncertain future and make the purchase of apparel products.

  • PDF

주얼리 디자인 전공 교육의 비젼과 실무를 통한 문화경영 (Culture Management through Vision and Practical of Jewelry Design Education)

  • 심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140-149
    • /
    • 2007
  • 주얼리(Jewelry) 관련 산업 사회인식전환은 교육이론과 실무자의 책임의식 변화가 선행 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주얼리 산업 중 주얼리 디자인에 관한 관심과 증가가 이어져 문화경영으로서 비젼(Vision)과 가능성을 가져 올 것인가에 대한 논의로 주얼리 디자인의 논리적 체계화와 주얼리 디자이너의 윤리적 교육과정이 차세대 주얼리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세계의 주얼리 산업 중 이탈리아의 주얼리 교육과 산업을 통해 주얼리 디자인의 존재방식과 최근 트렌드, 소비 형태에 따른 디자인 경영의 새로운 콘텐츠와 사례들을 들어 분석함으로서 국가적 경쟁력을 넘어 선 미래의 문화 산업으로의 발전 가능성과 그에 동반하는 주얼리 교육의 윤리적 철학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디자이너의 지각과 행동이 디자인의 존재방식과 경영에 공감과 감성이라는 주얼리 디자인의 새로운 전통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찾고자 한다.

U-City에 있어서 온톨로지 기반 U-서비스 설계 (A Design of Ontology-driven U-Service in U-City)

  • 권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7호
    • /
    • pp.179-184
    • /
    • 2012
  • 도시의 궁극적인 목적은 '도시의 삶의 질 향상'이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지역사회 합의,평가와 지역공동체의 비젼과 목표의 공유는 물론 지역 및 커뮤니티의 컨텐츠 생산 및 유통 소비의 최적화가 요구된다. U-City에서 서비스의 내용인 콘텐츠의 공유에 대한 요구와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온톨로지는 공유를 전제로 의미적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는 온톨로지 기반 U-Service 모델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온톨로지 위치기반 콘텐츠를 최대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의 생성 및 서비스 구현의 가능성을 밝혀보았다.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탄소배출과 토지이용변화 분석 -진주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Carbon Emissions and Land Use Change for Low -Carbon Urban Management - Focused on Jinju)

  • 어재훈;김기태;정길섭;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9-134
    • /
    • 2010
  • 저탄소 녹색성장은 국내외적으로 중요한 정치적 이슈가 되고 있으며, 한국정부는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젼을 발표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탄소배출 추정은 도시계획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탄소저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거 40년 동안 진주시의 탄소배출 추정과 토지이용변화의 상호추이변화를 분석하였다. 토지적성평가 데이터베이스와 항공영상의 영상처리자료는 과거 40년간의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는데 유효한 정보를 주었으며, 신주거지 개발에 의한 토지이용변화는 급격한 인구집중과 탄소배출증가를 가져왔다. 앞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도시관리계획에 있어서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탄소배출 증가를 계획수립 시 반드시 고려해야하며, 향 후 토지이용과 연료소비추정이 포함된 정확한 탄소배출 추정모델개발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