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방설비

Search Result 59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Idea and Implementation of Augmented Reality-based Guidance System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기반 유도시스템 아이디어와 구현에 관한 연구)

  • Park, Myung-Suk;kwon, Soon-young;Kim, Kyung Uk;Kang, Dong-Hyeok;Kwon, Seung-Eon;Nam, Gung-Ung;Kwak, S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989-991
    • /
    • 2022
  • 최근 들어 기후변화와 함께, 화재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인명피해와 경제적 피해가 늘고 있다. 화재 발생시 인명 피해를 줄여주는 소방시설 중 경보설비와 유도등설비는 위험 상황시 경보와 함께 동선을 유도하는 유도등을 보고 재실자들이 안전한 공간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설비 이다. 이중에서 유도등설비는 화재발생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특히 복잡한 동선을 가지고 있는 복합건물 및 지하철, 고층건축물에 신속한 대피 유도에 필요한 설비이다. 그러나, 화재 초기에 신속한 대피를 해야 하는데 5분도 되지 않아 화재로 인해 발생한 가스는 검은 연기로 유도등의 역할과 효과를 저해하는 현상을 가져온다. 즉 유도등의 녹색빛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저시력자 또는 시력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자들은 더욱더 유도등을 확인하고 대피 하기란 쉽지 않게 된다. 이런 단점이 있는 기존의 유도등에 IoT(Internet of Things)와 함께 증강현실 이미지를 스마트기기에 활성화 한다면, 진한 검은연기로 인한 빛의 가림으로 인한 유도장애에 대해서 개선 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되어, 변류기의 전류 감지를 시작으로 그 신호를 스마트기기에 녹색의 유도 이미지를 활성화하여 골든타임에 대피가 신속하도록 설비를 구현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utomatic Fire Detector Spacing Calculation for Performance based Design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화재감지기배치의 공학적연구)

  • Yoon, Myong-O;Park, D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180-189
    • /
    • 2010
  • 현재의 화재안전기준에서 규정하는 화재감지기의 배치방법은 면적에 따라 규정된 숫자를 적정하게 배치하는 수준이다. 이 기준은 과학적인 근거는 가지고 있지 못하다. 외국의 기준을 도입하여 그에 따라서 설치하고 있을 뿐이다. 소방시설을 설계하는 방법에는 화재안전기준과 같이 명문화 된 규정에 따르는 규범위주설계(Prescriptive-Based)와 화재역학, 구조역학, 재료역학, 유체역학, 열역학 등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 성능위주설계(Performance-Based Design)가 있다. 현재로서는 성능위주설계가 활성화 되지 않았지만, 최근 소방시설공사업법은 성능위주설계방법을 이용하여 소방시설을 설계 할 수 있도록 개정('05. 8. 4)되었으며 그 시행령('07, 1. 24)에서 성능위주설계를 적용할 특정소방 대상물의 범위를 정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감지기를 최적의 위치 및 거리에 설치하기 위하여 그에 대한 공식의 도입과 공식을 Software로 계산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계산하고 규범위주설계에 따라 배치한 화재감지기의 상태와 비교 분석하며 향후 성능위주설계 방법으로서 정착시키기 위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Fire Risk for each Building Usage Based on the Reliability of Operation of Fire Protection System (소방설비 작동신뢰성 기반 건축용도별 화재리스크 분석에 관한 연구)

  • Jin, Seung-hyeon;Kim, Hye-Won;Seo, Dong-Goo;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13-114
    • /
    • 2020
  • In the design and maintenance of buildings, identifying the degree of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is an important factor in fire prevention and fire safety design. In order to predict fire damage, safety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by predicting the nature of evacuation according to fire, smoke and in-house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the operation of fire safety facilities should also be considered, but in Korea, the risk analysis due to the operation of fire safety facilities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uses fire statistics and sprinkler inspection data to analyze the degree of fire damage caused by the operation of sprinkler facilities in a probabilistic manner.

  • PDF

건축물에서 피난 경로 설계

  • 한양대학교건축설비.환경공학연구실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 no.3
    • /
    • pp.84-95
    • /
    • 1988
  • 이 논문에서는 Predtecheuskii와 Milinski에 의해 개발된 보행자 이동을 대비한 설계방법에 대하여 검토하고, 고층사무소 건물에서의 실제 피난훈련에 대하여 기술에서의 실제 피난훈련에 대하여 기술하면서 고충건물에서의 계단을 중심으로 한 출구의 모델을 제공한다. 또한 이 논문은 예측되는 피난 수단과 그것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을 간략하게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