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방방재시스템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8초

지하정보 실시간 연계 기반의 국가지진방재 통합정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Preventing National Earthquake based on Real-Time Connection of Underground Informations)

  • 석철호;장용구;송지혜;강인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0호
    • /
    • pp.43-51
    • /
    • 2014
  • 소방방재청에서는 최근 신속한 지진 예측 및 대응을 위한 중요한 정보인 지하정보를 기반으로 한 국가지진방재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과거 지하정보의 경우 개별 관리기관에서 구축 관리되고 있어, 신속하고 체계적인 지진방재에 활용에 있어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국가에서의 정부 3.0 정책에 따라 정보의 개발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기관간의 지하정보에 대한 연계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정보 중 국토교통부의 시추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간 연계체계 기반의 국가지진방재 통합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국가지진방재 통합정보시스템은 지진방재용 시추정보 DB 실시간 연계 입력모듈, V-world 타일 맵 기반의 국가지진방재용 지하정보 검색 분석 모듈, 국가지진방재 통합정보시스템 사용자 권한 관리모듈, 국가지진방재 통합정보시스템 사용자 관리모듈, 지진방재용 지하정보 활용 연계시스템과의 실시간 연계 인터페이스모듈로 구성하였다. 또한 지진방재를 위한 보다 안정적이고 강력한 지진방재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향후 고도화 추진개발 계획을 제시하였다. 국가지진방재 통합정보시스템의 시스템 완성도 확인을 위한 안정성 테스트 결과, 자료저장의 안정성에 대한 평균값은 97.7 %로 나타나 자료저장 시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시접속 시 시스템안정성과 처리속도의 일관성은 평균 1의 값을 나타내 전반적인 시스템의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전기 화재폭발 예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Electrostatic Fire Explosion)

  • 함은구;허대성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5-386
    • /
    • 2022
  • 본 연구는 방폭지역에서 정전기를 측정하는 설비 (EST:Electrostatic Transmitter), 측정 된 정전기를 저감시키는 설비(EES:Electrostatic Elimination System), 방폭지역에서 인체 정전기를 제거시키는 설비(방폭 디지털 제전봉)를 통한 비방폭구역에서 사용되는 정전기 측정장비와의 비교를 통하여 극히 제한적인 Basic Design(온도/압력/속 도/유량)으로 인한 설계나 장치 등 변경 등을 반영하여 방폭지역에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도출 제거할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으며 기존 사용되었던 비방폭지역의 정전기 제거 시스템을 보완한 방폭지역의 정전기 화재폭발 예방 기술을 적용하였다.

  • PDF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강원지역의 화재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Fire Patterns in Gangwon Province)

  • 김해림;신재욱;박영주;이해평;문경애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19-42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화재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앞서 화재의 유형을 분석하고자 강원지역을 대상으로 통계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SPSS와 Clementin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소방방재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의 2007년과 2008년 화재발생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과 같은 기초통계분석을 비롯하여 의사결정트리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강원지역의 화재건수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화재유형은 50% 정도가 건축/구조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재원인으로는 부주의가 가장 높았으며, 작동기기가 발생건수가 가장 높은 발화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화재수신기의 네트워크 효용성 (The Network utility of Fire alarm annunciator)

  • 백동현;이종문;김은수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14-119
    • /
    • 2010
  • 최근 설계, 시공되는 건축물은 초고층 또는 대단지 주거시설로서 화재발생시 초기에 빠른 대응이 요구 되나 근무자의 첨단 소방시설관리에 대한 지식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대형화로 인한 네트워크제어방식의 효용성을 알아보고 기시공된 현장의 화재수신기 네트워크 운영 실태 및 현황을 파악 하여 관리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0개 대형현장의 네트워크를 조사한 결과 경보시스템에 대한 낮은 신뢰도 때문에 타설비와의 시트템구축을 기피하고 있었다. 또한 방재관련 법규의 제한된 규정으로 인한 통신선 사용에 있어서의 문제점도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아울러 관리자의 잦은 이직으로 인한 기술적 축적 방안 마련, 복지문제와 면적이 넓은 네트워크시스템에 대한 신호처리방법 및 반응시간등에 대한 규정제정이나 운영상 표준화가 필요하였다.

  • PDF

다중포인트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지털 화재 방지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anti-fire monitoring system with multipoint communication protocol)

  • 김기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423-142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RS-485통신을 이용하여 1Km 이내의 근거리에 떨어져 있는 여러 단말기에 대한 입출력 정보들을 제어 할 수 있는 다중포인트 지원 화재 방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 하였다. 다중포인트 통신 프로토콜은 화재 감시 및 방재를 위해 소방수신기와 중계기 간의 접속을 지원하며, 단말기의 입출력 정보 처리 및 제어를 할 수 있으며 최대 8128개의 다중포인트 입출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또한 소방법에 명시한 제한된 시간내에 최대 1016개의 단말기 전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통신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해 중계기와 수신기 사이에 중계반과 중계반 제어장치를 설계하여 구현 확인하였다.

RS와 GIS를 이용한 지방자치단체 산불방재통합시스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Forest Fire Management System in the Local Autonomous Entity using RS and GIS)

  • 변종봉;경천구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통권 4호 Proceedings of the 2001 KSRS Spring Meeting
    • /
    • pp.56-61
    • /
    • 2001
  • 현재 산림청에서는 NGIS와 연계한 국가차원의 산림지리정보시스템(FGIS)을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중이며, 행정자치부에서는 정보화촉진기본법에 따라 국가적 행정종합정보화 차원에서 제안된 2단계 소방/재난관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범국가적인 사업과 연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 규모의 산림행정체계 규모의 산림행정체계에 적합하고, 국지적 기상조건 및 확산요인을 고려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일선 실무자의 행정생산성 향상차원에서 실제 활용될 수 있는 개별시스템으로 구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산림담당자가 산불의 사전예방 및 홍보활동을 위한 산불 다발지역을 분석하고, 광범위한 산림지역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기 위한 산불감시카메라 의 위치를 산정할 수 있으며, 산불 발생시 국지적 확산요인을 고려한 실시간 산불확산 형태 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평상시 소방시설물을 관리하고 산불발 생시 신속한 진압을 위한 각종정보(예 : 최단이동거리분석)를 제공하며, 산불감지 시점으로 부터 상황종료 시까지의 종합사고보고를 위하여 위성영상과의 비교분석 등 사후관리까지의 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 PDF

제주지역 유해화학물질 누출사고 시 영향범위에 관한 연구 - 불화수소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Scope from Hazardous Chemicals Leakage in Jeju Area - Focused on hydrogen fluoride -)

  • 임채현;도상현;김창영
    • 한국도시환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95-50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AERMOD 대기확산 모델을 이용하여 제주도에서 유해화학물질 중 불화수소의 소규모 유출사고 영향 범위를 산정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대응시스템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영향범위는 권역별로 서귀포소방서, 동부소방서, 제주소방서, 서부소방서 순으로 넓게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여름, 봄, 가을, 겨울 순으로 넓게 나타났다. 기상인자(풍속, 기온) 간의 상관성은 풍속이 0.998로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인반면, 기온과는 -0.463으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불화수소 누출사고 시 풍속에 따른 영향범위(m) = 13.922WS(풍속) - 5.195의 1차 방정식을 얻을 수 있었으며, 신뢰도($R^2$)가 0.99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급경사지 방재 및 관리를 위한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teep Slope Prevention and Management)

  • 이경철;장용구;송지혜;강인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9호
    • /
    • pp.77-85
    • /
    • 2014
  • 현재 소방방재청에서는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을 운영 중에 있으나 급경사지정보의 입력 및 관리를 위한 기능이 단순한 DB 입력 관리 기능으로 존재하고 있어 신속하고 체계적인 급경사지 관리에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빈번한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우면산 산사태, 춘천 산사태 등의 대규모 산사태가 증가하고 있어 급경사지의 위험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국가 재해 재난이 빠른 추세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및 관리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급경사지 방재 및 관리를 위한 GIS 기반의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급경사지 재해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및 안전한 관리를 위한 국가 차원의 GIS 기술 기반의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은 급경사지 일제조사서기반의 지표면정보와 지하공간정보의 입력 및 출력 DB를 설계 구축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은 지표면정보 입력모듈, 급경사지 주변 지하공간정보 DB 실시간 연계 입력모듈, V-World 배경지도 기반의 급경사지 검색 분석 관리를 위한 GIS 모듈, 급경사지정보 통합정보시스템 사용자 관리모듈, 급경사지정보 활용 연계시스템과의 실시간 연계 인터페이스모듈로 구성된다. 또한 개발한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자료저장률, 동시접속 시 시스템 안정성, 처리속도의 일관성에 대한 안정성테스트를 수행하여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연결성을 확보하였다.

방유벽 내 위험·유해화학물질 대기 확산 방지를 위한 안전시스템 연구 (A Study on a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tmospheric Diffusion of Hazardous and Noxious Chemicals in Dike)

  • 이덕재;송창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97-104
    • /
    • 2019
  • 한국 경제의 초석인 화학산업의 성장 이면에는 매년 수십여 건의 위험·유해화학물질 화학사고로 막대한 인명 및 환경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화학사고 주요 원인으로 염산, 불산 등과 같은 위험·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서 작업자의 부주의, 취급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방유벽 내 유·누출 후 대기 확산에 의한 인명 및 환경피해가 발생된 사례를 쉽지 않게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학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방유벽 내 유입된 위험·유해화학물질의 대기 확산 방지를 위한 방재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동일 주제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대기 확산 방지를 위한 방재시스템은 유·누출 감지단계, 경보·측정단계, 억제·차단단계 등 총 4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위험·유해화학물질방재시스템을 통해서 대기 확산과 같은 2차 화학사고 예방 체계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