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멸성

Search Result 563,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고준위 방사성핵종 소멸처리 기술의 검토 -핵특성 관점에서-

  • 김용희;조남진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5 no.3
    • /
    • pp.480-496
    • /
    • 1993
  • 원자력발전 핵연료주기에서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요소의 하나는 사용후핵연료에서 비롯되는 고준위 방사성핵종이다. 고준위 방사성핵종의 처분 방법으로서 심지층처분방식은 가장 손쉬운 방법이기는 하나 매우 장시간의 감시가 필요하며, 특히 자연환경으로의 누출가능성이 커서 이의 대안으로서 외국 몇 나라에서는 소위 소멸처리(Transmutation)방법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 현시점에서 소멸처리 방법으로 가장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은 원자로를 이용하는 것과 가속기 구동 미임계 시스템 (Accelerator-Driven Subcritical System)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본 기고문에서는 이들 방법을 중심으로 다양한 소멸처리 방법의 소개와 기술적인 문제점(특히 핵 특성관점에서)에 대한 고찰 그리고 향후 연구과제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비록 소멸처리 시스템의 현실화를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지만, 기술적인 가능성과 방사능의 소멸이란 면을 고려할 때 소멸처리시스템은 궁극적인 방사성핵종 처리기술로서 연구·개발할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방사성 폐기물 소멸처리 기술의 현황과 전망

  • 이명찬;황용수;신희성;김창락;김진웅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4 no.3
    • /
    • pp.329-335
    • /
    • 1992
  • 장반감기 초우라늄 원소들(Am, Cm, Np 등)과 핵분열생성물들(135Cs, 129I)이 포함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심지층처분할 경우도 장반감기 핵종들의 장시간에 걸친 유출현상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장반감기 핵종들의 심지층처분 대안으로 소멸처리 방식이 70년대부터 선진국들에서 활발히 연구되어져 왔다. 본 기고문은 이러한 소멸처리와 그 전단계인 군분리 기술의 현황과 향후 전망을 정리하고 특히 현존하는 소멸처리 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에서 수행할 소멸처리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PDF

A Novel Asymmetric Vertical Directional Coupler Switch (비대칭 수직 방향성 결합기 스위치)

  • Jo, Seong-Chan;Jeong, Byeong-Min;Kim, Bu-Gyun;Choe, Ji-Yeon;Hwang, Hyeong-Y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39 no.5
    • /
    • pp.31-40
    • /
    • 2002
  • We propose a novel ultra-short asymmetric vertical directional coupler switch (VDCS) with high extinction ratios larger than 30㏈ composed of switching operation induced section (SOIS), extinction ratio adjusted section (ERAS), and extinction ratio enhanced section (ERES). In this VDCSs, switching operation is achieved by changing the refractive index of one core in SOIS. The improvement of extinction ratios larger than 30㏈ for both cross and bar states is achieved by controlling the asymmetry of refractive indices between both cores in ERES. After propagating through ERAS with symmetry in the structure, different extinction ratios between cross and bar states at the end of SOIS are changed to the same value. For this reason, the optimum asymmetry of the refractive indices of cores to have the maximum extinction ratios and the lengths of ERES are the same for cross and bar states. Design guidelines to achieve high extinction ratios with large tolerances are presented.

Effects of Evanescent Modes over Axisymmetric Seabed (축대칭 지형을 지나는 파랑의 소멸파 성분 검토)

  • Goo, Ja Young;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56-5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파랑의 변형을 예측하는 방법 중 하나인 고유함수전개법을 이용하여 축대칭 형태의 지형 위를 통과하는 파랑의 소멸파 성분을 검토하였다. 기울기와 곡률이 변하는 지역에 고유함수 전개법을 적용하여 해석할 때 필요한 적절한 구간의 수와 소멸파 성분의 개수를 산정하였다. 고유함수전개법을 이용하여 파랑의 변화를 예측하는 연구는 Bremmer(1951)가 전자기파에 적용하면서 처음 제시한 후 Takano(1960)가 파랑 변형 연구에 적용하면서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밖에 Kirby and Dalymple(1983), Liu et al.(1992), Cho and Lee(2000), Bender and Dean(2003), 조용식과 이창훈(1998) 및 강규영 등(2007)에 의해 국내 외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의 대부분이 연직 2차원 지형에 대하여 수행되어 왔다. 3차원 지형에 대한 고유함수전개법은 Bender and Dean(2005)에 의해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에서는 수렴해를 얻기 위한 구간 및 소멸파 개수에 관한 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실제 해저 지역은 다양한 지형의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대칭 지형에 대하여 수렴해를 얻기 위해 구간을 나누어 해의 수렴성을 확인하여 적절한 구간의 수를 결정한 후 소멸파의 수를 변화시키면서 소멸파가 파랑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천해역 및 중간수심 영역을 구간의 수와 소멸파 성분의 수에 변화를 주면서 수렴성 검사를 한 결과, 천해 영역에서는 소멸파 성분의 영향이 적게 나타났으나 중간수심 영역에서는 적절한 개수의 소멸파를 고려해야 보다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water level-flow relationship curve due to the influence of aquatic vegetation (growth and extinction) (수중식생영향(성장과 소멸)에 의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변화)

  • Oh, In Ho;Lee, Jung Hoon;Yoon, Seong Hak;Yoon, Jae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20-420
    • /
    • 2022
  • 우리나라의 기후 변화(여름철 집중호우, 동절기 가뭄 등)로 인하여 과거에 비해 하천의 식생영향은 증가하는 추세이고, 하도 내 수중식생은 성장과 소멸을 반복하며 기존 수위-유량관계에 변동성을 유발하고 있다. 수중식생은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강우, 방류량 증가 등)에 일부 소멸하여 유량이 증가하고, 수위가 유지되거나 평균기온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성장으로 인하여 유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 내 수중식생의 성장과 소멸에 따른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변화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금호강 제1지류 자호천에 위치한 영천시(단포교)관측소를 대상으로 '18년~'21년까지의 수중식생의 성장과 소멸, 회귀하는 기간의 유량 측정 성과를 확보하고 수중식생 모니터링 자료를 수집하여, 식생영향에 따른 수위-유량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영천시(단포교)관측소는 수중식생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으며 단면 통제나 하도 통제가 아닌 식생통제를 고려하여 '18년~'20년까지는 식생 활착, 성장과 소멸이 진행되는 기간의 성과를 확보하였고, '21년은 저수위구간의 식생성장에서 소멸까지 점차 회귀하는 성과를 각 기간별로 확보하고 분석을 통해서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을 개발하였다. 수중식생의 성장에 따라 평균유속이 감소하며 곡선식은 (-)전이가 발생하였고, 수중식생의 소멸이 발생한 경우 평균유속이 증가하여 곡선식은 (+)전이가 발생하였다. 영천시(단포교)관측소는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와 유량측정성과를 바탕으로 총 5개의 기간분리가 발생하였으며, 각 기간별 곡선식 불확도와 편차율 검토 결과 유량측정성과와 곡선식은 정밀도 높은 정확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하도 내 수중식생영향에 따른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하였으며 확보한 유량측정성과의 분석을 통한 신뢰도 높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된 유량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전해정련 공정에서 지르코늄 및 세륨의 고체음극에 대한 전착특성

  • 권상운;강영호;김응호;유재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338-338
    • /
    • 2004
  • 건식공정 (pyrochemical process 혹은 pyroprocessing)은장수명핵종의 소멸처리를 위해서는 장수명핵종을 분리한 뒤 연료로 제조하여야 하며, 분리 공정은 습식공정과 건식공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용융염을 사용하는 습식공정에 비해 2차 방사성폐기물의 발생량이 적고 공정이 간단하고, 핵확산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크다는 장점 때문에 미래의 핵주기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소멸처리를 위해서는 사용 후 핵연료 내에 존재하는 장수명 핵종군 원소들을 분리하고 소멸처리용 연료에 적합한 형태의 물리 화학적 형태로 전환시켜야 한다.(중략)

  • PDF

Vertical Directional Coupler Switches with Switching Operation Induced and Extinction Ratio Enhanced Sections (스위칭 동작 유도 영역과 소멸비 향상 영역으로 구성된 수직 방향성 결합 스위치 설계)

  • Jo, Seong-Chan;Jeong, Byeong-Min;Kim, Bu-Gy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38 no.9
    • /
    • pp.643-651
    • /
    • 2001
  • Fused vertical directional coupler switches (FVCSs) with switching operation induced section (SOIS) and extinction ratio enhanced section (ERES) are proposed. In these FVCSs, switching operation is achieved by changing the refractive indices of both cores in SOIS and improvement of extinction ratios larger than 30dB for both cross and bar states is achieved by controlling the asymmetry of refractive indices between both cores in ERES. In addition, the design guidelines to have high extinction ratios larger than 30dB with large tolerances of the refractive index of cores are presented.

  • PDF

h Study on the polarization independent vertical directional couplers with high Extinction Ratios (편광에 무관하고 매우 높은 소멸비를 가지는 수직 방향성 결합기에 관한 연구)

  • 정병민;김상택;김부균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184-185
    • /
    • 2002
  • 고속의 광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광 스위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대용량의 광 스위칭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위 스위치는 작은 크기, 작은 손실, 높은 소멸비 등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또한 편광에 따른 성능의 변화가 작아야한다. 최근 융합 수직 방향성 결합기(Fused Vertical Coupler, FVC)의 연구를 통하여 매우 짧은 소자 길이를 가지며 매우 높은 소멸비를 얻을 수 있는 수직 방향성 결합기 스위치가 제안되었다. (중략)

  • PDF

Proposal for Direction of Response to Disappearance of Differentiated Local Areas (지역별 차별화된 지방소멸 대응 방향성 제시)

  • Sung Jin Kim;Dong E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161-163
    • /
    • 2023
  • 본 논문은 K-지방소멸지수를 바탕으로 지역 성장에 초점을 두어 지방소멸 대응 방향성을 제시한다. 연령별 추계인구 데이터와 총 요소 생산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청년층의 감소가 지역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연도별 청년이 가장 많이 유출되는 지역을 샘플링하여 전출 사유를 알아보고 지역별 차별화된 대응 방향성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Calculation of Urban Compactness Index Considering Space Syntax: Focusing on the Declining Local Cities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 압축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소멸위험도시를 중심으로)

  • HA, Ji-Hye;KANG, J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5 no.3
    • /
    • pp.29-58
    • /
    • 2022
  • Recently, Korea has been experiencing a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therefore the transition to a compact spatial structure is being urged. However, what is required is not just physical compression, but a compact city that also considers connectivity, in view of the changes in today's demographic and industrial structur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measures the compressibility of domestic cities suffering from extinction risk due to low birth rates, aging population, and population decline, and examined the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compressibility evaluation index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compressibility of six indicators (population, land use, service accessibility, transport accessibility, connectivity, and concentra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and a comprehensive compression index was calculated.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compression index, classified 2.3% cities in the first grade, 4.6% in the second grade, 16.09% in the third grade, 43.68% in the fourth grade, and 33.33% in the fifth grade areas. Currently, the urban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compactness index differ from region to re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easures and policies for extinction risk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each region's compactness index.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onnectivity was considered using spatial syntax, and the compactness of cities at risk of extinc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action strategy for extinction risk c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