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득세제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n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of Corporate Accumulated Earnings Tax System (기업소득 환류세제의 경제적 효과분석)

  • Kim, Dong-H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1
    • /
    • pp.367-380
    • /
    • 2020
  • Recently, Korea's economy is facing a difficult economic situation due to sluggish domestic demand, low corporate investment and a cliff in youth employment.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nd turn the economy into a virtuous circle,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nd implemented various economic polici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corporate accumulated earnings tax system included in the 2014 tax code revision were to be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business income was verified and analyzed using the financial data of the entity as to whether the income of the entity was being circulated to household income. First, validating the validity of whether the income tax on non-current income affects the level of an entity's investmen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at a significant level of 5 per cent. Second, the analysis of whether the return tax on corporate income is affecting management decisions that increase the level of dividends for an entity has identified a metaphorical positive relationship.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ome tax on uncurrency incom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in wages for workers. The result is presumed to be the main reason for the increased uncertainty in the economy and business environment.

The Effect of 1995 Tax Reform on Labor Supply in Korea (1995년 소득세제 개편이 노동공급에 미친 영향)

  • Chun, Dongmi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41 no.4
    • /
    • pp.1-30
    • /
    • 2018
  • The 1995 tax reform in Korea has brought adjustment to the tax bracket, marginal tax rate, and tax deduction system which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 in the income tax progressivity. In this paper we study the causal effect of the tax reform on male labor supply using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Using the data from Economic Active Population Survey (EAPS) and Daewoo Panel Data, we find about 1.5% increase in the hours worked of male wage workers.

  • PDF

양도소득세(讓渡所得稅)의 공급동결효과(供給凍結效果)와 개선방향(改善方向)

  • Kim, Myeong-Su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1 no.4
    • /
    • pp.3-22
    • /
    • 1989
  • 본(本) 연구(硏究)는 양도소득세제(讓渡所得稅制)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함으로써 양도소득세제(讓渡所得稅制)의 개선방향(改善方向)을 제시하는 것을 기본목적(基本目的)으로 하고 있는바 특히 양도소득세(讓渡所得稅)의 공급동결효과(供給凍結效果)(lock-in effect)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부동산처분시(不動産處分時)에 부과되는 양도소득세(讓渡所得稅)는 흔히 공급동결효과를 유발함으로써 부동산거레를 침체시키는 한편 부동산가격(不動産價格)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데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이를 자료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양도소득세(讓渡所得稅)의 공급동결효과(供給凍結效果)가 부동산 보유기간의 장기화에 따라 세부담(稅負擔)이 감소하는 데 기인하는 바 큼을 밝히고 양도소득세(讓渡所得稅)의 공급동결효과를 완화하고 더 나아가 세부담의 수평적 수직적 형평을 기한다는 측면에서 보유기간에 관계없이 세부담이 균등화되도록 양도소득세제(讓渡所得稅制)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밖에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시한 양도소득세제(讓渡所得稅制)의 개선방향은 첫째로 양도소득세(讓渡所得稅) 과세대상자산(課稅對象資産)의 범위를 확대하며, 둘째로 비과세(非課稅) 및 감면규정(減免規定)을 축소조정(縮小調整)하고, 셋째로 양도차익산정기(讓渡差益算定基準)을 일원화(一元化) 현실화(現實化)하며, 넷째로 부동산공부(不動産公簿)와 사실(事實)의 일치(一致)를 통해 부동산거래(不動産去來)의 포착률을 제고시키고, 끝으로 평균소득화(平均所得化)(income averaging)를 전제로 양도소득(讓渡所得)을 통상소득에 산입(算入) 종합과세(綜合課稅)하는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Estimation System under EITC (근로소득 장려세제에 따른 필요 예산 예측 시스템 개발)

  • Im, Cheol-Ung;Sin, Jeong-Tae;Jeon, Y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4a
    • /
    • pp.345-350
    • /
    • 2010
  • 2009년부터 도입된 근로소득 장려세제(EITC)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초생활 보장제도를 고려하고 근로소득 장려세제의 수급요건에 적합한 수급 세대규모와 상관분석 등을 통해 영향 요소를 선정하고 영향 요소를 예측하여 향후 근로소득 장려세제의 수급 규모나 필요 예산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예측에는 시계열 분석과 사회제도 성장에 적합한 로지스틱곡선 등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향후 제도에 따른 사회적 영향 예측과 제도 개선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전략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Corporate Non-reflux Income and Firm Value : A Review of Taxable Income Resources (미환류소득과 기업가치: 과세소득 재원의 고찰)

  • Kim, Jeong-Kyo;Kim, Hye-R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1
    • /
    • pp.221-22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ays to enhance corporate value by using more efficient use of non-reflux Income which is commonly considered in existing corporate income tax refund and newly introduced investment and mutual aid promotion tax.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effect of income tax return income and income tax return on wages and fixed - asset investments, which are commonly considered in the two tax systems, on firm val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hort-term internal reserves and income reflux activities had a negative impact on firm value, and long-term internal reserves and income reflux return had positive effects on firm value. It is recommended not to formulate uniform criteria such as the ratio of income refund activity to the contents of tax, but to apply the tax refund to the internal taxation system and the taxable income source.

Labor Market Participation Effects of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in Korea (근로장려세제가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효과)

  • Park, Jihye;Lee, Jungmi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41 no.3
    • /
    • pp.1-59
    • /
    • 2018
  •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is a policy that supports low-income households financially as well as provides an economic incentive to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Thus, estimating the causal effect of the policy o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low-income households is critical for the policy evaluation. In this paper, we exploit the variation in the eligibility to the EITC and the size of the benefit over several reforms of the EITC in South Korea since 2008 and estimate the impact on the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Using data from four major household surveys, we find that the results are mixed; in some samples and specifications, we find that the effect is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it is insignificant in others. The estimated effect is more likely to be positive and significant when we restrict the sample to the period before 2014. It is an important topic of future research whether the EITC's effect gets weaker because it is extended to cover the self-employed and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 PDF

사학연금 수급자의 해외거주 연금 수령시 과세상 법 개정에 관한 연구 : 캐나다 연금수령을 중심으로

  • Park, Seong-Uk;Kim, Su-Seong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3
    • /
    • pp.161-205
    • /
    • 2018
  • 최근 글로벌화의 시대의 도래로 인하여 과거와는 달리 사람들의 국제적 이동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과거보다 잦은 국제 인구이동으로 인하여 각 국가 간 조세협약이 매우 중요해졌으며, 이제는 과세측면도 양국가간의 조세협약에 따라 과세를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 하에서 연금수령 시 국가 간 조세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과세형평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과거에 비하여 최근의 연금세제 또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어 이제는 한 국가 내에서 만의 연금세제를 고려할 것이 아니라 글로벌화 시대에 부응하는 연금세제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주된 이유로는 국제이동 인력의 증가로 거주지국 과세원칙과 원천지국 과세원칙의 혼용뿐만 아니라 전세계소득(world-wide income)에 대하여 과세가 되므로 국제적인 이중과세의 위험에도 직면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최근 급증하고 있는 해외 이민지들에 대한 국제적 연금조세 측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외에 거주하는 사학연금 가입자에게 발생하는 과세상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책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외거주 연금수령자는 국내에서 지급하는 연금에 대하여도 전세계소득으로 해외 세무당국에 보고를 하도록 하고 있는데, 국민연금은 각 국 간의 사회보장협약의 체결로 인하여 과세를 하지 않는 반면, 특수직역연금 수령에 대하여는 거주지국의 전세계소득에 포함되어 국외 거주지국 과세대상에 포함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캐나다에서 연금을 수령하는 경우에는 더욱 확연한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캐나다 조세협약 제18조의 수정을 통해 현행 사학연금 수급자의 연금소득에 대하여 비과세할 필요가 있다. 사회보장법률에 따라 지급하는 연금에 대하여 비과세하는 현행 문구를 한국의 공적연금으로부터 지급하는 연금으로 지급하는 급부로 수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로 사회보장법률에 의해 지급하는 연금을 별도로 언급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국민연금 가입자와 특수직역연금 가입자 간의 과세 형평성을 달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연금세제의 국제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국제적 인력의 이동에 따른 연금세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민을 가고 있는 캐나다를 중심으로 연금세제 측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책적인 제안은 과세당국과 해외 연금수급자에게 편익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 특별소비세제(特別消費稅制)의 소득재분배(所得再分配) 효과(效果)

  • Gwak, Tae-W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9 no.3
    • /
    • pp.27-43
    • /
    • 1987
  • 본 논문은 우리나라 특별소비세부담(特別消費稅負擔)의 누진도(累進度) 혹은 역진도(逆進度)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指標)를 개발하고 이 지표를 이용해 동(同) 세제(稅制)의 소득재분배효과(所得再分配效果)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과세대상품목에 대한 소득계층별 지출비중만으로 편리하게 계산될 수 있는 세부담(稅負擔)의 역진성지수(逆進性指數)를 개발하고 도시가계조사자료(都市家計調査資料)를 이용하여 특별소비세 관련 품목에 대한 상기(上記) 역진성지수(逆進性指數)를 시산(試算)하였다. 시산결과(試算結果)는 전국적(全國的)인 자료(資料)를 이용하지 않았다는 점과 특별소비세(特別消費稅) 과세대상과 가계조사항목(家計調査項目)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 등 때문에 특별소비세부담(特別消費稅負擔)의 분포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없으나 대체로 예상되던 패턴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이 시산결과(試算結果)에 의하면 특별소비세(特別消費稅) 같은 개별소비세(個別消費稅)로서 소득재분배 목적을 달성하려는 시도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가지 문제들을 수반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 세제(稅制)의 개선(改善)은 외부효과(外部效果) 교정(矯正) 등 개별소비세 고유의 제한된 정책기능을 우선적으로 강조하는 소득재분배기능은 부차적(副次的) 목적(目的)으로 고려하는 방향(方向)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PDF

A Study on Rational Improvement of the Pension Income and Retirement Income Taxation (연금소득 및 퇴직소득 세제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Lim, Sung-Jong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6 no.1
    • /
    • pp.215-23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issue of pensions and retirement income tax which were amended from 2012 to 2016 and present a rational and intellectual improvement to this issue. [Methodology] This study was carried out a literature survey about the tax laws of pension income and retirement income.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ase-by-case tax burden, calculated the effect of tax burden by presenting the examples in the case of retirement incom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differential multiples in accordance with the seniority when leaving the company rather than applying the five times or 12 times in the tax base as the current retirement income tax. Also, It should be given the flexibility of pension income to ease the requirements of inevitable temporary receipt of a pension income. In addition, it is needed to expand separate taxation threshold which is current 12 million won. Finally, the annual limit of tax incentives for IRP should be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urrent 7 million won. [Implications] The improvement of the study is to offer suggestions on the revision of retirement income and pension income taxation to the tax authorities or National Pension Service and retirement pension provid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to develop policy options on the legislative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