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독공정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6초

떡류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The Application of the HACCP System to Korea Rice-cake)

  • 이웅수;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92-5799
    • /
    • 2013
  • 본 연구는 떡류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적용을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떡의 주원료, 작업장 시설과 작업자 등에 대하여, 2012년 9월 12일~2013년 2월 13일까지 서울시 용산구 서계동 소재에 있는 KB 업체에서 제공받았다. 제조공정도는 일반적인 떡류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작성하였다. 제조공정도는 원료 농산물(맵쌀, 찹쌀, 팥 등), 부재료, 용수와 포장재료의 입고, 보관, 계량, 세척, 불림, 분쇄, 체선별, 혼합, 시루작업, 증자, 내포장, 금속검출, 외포장, 보관 및 출하공정으로 Fig. 1과 같이 작성하였다. 원료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결과는 Table 1과 같다. 본 연구결과 떡의 원재료와 제품의 위해미생물검사 결과는 안전하나 제조환경과 작업자의 미생물검사 결과 체계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개인위생개념 향상과 작업장 내 공기중의 미생물 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로봇 착유시스템의 착유성능 및 착유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ilk Yield and Performance Analysis of Robot Milking System)

  • 김웅;이대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9-36
    • /
    • 2009
  • 부족한 노동력 해소와 유질 및 유량의 향상을 위해서 5축 다관절 매니퓰레이터와 착유컵 착탈 시스템 및 영상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로봇 착유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착유우 실험을 통해 시스템 성능분석 및 착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 착유컵 장착시간은 최소 17초, 최대 38초, 평균 27초가 소요되었으며, 이는 착유성능에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착유컵 탈락은 약 1초 내에 유두에서 탈락하는 것으로 나타나 착유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 로봇 착유시스템을 이용한 착유량은 평균 착유량은 7.5 kg으로 나타났으며, 주간 착유량의 표준편차는 0.7 kg으로 나타났다. 비유곡선을 이용한 착유량 분석도 로봇 착유시스템에 의한 착유 시 착유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로봇 착유시스템은 착유컵 착탈 성능과 착유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착유실내의 모든 착유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착유전 유두세척, 유두 마사지 및 전처리 공정과 착유우 후처리 및 소독 공정이 모두 필요한 사항이며, 앞으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하수의 오존과 UV처리가 탁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zone and UV Treatment of Groundwater on the Quality of Wine)

  • 박영규;김희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5-261
    • /
    • 2004
  • 일반적으로 탁주 생산 공정에서 오존을 처리하는 경우는 용기 및 음용수의 소독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지하수 등에 오존을 이용하는 경우, 오존의 산화반응으로 탁주의 품질 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금 공정에서의 오존처리효과를 분석한 결과, 오존 처리시 수중의 오존의 오존농도가 1 ppm이하의 규정을 유지한 상태에서 오존주입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오존 증가와 함께 에탄올의 생성량은 1차 담금 4일 째부터 20%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존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오존과 자외선을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에 에탄올 생성량은 10%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존의 주입시간에 따라 에탄올 발생량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오존주입시간을 4시간 처리한 경우가 미 오존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수중의 경도는 85%이상 감소되며 전기전도도는 50%이상 증가하였지만 수중의 산소농도는 1.2 ppm 미만으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하수의 오존주입시간별 발효일 경과에 따라 에탄올 발생량을 비교해 본 결과 담금 첫날과 비교하여 담금일 4일후 최대 300%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론을 토대로 1차 담금에서 당의 생성량을 비교해 본 결과, 오존단독 처리와 오존과 자외선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였을 경우에 당의 생성량은 35%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 coli 불활성화와 산화제 생성에 미치는 소독 공정 결합의 영향 (Effect of Disinfection Process Combination on E. coli Deactivation and Oxidants Generation)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891-898
    • /
    • 2011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ombination of disinfection process (electrolysis, UV process) on Escherichia coli (E. coli) disinfection and oxidants (OH radical, $ClO_2$, HOCl, $H_2O_2$ and $O_3$) generation. The effect of electrolyte type (NaCl, KCl and $Na_2SO_4$) on the E. coli disinfection and oxidants generation were evalu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performance of E. coli disinfection of electrolysis and UV single process was similar. Combination of electrolysis and UV process enhanced the E. coli disinfection and 4-carboxybenzaldehyde (4-CBA, indicator of the generation of OH radical) degradation. It is clearly showed synergy effect on disinfection and OH radical formation. However chlorine ($ClO_2$, HOCl) and oxygen type ($H_2O_2$, $O_3$) oxidants were decreased with the combination of two process. In electrolysis + UV complex process, electro-generated $H_2O_2$ and $O_3$ were reacted with UV light of UV-C lamp and increased 4-CBA degradation(increase OH radical). Disinfection of electrolyte of chlorine typ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ulfate type electrolyte due to the higher generation of OH radical and oxidants.

물리·화학적 처리공정을 이용한 Artemia sp. 불활성화 예측을 위한 소독 모델 (Disinfection Models to Predict Inactivation of Artemia sp. via Physicochemical Treatment Processes)

  • 정창;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1-432
    • /
    • 2017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uitability of ten disinfection models for predicting the inactivation of Artemia sp. via single or combined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s. The effect of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on the inactivation of Artemia sp. was examined experimentally. Disinfection models were fitted to the experimental data by using the GInaFiT plug-in for Microsoft Excel. The inactivation model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RMSE (Root Mean Square Error), SSE (mean Sum Square Error) and $r^2$. An inactivation model with the lowest RMSE, SSE and $r^2$ close to 1 was considered the best. The Weibull+Tail model wa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for predicting the inactivation of Artemia sp. via electrolytic treatment and electrolytic-ultrasonic combined treatment. The Log-linear+Tail model was the most appropriate for modeling inactivation via homogenization and combined electrolytic-homogenization treatment. The double Weibull disinfection model was the most suitable for the predicting inactivation via ultrasonic treatment.

고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국산화 개발 (Localization Development of On-Site High Sodium Hypochlorite Generation)

  • 김정식;신현수;이은경;정붕익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1권1호
    • /
    • pp.83-90
    • /
    • 2013
  • 본 연구는 정수처리공정에서 사용하는 염소소독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기존 액화염소를 대체할 수 있는 현장발생형 고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국산화 개발하는 것이다. 이 장치는 포화소금물을 이용한 전기화학적 특성으로 고농도(12%)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는 것으로, 저농도(0.8%)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보다 전류효율 38.7 % 높이고, 소금사용량 54.6 %와 클로레이트 함량 97.3%을 저감하는 장치이다.

전기분해 공정을 이용한 E. coli 소독에 미치는 인공하수 수질의 영향 (Effect of Water Quality of Artificial Sewage on E. coli Disinfection Using Electrolysis Process)

  • 박영식;김동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115-1124
    • /
    • 2011
  • There is an increasing incidence in health problems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that originate from inadequate treatment of sewage. This has compelled scientists to engage in innovative technologies to achieve a effective disinfection process. Electrolysis has emerged as one of the more feasible alternatives to conventional disinfection process.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paper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emical characteristics on oxidant formation and Escherichia coli (E. coli) disinfection in synthetic sewage effluents. The influence of parameters such as COD, SS, T-N and T-P were investigated using laboratory scale batch reac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COD, T-N and T-P concentration, the lower N, N-Dimethyl-4-nitrosoaniline (RNO, indicator of the generation of OH radical) degradation and E. coli disinfection was observed. The order of effect of RNO degradation and E. coli disinfection was T-P > COD > T-N > SS. When 4 parameter of water quality were worked simultaneously, oxidants formation and disinfection was de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oncentration of sewage. To increase of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the increase of disinfection time or electric power was need.

플라즈마 공정에 대한 소독 모델 적용 (Application of Disinfection Models on the Plasma Process)

  • 백상은;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95-704
    • /
    • 2012
  • The application of disinfection models on the plasma process was investigated. Nine empirical models were used to find an optimum model. The variation of parameters in model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first voltage, second voltage, air flow rate, pH)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xplain the disinfection model. In this experiment, the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reactor was used to inactivate Ralstonia Solanacearum which cause wilt in tomato plantation. Optimum disinfection models were chosen among the nine models by the application of statistical SSE (sum of squared error), RMSE (root mean sum of squared error), $r^2$ values on the experimental data using the GInaFiT software in Microsoft Excel. The optimum model was shown as Weibull+talil model followed by Log-linear+ Shoulder+Tail model. Two model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data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operating conditions. In Weibull+talil model, Log10($N_o$), Log10($N_{res}$), ${\delta}$ and p values were examined. And in Log-linear+Shoulder+Tail model, the Log10($N_o$), Log10($N_{res}$), $k_{max}$, Sl values were calculated and examined.

E. coli 불활성화를 위한 단일 소독 공정의 비교 (A Comparison of Single Disinfection Process for Inactivation of E. coli)

  • 김동석;송승구;박영식
    • KSBB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25-32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ree kinds of single process (electrolysis, UV and ultrasonic process) for the purpose of disinfection of Escherichia coli in water. Among the five kinds of electrode material, disinfection performance of Ir electrod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electrodes. The order of disinfection performance for E. coli in single process lies in: electrolysis > UV $\gg$ ultrasonic process. Performance of the three single processes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electric power. Disinfection efficiency of the three processes was increased with the decrease of the pH. Disinfection of the UV process were decreased by the increase of NaCl dosage and air flow rate. However, ultrasonic process was not affected above two parameters. OH radical was not produced in UV and ultrasonic process. E. coli disinfection of the electrolysis process was well agreed with RNO degradation tendency, except pH.

식육 부산물을 활용한 순대의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Sundae (Korean Sausage) Made of Meat By-Products)

  • 정진숙;김윤정;엄애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81-188
    • /
    • 2022
  • 최근 식육부산물 가공식품의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식육부산물의 생산, 유통 그리고 소비과정에서 위생안전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대의 위해요소를 분석, 평가하여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에 근거한 식육부산물 생산업체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와 소규모 제조업체의 품질관리 기준 설정 및 위생관리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순대 생산에 적용되는 원료(24건), 제조공정(7단계), 제조설비 및 도구(40건), 작업장 환경(17구역), 작업자(12명)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분석하였다. 원·부재료 돈혈의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각각 6.28±0.48, 4.07±0.42 log CFU/g 검출되었고, 돈소창의 대장균군 3.23±0.16 log CFU/g 검출되어 초기단계의 위해요소가 지적되었다. 혼합과 충진공정에서의 일반세균은 각각 5.23±0.17, 5.45±0.37 log CFU/g, 대장균군은 각각 3.25±0.23, 3.31±0.24 log CFU/g로 높게 나타나 미국 육군 Natick의 위생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작업장 충진실과 돈소창 세척실의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나 세척·소독 후 일반세균은 약 98% 미생물 오염도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대장균군은 모든 구역에서 불검출 되었다. 순대 제조공정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세척·소독 및 구역별 분리와 작업자의 위생관리가 선행되어야 하며, 제품의 보관 및 유통단계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할 것을 제안한다. 향후 식육부산물의 활용한 가공식품의 안전성평가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와 한계기준 유효성평가를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