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나 센서

Search Result 333,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n experimental analysis of vibration-induced noise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a sonar acoustic sensor (소나 음향센서의 진동유기 소음 차단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Kim, Kyungseop;Je, Yub;Kim, Ho-Jun;Cho, Yo-Han;Lee, Jeong-Min;Kim, Donghyeon;Chang, Woosu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2
    • /
    • pp.193-199
    • /
    • 2019
  •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underwater vibration experiment are analyzed to verify platform vibration-induced noise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a hull-mounted acoustic sensor. The experimental condition causing platform vibration-induced noise is generated using the mock-up hull, where the acoustic sensor is installed, with shaker in an acoustic water tank. The performance indices of ATF (Acceleration Transfer Function), AVS (Acceleration Voltage Sensitivity), and IL (Insertion Loss) for the acoustic sensor are calculated from the output of the standard accelerometers, which are installed on the mock-up hull and the acoustic senso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acoustic sensor. The frequency-dependent noise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coustic sensor are analyzed based on the calculated performance indices and an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 is examined.

Improved time delay estimation by adaptive eigenvector decomposition for two noisy acoustic sensors (잡음이 있는 두 음향 센서를 이용한 시간 지연 추정을 위한 향상된 적응 고유벡터 추정 기반 알고리즘)

  • Lim, Jun-Seo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6
    • /
    • pp.499-505
    • /
    • 2018
  • Time delay estimation between two acoustic sensors is widely used in room acoustics and sonar for target position estimation, tracking and synchronization. A cross-correlation based method is representative for the time delay estimation. However, this method does not have enough consideration for the noise added to the receiving acoustic sensors. This paper proposes a new time delay estimation method considering the added noise on the receiver acoustic sensors. From comparing with the existing GCC (Generalized Cross Correlation) method, and adaptive eigen decomposition method, we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other methods for a colored signal source in the white Gaussian noise condition.

Introduction to high resolution weather observation of SK Planet (SK플래닛 국지기상 관측 소개)

  • Myung, Kwang Min;Park, Wo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7-77
    • /
    • 2015
  • 기상이변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피해의 증가로 기상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해외에서는 민간 기업이 기상 관측망을 구축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미국의 Earth Network은 전 세계에 1만개의 기상 관측센서를 설치하였고, 일본의 통신회사인 NTT DoCoMo는 일본에 4000여 개의 기상 및 환경관측 센서를 구축하였다. 국내에서는 SK플래닛이 자사의 플랫폼 기술과 SK텔레콤의 기지국 인프라를 활용하여 수도권 지역에 국지기상 관측망을 구축하였다. SK플래닛은 2013년 서울지역에 1km 간격으로 264개의 기상센서를 설치하고, 2014년 인천 경기지역에 3km 간격으로 825개의 기상센서를 추가 설치하여, 현재 1089개의 국지기상 관측망을 운용하고 있다. 관측에 사용한 센서는 우량계와 복합 기상센서로 강수량, 기온, 습도, 바람, 기압을 측정한다. 관측된 자료는 데이터로거에서 기상청의 자료처리 표준규격에 따라 처리한 후 M2M 모뎀을 통해 1분마다 서버로 전송한다. 전송된 자료는 기상정보 플랫폼의 수집 서버에서 프로토콜 변환 후 원본자료 DB에 저장하고, 실시간 품질관리를 마친 후 품질관리 자료 DB에 저장한다. 관측 지점의 기본정보 및 작업이력은 메타데이터 DB에 저장되고 관리자 페이지를 통해 조회 및 수정 된다. 관측 자료의 품질 보증은 제조사의 센서 Calibration부터 서비스 모니터링 까지 각 단계별로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품질관리를 마친 국지기상 관측 데이터는 응용프로그램 개발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형태로 제공된다. 2013년 여름부터 수집된 1~3km 해상도의 SK플래닛 국지기상 관측 자료를 통해 그 동안 정량적으로 확인하지 못한 국지성 호우 시의 강수량 편차에 대해 알 수 있었다. 2014년 7월 31일 양평지역에 내린 국지성 호우는 시간당 최대 90mm 이상의 비가 내린 사례로, 귀여리 관측소(SK 플래닛)에 시간당 93.1mm가 내리는 동안 퇴촌 관측소(기상청)에는 17.5mm의 비가 내려, 두 관측지점 간 거리가 3.4km 임에도 불구하고 시간당 75mm 이상의 강수량 차이를 보였다. 앞으로 SK플래닛의 국지기상 관측 자료가 국지성 호우의 조기 경보 및 예측 정확도 향상에 활용되어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Linear Array Beamforming by Cross Correlation Matrix (상호상관 행렬을 이용한 선배열 빔형성 기법 연구)

  • 황수복;이성은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7
    • /
    • pp.31-36
    • /
    • 2001
  • Passive sonar system forms the various beams in any desired directions to obtain the improvement in Signal-to-Noise (S/N) ratio, bearing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targets, and the attenuation of interferences from other directions. The improvement of beamforming is very important to detect modern underwater targets as noise reduction technology leads to considerably low-level acoustic emissions in the long range in complex environmental sea.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spatial cross correlation beamforming (SCCBF) algorithm using cross correlation matrix of individual hydrophone pairs of linear array sensors. By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simulation, the proposed SCCBF is demonstrated that its performances compared to conventional beamforming (CBF) output can be obtain above 3dB of array gain and about half of beam width represented the bearing accuracy in target detection. Also, this paper presents sea test result of linear passive sonar system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mplemented.

  • PDF

Depth-based Correction of Side Scan Sonal Image Data and Segmentation for Seafloor Classification (수심을 고려한 사이드 스캔 소나 자료의 보정 및 해저면 분류를 위한 영상분할)

  • 서상일;김학일;이광훈;김대철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3 no.2
    • /
    • pp.133-15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algorithm of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seafloor based on side scan sonar data. The algorithm consists of mosaicking of sonar data using navigation data, correction and compensation of the acouctic amplitude data considering the charateristics of the side scan sonar system, and segmentation of the seafloor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he correction and compensation process is essential because there is usually difference in acoustic amplitudes from the same distance of the port-side and the starboard-side and the amplitudes become attenuated as the distance is increasing. In this paper, proposed is an algorithm of compensating the side scan sonar data, and its result is compared with the mosaicking result without any compensation. The algorithm considers the amplitud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ow-fish's depth as well as the attenuation trend of the side scan sonar along the beam positions. This paper also proposes an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based on the texture, where the criterion is the maximum occurence related with gray level. The preliminary experiment has been carried out with the side scan sonar data and its result is demonstrated.

Comparison of Active Sonar Target Positioning Performance and Optimal Sensor Arrangement (능동 소나 위치 추정 성능 비교 및 최적 수신망 배치)

  • 박치현;홍우영;고한석;김인익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3
    • /
    • pp.224-232
    • /
    • 2003
  • In this paper, efficient deployment method of sensors and target positioning performance with respect to measurement error are dealt with. Active sonar can be categorized into Monostatic, Bistatic, Multistatic sonar, and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sonar are different. Assuming that each sensor can receive range and angular information,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Monostatic, Bistatic, and Multistatic systems. And we suggest Weighted least square (WLS) which gives the weight to former case, LS. In particular. adopting suggested method we investigate the target positio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number of sensor, distance from transmitter to receiver, and propose efficient arrangement rule for Multistatic sonar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RMSE of Multistatic sonar is found to be superior to Monostatic and Bistatic by 35.98%. 37.45% respectively, and WLS is superior to LS approximately by 7.4% in average. Furthermore, as the difference of respective sensor's variance is large, it is observed that the improvement ratio of target positioning performance is increased.

A Version Synchronization Tool for Dynamic Reconfiguration of Application Modules on Sensor Nodes (센서노드상의 응용모듈 동적재구성을 위한 버전동기화 도구)

  • Jung Sun-Woo;Kil A-Ra;Chong K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c
    • /
    • pp.217-219
    • /
    • 2006
  • 일반적으로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백 수천 개의 센서노드로 구성된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각 노드들은 제한된 저장 공간과 효율적인 에너지자원소비 등의 제약사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센서노드에서 응용모듈에 대한 형상관리를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개발된 나노큐플러스 운영체제(Nano-Qplus OS)기반의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각 노드들의 저장 공간이나 에너지 자원 등의 여러 제약조건을 고려한 버전동기화 도구를 제안한다. 이것은 윈도우즈 기반의 eclipse개발환경과 버전관리도구인 CVSNT와 연동하여 각 응용모듈의 버전을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센서노드와 버전정보 저장소간의 버전동기화 도구인 NVSync(Nano-Qplus Version Synchronization)를 사용하여 센서노드의 응용모듈과 동기화함으로써 동적으로 노드들의 응용모듈을 재구성할 수 있게 한다.

  • PDF

The Future Prospective and Standardization of The Substation Automation by Information Technology (IT화 변전소의 발달전망과 기술규격의 표준화에 대한연구)

  • Kim, Il-Dong;Jin, Young-Woo;Jang, Byung-Tae;Jung, Gil-J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a
    • /
    • pp.551-553
    • /
    • 2005
  • 마이크고 프로세서 기술, 센서기술 및 정보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더불어 변전소의 자동화 정도도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그러나 통신 문제에 있어서는 구성품을 제작하는 업체마다 통신 규약이 다를 수 있어 이렇다할 통일된 방법이 없던 터이었다. 최근에는 본격적인 변전소 자동화를 위한 변전소내 정보 통신을 위한 국제규격 통신 프로토콜 IEC 61850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인 변전소의 전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진행 되어질 변전소 IT화에 대한 전망과 예상되는 문제점을 분석제시하고 관련기기들의 개발 진행속도를 고려한 바람직한 표준화 단계를 연구 제시하였다. 아울러 변전소 IT화에 따른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도 검토제시 하였다.

  • PDF

Study on Radiometric Variability of the Sonoran Desert for Vicarious Calibration of Satellite Sensors (위성센서 대리 검보정을 위한 소노란 사막의 복사 가변성 연구)

  • Kim, Wonkook;Lee, Sangho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9 no.2
    • /
    • pp.209-218
    • /
    • 2013
  • The Sonoran Desert, which is located in North America, has been frequently used for vicarious calibration of many optical sensors in satellites. Although the desert area has good conditions for vicarious calibration (e.g. high reflectance, little vegetation, large area, low precipitation), its adjacency to the sea and large variability in atmospheric water vapor are the disadvantages for vicarious calibration. For vicarious calibration using top-of-atmospheric (TOA) reflectance, the atmospheric variability brings about degraded precision in vicarious calibration results. In this paper, the location with the smallest radiometric variability in TOA reflectance is sought by using 12-year Landsat 5 data, and corrected the TOA reflectance for bidirectional reflectance distribution function (BRDF) which is another major source of variability in TOA reflectance. Experiments show that the mid-western part of the Sonoran Desert has the smallest variability collectively for visible and near-infrared bands, and the variability from the sunarget-sensor geometry can be reduced by the BRDF correction for the visible bands, but not sufficiently for the infrared bands.

Difference-based Multi-hop Network Reprogramming for Wireless Sensors (효율적인 멀티홉 센서 네트워크 리프로그래밍)

  • Lee Seung-Man;Ryu M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d
    • /
    • pp.85-87
    • /
    • 2006
  •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리프로그래밍은 무선 통신을 통해 센서 노드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이를 사용하면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수백 개 혹은 수천 개의 노드들의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현재 네트워크 리프로그래밍을 위해 XNP, MNP. MOAP, Deluge, Mate 및 Incremental 기법 등이 제안되어 왔지만 아직 만족할만한 방법은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홉을 지원하는 Deluge에 Incremental 기법을 통합하여 효율적인 리프로그래밍 기법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TinyOS 1.1.14 버전에 구현되었으며, 이를 통해서 네트워크 리프로그래밍을 위해 요구되는 패킷의 수와 소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 노드에서 패킷 전송에 따른 전력소 모가 가장 큰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센서 노드의 전력소모량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