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나무 수피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초

화상처리에 의한 목재표면결함 식별에 관한 연구 (Classification of Wood Surface Defects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

  • 이형우;김병남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91-99
    • /
    • 2001
  • 목재산업에서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공정의 자동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화상처리시스템의 현장 적용성 개선을 위해 국산 소나무와 상수리나무 및 서어나무를 대상으로 옹이, 할렬, 수피 등과 같은 주요 결함들을 인식해내는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목재가공공정에서 컨베이어 위를 이동하고 있는 목재를 가상하여 제재목의 규격과 목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표면결함들을 대상으로 그 형태와 크기 및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화상 처리기술을 개발하였다. 화상처리를 이용하여 결함으로 인식된 각 라벨에 대해 8가지의 특성을 개발, 결함인식의 기준으로 사용하였으며, 8가지 특성을 이용하여 수종별 결함 추출의 제한 조건을 마련한 후 필터링을 실시하여 실제 결함과 결함으로 인정되지 않는 라벨을 구분하였다. 또한 수종별로 가장 효과적인 기준의 적용절차를 밝히므로써 결함 인식의 오차를 줄이는 한편, 처리대상 수종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한편, 컨베이어를 이동하고 있는 목재의 규격이나 표면상태에 관련된 모든 자료들이 database의 형태로 작성되도록 하여 이후 실제 산업현장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나무와 상수리나무 표변에 존재하는 옹이의 오인률은 1% 이하로 매우 우수하였으며, 상수리나무의 할렬과 서어나무의 수피에 대한 오인률도 13% 이하로 낮출 수 있었다.

  • PDF

라디아타 소나무 수피로부터 제조한 PinuxTM염료의 화학조성과 견섬유와의 염색성 (Dyeability with Silk Fabr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Natural Dye PinuxTM Manufactured from Pinus Radiata Balk)

  • 송경헌;문성필;김대성;홍영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315-1321
    • /
    • 2009
  • The chemical composition of natural powder dye $Pinux^{TM}$ manufactured from Pinus radiata bark and dyeability of dyed silk fabrics with $Pinux^{TM}$ were examined. It is made up of the optimum dyeing condition of silk fabric according to the dyeing concentration, dyeing time, and dyeing temperature. Also, we examined the colorfastness and antibiosis of dyed silk fabrics to washing, rubbing, perspiration and light. For the analysi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inux^{TM}$, the total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 proanthocyanidin(PA)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dye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in components of the $Pinux^{TM}$ manufactured from Pinus radiata bark is proanthocyanidin, mostly a flavonoid containing a procyanidin structure, and it consists of approximately 63% pheno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yeability of silk fabrics with $Pinux^{TM}$, it showed that the dyeability was best under the conditions of the concentration of dye $1{\sim}1.5%$(wt/v%), dyeing time of 90 minutes, and dyeing temperature at $90^{\circ}C$. It was found that the colorfastness of dyed silk fabrics, colorfastness to washing, perspiration for acidic and rubbing were as good as grade 4 or 4-5. However, the colorfastness to light was low at grade 1, the same as the results of other natural dyed fabrics. As a result of the antibiosis measurement for the $Pinux^{TM}$-dyed silk fabrics, it showed high antibacterial properties to Staphylococcus sureus at 99.6%.

소나무와 떡갈나무의 주요 부위별 착화특성에 관한 연구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of Tree Branches, Barks, Living Leaves and Dead Leaves in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Dentata)

  • 박영주;이시영;신영주;김수영;김영탁;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08-31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영동지역의 임상별 대표 수종인 소나무와 떡갈나무를 대상으로 주요 부위별 함수율 측정 및 건조속도와 가연성과의 관계, KRS-RG-9000의 발화온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착화특성을 고찰하였다. 강우 후의 함수율은 대체로 생엽과 가지부위가 $52{\sim}70%$ 정도로 높았으며 상온에서 144 시간 경과 시 $17{\sim}33%$정도로 건조되었으며 낙엽은 함수율이 10% 정도 건조되었다. 착화특성은 부위별로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착화 위험성 순서로는 낙엽>생엽>수피>가지 순서로 나타나 수피와 가지 부위가 발화온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저온에서 착화가 지연되는 시간이 낙엽과 생엽보다 길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강원도산(江原道産) 소나무천연림생태계(天然林生態系)의 Biomass 및 Net Primary Production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vity of Pinus densiflora Natural Ecosystem in Kangwondo, Korea)

  • 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74-81
    • /
    • 1985
  • 강원도산(江原道産) 소나무천연림(天然林)의 생산성(生産性)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10본(本)의 표본목(標本木)을 벌도(伐倒)하고 각(各) 부위별(部位別) 및 총(總) biomass와 biomass 추정방정식(推定方程式) 모형으로는 $Wt=aD^bH^c$가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2) 임분(林分) biomass 추정량(推定量)은 지상부(地上部) 총량(總量)이 198.82 t/ha였으며 부위별(部位別)로는 수간목부(樹幹木部)가 136.82 t/ha, 생지부(生枝部)가 32.81 t/ha, 수피부(樹皮部)가 10.72 t/ha 엽량(葉量)이 9.07 t/ha 죽은가지가 7.30 t/ha 였다. 3)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지상부총량(地上部總量)이 15.87 t/ha/yr였으며 부위별(部位別)로는 수간목부(樹幹木部)가 7.04 t/ha/yr., 생지부(生枝部)가 4.91 t/ha/yr., 엽량(葉量)이 2.21 t/ha/yr., 소지(小枝)가 1.13 t/ha/yr., 수피(樹皮)가 0.52 t/ha/yr 였다. 4) Leaf efficiency는 1.876으로서 연간지상부(年間地上部) 총생산량(總生産量) 15.87 t/ha/yr와 비교적 잘 연관되어 있다.

  • PDF

소나무와 떡갈나무의 주요 부위별 열적특성에 관한 연구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ree Branches, Barks, Living Leaves and Dead Leaves in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Dentata)

  • 박영주;이시영;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84-9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영동지역의 대표 수종인 소나무와 떡갈나무를 대상으로 주요 부위별 열적특성을 고찰하고자 콘칼로리미터 시험을 수행하여 중량변화, 착화시간, 화염유지시간, 발열량 그리고 CO와 $CO_2$ 배출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소나무와 떡갈나무 모두 가지의 총중량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낙엽의 착화시간이 9 s 정도로서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낙엽과 수피부위의 화염유지시간은 $640{\sim}1,016s$ 정도였으며, 총방출열량은 낙엽비 생엽의 2배 정도인 60.1 $MJ/m^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CO 및 $CO_2$의 최대 배출농도는 떡갈나무의 가지부위가 소나무의 가지보다 2.82배 이상 높게 나타남으로써 소나무와 떡갈나무의 열적특성은 부위별로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콕스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산불피해 소나무의 생존분석 (Survival Analysis of Forest Fire-Damaged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using the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 배정현;정유경;안수정;강원석;이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2호
    • /
    • pp.187-19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콕스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산불피해 소나무의 고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밝히고자 하였다. 지표화 피해 소나무를 대상으로 고사 영향 인자를 조사하고 산불 발생 7년 차까지 고사 발생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사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변수는 dNDVI(delta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dNBR(delta Normalized Burn Ratio), 경사, 나무에 남겨진 그을음의 상대적인 면적과 평균적인 높이를 나타내는 수피 그을음 지수(Bark Scorch Index, BSI)와 수피 그을음 높이(Bark Scorch Height, BSH)로 나타난 반면, 음의 관계를 가지는 변수는 고도, 흉고직경, 수관층 수분스트레스 변화를 나타내는 수분스트레스지수(dleta Moisture Stress Index, dMSI)로 나타났다(p<0.001). 콕스 비례위험모형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한 변수별 비례위험가정검증에서는 사면방향을 제외한 모든 인자가 모형에 적합하며 고사 발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 곡선 분석에서 가장 큰 생존율 차이를 보인 변수는 BSI였으며(p<0.0001), 원격탐사를 통해 얻어진 환경변화 인자들(dNDVI, dNBR, dMSI) 역시 큰 생존율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01). 이러한 결과는 산불 이후 소나무의 잠재적인 고사위험성을 고려한 복원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全南)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混淆林)의 종간경쟁(種間競爭) 및 물질생산(物質生産) (Species Competetion and Productivity in a Natural Mixed Forest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at Mt. Mohu Area)

  • 박인협;문광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62-468
    • /
    • 1999
  • 전남 모후산지역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을 대상으로 종간경쟁의 양상과 물질생산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10m{\times}10m$ 조사구 10개를 설치한 후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소나무와 굴참나무 각 8주씩 총 16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여 성장특성, 물질생산구조, 현존량, 순생산량 등을 조사하였다. 평균 수령은 소나무 33년, 굴참나무는 26년이였으며, 소나무림 초기에 굴참나무가 침입한 후 상층임관에서 종간경쟁을 하고 있는 초기단계의 임분이었다. 굴참나무는 동일 수령일 때의 소나무에 비하여 수령 15년 이전까지는 흉고직경과 수고가 모두 컸으며, 수령 15년 이후에는 흉고직경은 작은 반면 수고는 수령 15년 이전보다 큰 차이로 높았다. 동일 흉고직경일 때 생산기관인 잎의 건중량은 수종간 별 차이가 없었으나, 축적기관인 줄기의 목질부, 수피, 가지의 건중량은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굴참나무가 소나무에 비하여 큰 차이로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굴참나무는 소나무에 비하여 순동화율이 높고 현존량축적율이 낮았다. 이상을 종합하면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에서 굴참나무는 소나무에 비하여 수고성장이 빠르고, 동일 흉고직경일 때 잎의 건중량은 유사한 반면 생산능률이 높으며, 현존량축적율이 낮기 때문에 종간갱쟁에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굴참나무혼효림의 지상부 전체 현존량은 87.7t/ha, 순생산량은 8.3t/ha/yr이었다.

  • PDF

소나무 수피(樹皮)의 총합적(總合的) 이용(利用)(I) -수피(樹皮)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과 Ca-base 산성(酸性) 아황산염(亞黃酸鹽) 증해(蒸解) 특성(特性)- (Utilization of Pine Bark(I) -Chemical Compositions and Characterization of Ca-base Acid Sulfite Cooking of Pine Bark-)

  • 문성필;김재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1호
    • /
    • pp.28-33
    • /
    • 1994
  •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pine bark from mechanical pulp industry were determined, and effect of Ca base acid sulfite on bark cooking was investigated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pine bark was composed of 39.5 % alkali extractives, 50.3 % lignin, and a small amount of carbohydrate. The contents of alkali extractives and lignin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of pine wood. The bark was composed of high content of arabinose and xylose, while the wood was composed of high content of mannose. When pine bark was cooked with 75 % free acid at 145 $^{\circ}C$, the rate of cooking and delignification was improved with the increase of total acid, but it was very difficult to delignify the bark by 50 % and over under these conditions. In the presence of 60~65 % free acid and at 155~165 $^{\circ}C$, initial cooking rate, delignification, and delignification selectivity were considerably increased, but condensation reaction of lignin was considerable at the end of cooking. Therefore, it was shown that pine bark was very difficult to delignify by the Ca-base acid sulfite cooking.

  • PDF

소나무 수피(樹皮)의 총합적(總合적) 이용(利用)(III) - 수피(樹皮) 중아황산염(重亞黃酸鹽) 증해폐액(蒸解廢液)의 특성(特性) - (Utilization of Pine Bark(III) - Characterization of Spent Liquor Obtained from Bisulfite Cooking of Pine Bark -)

  • 문성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54-60
    • /
    • 1994
  • The pine bark from mechanical pulp industry was cooked with bisulfite liquor, and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spent liquor after cooking for 90 minutes, which allowed partial defibration were determined. Lignosulfonate or lignin-related materials in the spent liquor have a molecular weight of approximately 3,000, which is lower than that of commercial lignosulfonate (C-LS) prepared from wood. The sulfonic equivalent weight calculated by colloid titration was 307 for C-LS, 238~239 for spent liquor. The contents of lignosulfonic acid and phenolic hydroxyl groups on $C_9$ unit of lignin in the spent liquor were 0.98~0.99, and 1.51~1.66,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of C-LS. Especially the content of phenolic hydroxyl group was almost twice that of C-LS. The viscosity of spent liquor after freeze drying was very low compared to C-LS. The dispersing ability of spent liquor was almost equivalent to or more than that of C-LS.

  • PDF

소나무속(屬) 수목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Various Parts of the Genus Pinus Trees)

  • 김종진;한창훈;송홍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269-272
    • /
    • 2001
  • 소나무속의 3수종,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및 잣나무의 부위별 추출물을 병원진균인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를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위 균주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은 잣나무 수피 및 근피 EtOAc 분획분에서 나타났는데 5.0 mg/l 농도에서 각각 98.8%와 100%로 조사되었다. 한편 두 분획분의 위 균주에 대한 $ED_{50}$(median effective dose)는 각각 469 ${\mu}g/ml$및 588 ${\mu}g/ml$로 조사되어 수피 추출물이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잣나무 수피 EtOAc 분획분의 다른 병원진균 Alternaria brassicicola 및 Fusarium oxysporum에 대한 $ED_{50}$는 각각 533 ${\mu}g/ml$ 및 2,277 ${\mu}g/ml$로 나타나 이 분획분의 항균활성은 F. oxysporum보다 C. gloeosporiodes나 A. brassicicola이 더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잎 추출물의 경우를 보면, 소나무 잎 EtOAc 분획분은 C. gloeosporiodes에 대하여 5.0 mg/l 농도에서 39.6%의 활성을 보였으나 다른 두 수종의 잎 추출물에서는 추출 용액에 상관없이 거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 주요 항균활성 화합물들은 분리, 동정 중에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