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규모 블록 개발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Design of File System for small File Management at Real-Time Linux (Real-Time Linux에세 소규모 파일 관리를 위한 파일 시스템의 설계)

  • Choi, Yong-Sik;Lee, Sang-Rak;Shin,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1635-1638
    • /
    • 2002
  • 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자기식 회전 디스크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현재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플래시 메모리에 적용하기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을 고려하여 블록 사이즈를 재조정 함으로써 소규모 파일 시스템 관리에 유용하며 사용 빈도를 나타내는 블록을 추가하여 지움 정책, 파일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한 버퍼 캐쉬 기법에 의한 소규모 파일 시스템 모델을 설계하였다.

  • PDF

Concurrent blockchain architecture with small node network (소규모 노드로 구성된 고속 병렬 블록체인 아키텍처)

  • Joi, YongJoon;Shin, DongMyung
    • Journal of Software Assessment and Valuation
    • /
    • v.17 no.2
    • /
    • pp.19-29
    • /
    • 2021
  • Blockchain technology fulfills the reliance requirement and is now entering a new stage of performance. However, the current blockchain technology has significant disadvantages in scalability and latency because of its architecture. Therefore, to adopt blockchain technology to real industry, we must overcome the performance issue by redesigning blockchain architecture. This paper introduces several element technologies and a novel blockchain architecture TPAC, that preserves blockchain's technical advantage but shows more stable and faster transaction processing performance and low latency.

Analysis of Flood Reduction in Downstream Urban Areas for the Storage in Apartment Complex (하류 도심지 침수저감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단지의 우수저류조 계획)

  • Choi, Jae-Do;Lim, H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301-302
    • /
    • 2023
  • 연구목적: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로 기존 도심지 침수 발생이 증가하는 현 상황에서 공동주택 단지에 소규모 우수저류시설을 계획하였을 때 기존 하류부 도심지 침수량 증가율과 기존 도심지 침수량 저감 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미국환경보호청 SWMM 모델을 활용해서 대규모 하수도 모델을 구축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하류부 기존 도심지 침수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축한 모델은 개발지구, 하류부 기존 도심지, 우수를 방류하는 하천유역 전체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대규모 개발행위 시 연구대상지역에서 공동주택 블록별로 최소 우수저류조 용량을 산정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하류부 기존 도심지에서 방재성능목표강우량 1시간 기준 4,893m3, 2시간 기준 25,815m3, 3시간 기준 55,528m3의 침수량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와 같이 하류부 기존 도심지까지 고려한 대규모 침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을 때 하류부 도심지 침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개발전 공동주택 단지 블록별로 필요한 우수저류조 용량을 계획하고 개발시 비용 지원 등으로 우수저류조 건설을 권장한다면 하류부 기존 도심지 홍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Research on a New Approach to Enhance IoT Security Using Blockchain Technology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IoT 보안 강화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 연구)

  • Hong, Sunghyuc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2
    • /
    • pp.235-241
    • /
    • 2019
  • The structure of the IoT can be divided into devices, gateways, and servers. First, the gateway collects data from the device, and the gateway sends data to the server through HTTP protocol, Websocket protocol, and MQTT protocol. The processing server then processes, analyzes, and transforms the data, and the database makes it easy to store and use this data. These IoT services are basically centralized structures with servers, so attacks on the entire platform are concentrated only on the central server, which makes hacking more successful than distributed structures. One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to develop IoT that combines blockchain. Therefore, the proposed research suggests that the blockchain is a distributed structure, in which blocks containing small data are connected in a chain form, so that each node agrees and verifies the data with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reliability and lowering the probability of data forgery.

Blockchain-based lightweight consensus algorithm (L-PBFT) for building trust networks in IoT environment (IoT 환경에서 신뢰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경량 합의 알고리즘(L-PBFT))

  • Park, Jung-Oh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6
    • /
    • pp.37-45
    • /
    • 2022
  •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related network infrastructures require new technologies to protect against threats such as external hacking. This study proposes an L-PBFT consensus algorithm that can protect IoT networks based on a blockchain consensus algorithm. We designed a blockchain (private) model suitable for small networks, tested processing performance for ultra-small/low-power IoT devices, and verified stability. As a result of performance analysis, L-PBFT proved that at least the number of nodes complies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sensus algorithm(minimum 14%, maximum 29%) and establishes a trust network(separation of secure channels) different from existing security protocols. This study is a 4th industry convergence research and will be a foundation technology that will help develop IoT device security products in the future.

A Consulting Case Study on the Small Start-up through using the Business Model Canvas (소규모 창업기업의 사업진단과 컨설팅을 위한 비즈니스모델캔버스의 활용 사례연구)

  • Pyo, Won-Ji;Ha, Hwa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0
    • /
    • pp.561-569
    • /
    • 2015
  • Many start-ups have many realistic hardships in getting management diagnosis about whether their business model are properly going. For this reason, there is the need for an easy and simple method that makes it possible to conduct a strategic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and management diagnosis of the business model. The Business Model Canvas(BMC) has been popularized as a tool to help entrepreneurs describe, design, challenge, invent and pivot their business model. This model gives a framework to describe the most important building blocks(9 blocks) of existing business. Entrepreneurs can make their own business analyses and craft their own solutions through using this model. In this study, we conducted consulting by using the BMC on the NARUATO which is a small start-up in the healthy food industry. This case study can use as a learning material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alysis of Flood Reduction in Downstream Urban Areas for the Storage in Apartment Complex (하류 도심지 침수저감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단지의 우수저류조 계획)

  • Jae-Do Choi;Hyoung-Chul L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3
    • /
    • pp.698-709
    • /
    • 2023
  • Purpos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growth rate of existing urban immersion in the downstream during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and the degree of reduction in existing urban immersion in the downstream when small excellent storage facilities are planned in apartment complexes. Method: A large-scale sewage model was built using the SWMM model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d the impact of flooding in existing downtown areas downstream was analyzed through simulation. The built model included the development zone, the existing downtown area downstream, and the entire river basin that discharges rainwater. Result: As a result of calculating and simulating the minimum excellent reservoir capacity for each apartment block in the study target area, it was found that the immersion of 4,893㎥ based on one hour, 25,815㎥ based on two hours, and 55,528㎥ based on three hours in the downstream urban area. Conclusion: As in this study, large-scale flooding simulation considering the existing downtown area in the downstream shows a significant increase in flooding in the downstream, and if excellent reservoir capacity is planned for each apartment block before development and the construction of excellent reservoirs is recommended.

Analysis of Rainfall Runoff Reduction Effects Based on Low Impact DevelopmentFacility Monitoring Data (저영향시설(LID) 모니터링 자료 보정을 통한 유출저감 효과 분석)

  • Lee, Inhwa;Ahn, Jeahwang;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57-157
    • /
    • 2017
  • 우리나라에서는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도시화의 영향으로 토지사용 방법이 변화함에 따라 도심지 내 불투수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불투수면적과 강우유출량 또한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도심홍수, 수질오염 등의 피해를 더욱 심화시킬 뿐 아니라, 도시유역 물순환 체계 및 자연생태계 균형 파괴 등의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국내 외에서 도시유역 물순환 체계 관련 다양한 대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외국에서는 약 20년 전부터 저영향개발 (Low Impact Development; LID)을 통한 수자원의 활용과 환경 친화적인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LID 기법은 소규모 유출저감 시설과 녹지면을 이용하여 빗물을 분산시키는 분산형 유출저감 시설물이 있다. 분산형 유출저감 시설물은 빗물의 발생원에서 빗물을 침투 저류시켜 저류된 빗물은 조경용수, 청소용수, 하천 유지용수 등으로 이용하는 친환경 빗물관리 방식으로 침투도랑, 측구형 침투시설, 식생수로, 빗물 저류조, 투수성 블록 등의 다양한 시설물이 이에 포함된다. 현재 이와 같이 LID 시설물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시설물의 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모니터링관련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ID 시설물의 유출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실증실험단지에 설치되어 있는 LID 시설물의 모니터링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강우사상에 따른 LID 시설물의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의 정확한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료의 이상치, 결측치 등을 보정하는 방안을 고려하였으며 실험실증단지에 내리는 강우의 지속시간, 총강우량, 선행강우에 따라 강우사상을 분류하여 이를 토대로 강우사상 별 LID 시설물의 유출 저감효과와 유출 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of applicability of water permeability blocks in urban inundation areas using XP-SWMM (XP-SWMM을 이용한 도시 침수지역에서의 투수성 블록 적용성 분석)

  • Jung, Min Jin;Jun, Kye Won;Jang, Chang Deok;Kim, J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6-316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강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IPCC는 제6차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지역에 이상 기온 현상이 발생하고 강수 변동성이 증가해 도시를 중심으로 홍수로 인한 도시 기반시설 피해가 발생하는 등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한 서울시 신림지역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도시침수 해석모형인 XP-SWMM을 이용하여 저영향개발기법(LID)중 하나인 투수블럭의 적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역인 신림2배수구역은 상류에서 서울대배수구역에서의 유출량이 유입되며 하류에서 봉천천배수구역과 합류 후 신림1배수구역으로 유출되며 상류와 하류에서의 경계조건은 도림천 전 유역에 대해 수립된 도림천의 「도시하천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에 따른 유출분석 및 내수침수 해석결과를 적용하였다. XP-SWMM을 적용하여 내수침수를 해석한 결과, 투수블럭을 설치가능한 공간에 최대한 설치할 경우 피해면적에 대한 저감효과가 약 60%이상으로 나타나 불투수면적의 비율이 높은 도시지역에서 효과적인 침수저감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대상지역으로 선정한 연구지역에서 기왕 일최대강우에 대한 침수지역은 평균 침수심이 매우 얕고, 홍수량 또한 작은 규모이기 때문에 투수성블럭의 침수저감효과가 비교적 과도하게 평가되었다는 한계가 있으나, 빗물펌프장 등 구조적 침수대책이 수립된 후에도 일부 침수지역이 발생하는 소규모 침수지역에 대한 대책으로 투수성블럭이 유의미한 대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oC Implementation of Fingerprint Feature Extraction System with Ridge Following (융선추적을 이용한 지문 특징점 추출기의 SoC 구현)

  • 김기철;박덕수;정용화;반성범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4 no.5
    • /
    • pp.97-107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n System-on-Chip(SoC) implementation of fingerprint feature extraction system. Typical fingerprint feature extraction systems employ binarization and thinning processes which cause many extraction errors for low qualify fingerprint images and degrade the accuracy of the entire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To solve these problems, an algorithm directly following ridgelines without the binarization and thinning process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 computational requirement of the algorithm makes it hard to implement it on SoCs by using software only. This paper presents an implementation of the ridge-following algorithm onto SoCs. The algorithm has been modifi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ardwares. Each function block of the algorithm has been implemented in hardware or in software by considering its computational complexity, cost and utilization of the hardware, and efficiency of the entire system. The fingerprint feature extrac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as an IP for SoCs, hence it can be used on many kinds of SoCs for smart c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