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결성

Search Result 88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Effect of Sintering Time on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ZPCCY-Based Varistors (ZPCCY계 바리스터의 열화특성에 미치는 소결시간의 영향)

  • 남춘우;박종아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41 no.6
    • /
    • pp.464-470
    • /
    • 2004
  • The electrical stability of ZPCCY-based varistors composing of ZnO-Pr$_{6}$O$_{11}$-CoO-C $r_2$ $O_3$- $Y_2$ $O_3$ ceramics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DC accelerated aging stress with sintering times. Sintering time greatly affected electrical properties and stability. Sintering time decreased nonlinear exponent in the range of 51.2∼23.8 and increased leakage current in the range of 1.3∼5.6 ${\mu}$A. The varistor sintered for 1 h exhibited high nonlinearity, whereas relatively low stability. On the contrary, the varistor sintered for 3 h exhibited low nonlinearity, whereas relatively high stability. But the varistor sintered for 2 h exhibited not only good nonlinearity, with nonlinear exponent of 38.6 and leakage current of 3.6 ${\mu}$A but also high stability, in which the variation rates of varistor voltage, nonlinear exponent, leakage current, and dissipation factor are -0.80%, -1.81 %, +74.4%, and +0.88%, respectively.

Characteristic of LCO-system interconnect added sintering aid for SO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LCO계 연결재에 소결 조제 첨가에 따른 특성)

  • Seol, Kwanghee;Ji, Mijung;Ahn, Yongtea;Kwon, Yongjin;Choi, Byunghy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91.2-91.2
    • /
    • 2011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결재의 필요한 물성으로는 공기극과 연료극을 차폐시켜줄 수 있는 고밀도와 구성 소재간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전도도 및 낮은 이온전도도. 산화극과 환원극에서 화학적 안정성과 타 구성 소재와의 열팽창 계수가 일치 등이 중요한 특성으로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LaCrO3계 연결재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LCO계 연결제는 $1400^{\circ}C$ 이상의 높은 소결 온도와 이로 인한 Cr의 휘발로 인한 타 구성소재와의 반응 등으로 인해 저온소결의 필요성이 재기되고 있는 소재 이다. 본 연구에서는 LCO계 구성 소제에 소결 조제를 첨가하여 저온에서 결정성 및 소결거동,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Piezoelectric Properties of Low Temperatrue PMN-PZT Ceramics with Attrition Milling time (Attrition milling 시간에 따른 저온소결 PMN-PZT 세라믹스의 압전특성)

  • Lee, Hyun-Seok;Yoo, Ju-Hyun;Jung,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300-300
    • /
    • 2006
  • 일반적으로 PZT계 세라믹스는 높은 결정격자 이방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수한 압전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보이기 위해서는 높은 온도($1200^{\circ}C$)에서 소결을 해야하기 때문에 PbO의 휘발로 인하여 환경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Li, Na같은 액상소결제를 첨가시켜 소결온도를 낮추는 연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b(Mn_{1/3}Nb_{2/3})O_3$-PZT세라믹스가 갖는 높은 결정격자 이방성을 유지시키고, 저온소결시 압전 및 유전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Pb(Mg_{1/2}W_{1/2})O_3$를 치환시켜 attrition milling 시간에 따른 PWM-PMN-PZT세라믹스의 압전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

웨스팅하우스형 V5H 원전 연료 제조를 위한 소결체 장입 장비 개발

  • 공상필;신세용;이용성;황창환;권용복;김풍오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617-622
    • /
    • 1995
  • 원전 연료는 이산화 우라늄의 원통형 소결체를 지르칼로이 피복관에 장입 시킨 원전 연료봉을 집합체 다발로 조립하여 제조된다. 지금까지 국산 연료에는 연료봉의 전길이에 대하여 일정한 농축도의 소결체가 장입 되도록 설계 및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Westinghouse의 V5H 연료에서는 연료봉의 상 하단에 각각 6 인치 길이의 천연 우라늄 소결체가 추가로 장입 되어야 하는 이른바 Axial Blanket 연료 제조 기술을 요구하고 있어서 새로운 장비의 도입 또는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의 소결체 장입 공정은 Siemens사에서 도입된 기술로써 연료봉 양단에 Axial Blanket을 장전 할 수가 멀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기술적으로 Axial Blanket 연료의 제조가 가능할 뿐 아니라 연료의 제조 건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성이 우수한 장비를 국내 기술로 국산화 개발하였다.

  • PDF

Grain boundary structure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lkaline metallic cation-diffused $(SrCa)TiO_3$ ceramics (알칼리 금속 이온의 입계확산에 따른 $(SrCa)TiO_3$ 소결체의 입계구조 및 전기적 특성)

  • Heo, Hyeon;Cho, Nam-Hu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2 no.1
    • /
    • pp.183-193
    • /
    • 1999
  • Semiconducting (Sr0.85Ca0.15)TiO3 ceramics were prepared by conventional powder synthesis techniques, and then alkaline metallic cations were diffused into the ceramic bodies.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ceramics increases with increasing diffusion time and the amount of diffused materials. The ceramics had boundary potential heights of 0.01 ~ 2.89 eV, while their boundary resistance ranged from 2.2 $M{\Omega}$ to 120.4 $M{\Omega}$. Such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boundaries were correlated with the boundary structure of the ceramics obta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 PDF

첨가제에 의한 $UO_2$$UO_2$-4wt% 의 미세구조 변화

  • 김한수;김시형;이영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668-673
    • /
    • 1995
  • $UO_2$-CeO$_2$ 모의혼합분말에 첨가제를 미량 첨가하여 소결체의 미세구조 변화를 $UO_2$분말의 경우와 비교, 관찰하였다. 소결 첨가제로서 Ta, Ti 및 Nb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을 미세한 산화물의 형태로 $UO_2$$UO_2$-CeO$_2$에 첨가하여 환원성 및 산화성 분위기에서 각각 소결하였다. Ta, Ti 및 Nb는 환원소결에서 $UO_2$의 결정립을 성장시켰으나 산화소결에서는 첨가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UO_2$-0.lw%TiO$_2$$UO_2$-0.6w%Ta$_2$O$_{5}$의 환원소결체에서 eutectic phase가 관찰되었으나 산화소결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UO_2$-4wt%CeO$_2$의 환원소결에서는 Ti만이 결정립성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a, Nb와 같이 $UO_2$에 치환형으로 고유되는 원소는 Ce 이온과 Cluster를 형성함으로 결정립성장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고, Ti와 같이 UO2$_2$ 침입형으로 고용되는 원소는 일부가 인접한 Ce$_{U}$' 이온과 cluster를 형성하더라도 나머지가 V$_{U}$'의 형성에 기여하므로서 결정립을 성장시킬 수 있다.

  • PDF

The Sintering Behavior of $ZrB_2$-ZrC Composites Sintered by Spark Plasma Sintering Process (방전플라즈마 소결법에 의한 $ZrB_2$-ZrC 복합체의 소결 거동)

  • 심광보;김경훈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6
    • /
    • pp.582-586
    • /
    • 2001
  •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을 이용하여 ZrB$_2$-ZrC 복합체를 소결하여 소결 거동과 미세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소결 조제로서 란타늄을 첨가하였을 경우에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소결 수축이 시작되었으며, 180$0^{\circ}C$에서 거의 치밀화가 완성되었다. 란타늄은 방전플라즈마 소결시 초기 분말 간 액상 형성으로 물질이동을 가속화하여 ZrB$_2$-ZrC 복합체의 치밀화에 커다란 기여를 하며, 냉각 시에 재결정화하여 결정립계와 결정립 삼중점에 란타늄이 포함된 이차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ZrB$_2$-ZrC는 강한 공유결합성 재료임에도 불구하고 미세 구조 내에 잘 발달된 전위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 of Sintering Atmosphere on the Electr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ain Boundaries of $SrTiO_3$Ceramics Prepared from Semiconducting powders (반도체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SrTiO_3$소결체의 소결 분위기에 따른 입계 화학 및 전기적 특성)

  • 박명범;조남희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7 no.12
    • /
    • pp.1150-1158
    • /
    • 2000
  • 반도성 SrTiO$_3$분말을 이용하여 상압에서 제조된 소결체의 소결 분위기에 따른 소결체 입계의 결함 화학 및 전기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소결 분위기를 질소-수소, 질소, 공기로 변화시킴에 따라서 입계에서 O/(Sr+Ti)의 비는 1.6로부터 2.1로 증가하였으며, 또한 입계의 과잉 음전하층에서 전하 밀도는 1C/$ extrm{cm}^2$로부터 1.26C/$\textrm{cm}^2$로 증가하였다. 소결체의 문턱 전압, 입계 저항 그리고 입계 전위 장벽은 소결 분위기를 질소-수소로부터 공기로 변화시킴에 따라 6.40-1000 V/cm, 2.70-3050 kΩ 그리고 0.08-10.9 eV로 각각 증가하였다.

  • PDF

Arthroscopic Treatment of Lesser tuberosity Malunion - A Case Report - (상완골 소결절에 발생한 부정 유합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 Sohn, Hoon-Sang;Chung, Duk-Moon;Shin, S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12 no.3
    • /
    • pp.217-221
    • /
    • 2008
  • Coracoid impingement syndrome results from abnormal contact between the anterosuperior humerus and the coracoacromial arch. The coracoid impingement may occur from traumatic, idiopathic, or iatrogenic causes. Traumatic causes of coracoid impingement include fractures of scapular neck, coracoid process or lesser tuberosity. Coracoid impingement due to lesser tuberosity malunion is a rare disease and most of them were treated by open procedures. The authors present a case of coracoid impingement caused by malunion after isolated lesser tuberosity fracture which was treated by arthroscopic coracoplasty with percutaneous screw fixation.

  • PDF